• Title/Summary/Keyword: 통계특성

Search Result 5,551,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유한모집단에서 분포함수추정량 비교

  • 박혜균;김규성
    • Proceedings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4.11a
    • /
    • pp.271-276
    • /
    • 2004
  • 이 논문에서는 유한모집단 분포함수에 대한 추정량들을 소개하고, 이론적인 측면과 경험적인 측면으로 비교하였다 분포함수 추정량은 설계기반 특성을 갖는 추정량과 모형기반 특성을 갖는 추정량으로 구분되며, 각각 설계기반 특성과 모형기반 특성을 갖는다. 수치적인 비교를 위하여 분포함수 추정량들을 2000년 인구주택 총 조사의 서울 가구수와 가구원수 데이터에 적합하여 비교하였다.

  • PDF

On the characteristics of statistical expert system and a strategy to choose development tools (통계전문가시스템의 특성과 개발도구의 선택)

  • 허문열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4 no.1
    • /
    • pp.85-92
    • /
    • 1991
  • This paper describes the trend and inherent problems of the current statistical packages, and statistical expert system is suggested as an alternative to the conventional statistical packages. The paper then describes the components and characteristics of statistical expert system, and suggests a strategy to choose development tools to build a system.

  • PDF

THE STATE OF DATABASE TODAY : 1994

  • Korea Database Promotion Center
    • Digital Contents
    • /
    • no.6 s.13
    • /
    • pp.36-40
    • /
    • 1994
  • 세계 데이터베이스 산업을 잘 이해하기 위하여 1970년대부터 1992년까지 유통된 컴퓨터가독형 데이터베이스를 수집하였으며, 1993년에는 Gale Directory of Database(이하 GDD)에 포함된 여러 통계를 분석해 보았다. 이글은 컴퓨터가독형 DB뿐만 아니라 GDD에 나타난 통계를 비교분석하여 DB산업의 '94년 동향을 살펴보고 그 특징을 알리려는데 목적이 있다. 이런 데이터베이스의 통계를 계속 활용하고 전체적인 데이터베이스 비교통계를 만들기 위해 데이터베이스 엔트리들을 특별히 등록하였다. 이글은 과거의 데이터베이스산업이 지역별, 산업특성에 따라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가를 통계별로 설명하고 있다.

  • PDF

An Analysis of Recommendation Rate for Collaborative Filtering Algorithm based-on Demographic Information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협동적필터링 알고리즘의 추천 효율 분석)

  • 황성희;김영지;이미희;우용태
    • Proceedings of the Korea Database Society Conference
    • /
    • 2001.06a
    • /
    • pp.362-368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고객의 특성을 고려한 최적의 추천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하여 기존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협동적필터링 기법의 추천 효율을 비교 분석하였다. 비디오에 대한 사용자 평가 값과 예측 값간의 추천 효율에 대한 비교실험을 통하여 상품에 대한 단순한 선호도만을 고려한 기존의 협동적필터링 방법에 의한 추천시스템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추천된 상품이나 콘텐츠에 대한 개인별 추천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모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이용하여 인터넷 비즈니스 분야에서 활발하게 도입되고 있는 eCRM 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인 고객들의 인구통계학적인 다양한 특성을 고려한 협동적필터링 기반의 추천시스템을 개발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PDF

Spatial Characteristics for Statistical Downscaling of Rainfall Data (강우의 통계학적 다운스케일링을 위한 공간특성 분석)

  • Lee, Jeong Eun;Lee, Jeongwoo;Kim, Chul Gyum;Kim, Nam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166-166
    • /
    • 2018
  • 수자원 분야의 기후변화 연구에서 유출분석을 위한 장기유출모형의 입력자료로 일단위의 기상자료가 요구된다. 이러한 일자료의 생성을 위해 통계학적 다운스케일링 기법 중 추계학적 기상모의모형이 가장 널리 적용되고 있다. 또한, 유역단위의 합리적 유출분석을 위해서는 기상모의모형을 이용한 일자료 발생시 기상관측지점 간의 공간상관성 확보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다지점 추계학적 기상모형의 개발 및 적용에 앞서 기존모형의 강우 발생과 크기와 관련된 주요요소들의 공간적인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기상청 지점의 관측자료를 중심으로 모형의 강우발생과 관련된 강우/무강우 발생확률, 강우크기와 관련된 월강우량의 평균값, 월평균 강우량의 표준편차, 왜곡도를 산정하였다. 이를 중심으로 전국에 걸친 공간특성 분석을 통하여 다지점 추계학적 기상모의모형의 개발 및 적용시 고려해야 될 사항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PDF

Influence of Working Environment and Conditions on the Job Satisfactions of Librarians (도서관의 근무환경과 근무조건이 직원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Oh, Dong-Geun;Yeo, Ji-Suk;Lim, Yeong-Kyu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38 no.2
    • /
    • pp.203-221
    • /
    • 2007
  • This study analyzes the influences of the working environments and conditions(job cooperation, working condition, stress, compensation and reward, and achievement) on the job satisfactions, and the differences for the staff members to perceive them among staff members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One hundred staff members of K library were participated in the survey using questionnair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s on the stress, compensation and reward, and achievement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The job cooperation and achievement among work environments and conditions significantly influenced on the job satisfactions of the staff members.

  • PDF

온라인 시스템에 의한 난류의 통계학적 해석력법

  • ;Kopp, Charles M,
    • Journal of the KSME
    • /
    • v.25 no.3
    • /
    • pp.216-224
    • /
    • 1985
  • 최근에는 온라인 시스템(on-line system)에 의하여 난류의 신호를 직접 신호분석기에서 받아 분석하여 컴퓨터에 의해 데이터를 처리하고, 풀롯터(plotter)에 의해 도시함으로서 유동의 특성을 통계학적인 방법으로 해석해 나가고 있다. 본 해설에서는 온라인시스템에 의한 난류의 통계 학적 측정방법과 기본적인 이론 및 측정도시에 예를 제시하고자 한다.

  • PDF

반복이 없는 이원배치에서 분포의 동일성 검정에 대한 비모수적 검정법

  • 이기훈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v.4 no.3
    • /
    • pp.765-774
    • /
    • 1997
  • 본 논문에서는 반복이 없는 이원배치에서 교호작용의 존재를 가정하고 처리수준간의 모집단 분포의 동일성을 검정하는 비모수적 검정법을 제안하였다. 검정통계량의 구성을 위하여 순위벡터를 그 구조의 형태별로 정리한 순위위치벡터를 제안하고, 이의 특성과 응용가능성을 연구하였다. 또한 모의 검정력 연구를 통하여 기존의 비모수적 방법이 갖는 약점과 제안한 통계량의 우수함을 실증하였다.

  • PDF

Relationships Amo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Leadership, Organizational Cultur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인구통계학적 특성, 리더십 및 조직유효성간의 관계와 조직문화의 매개효과분석)

  • Jee, Kyoung-Yee;Kim, Jung-Won;Kwon, Jong-Wook
    • Management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31 no.1
    • /
    • pp.117-147
    • /
    • 2012
  • The role of middle managers in local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is getting important in showing administrative capacity of public officials who are members, enhancing effectiveness and competitiveness of an organization.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s well as the medi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culture between leadership of middle manager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uch a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using the sample from local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of Kangwon province. Results of empirical study are summarized. In final suggestions, implications and some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re discussed as well.

  • PDF

Effect of watershed characteristics on river TP concentration (유역 특성이 하천 총인 농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Seo, Ji Yu;Kim, Sang D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165-165
    • /
    • 2021
  • 전 세계적으로 하천 수질이 저하되고 있다. 이는 수생태계의 손상을 야기하고 인류를 위한 하천의 물 공급원 기능에 저해 요소로 작용한다. 오염된 수생태계에 대한 효과적인 맞춤형 관리전략을 수립하려면 수질의 시공간적 변동 요인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시간적 및 공간적 변동성이 모두 중요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전체 유역에서 나타나는 공간적인 변동성에 집중하여 하천 수질의 공간적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식별하고 그들의 상대적 중요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해 낙동강 유역 전역의 40개 수질오염총량관리 단위유역에서 5년 동안 수집된 하천 총인 농도와 유역특성 자료를 사용하였다. 총인 농도의 공간적 변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유역특성을 식별하기 위한 통계모델 선정을 위해 완전 탐색 접근법과 베이지안 추론이 적용되었다. 완전 탐색은 두 단계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1 단계 완전 탐색의 결과로 유역특성 자료들의 중요도가 선정되었으며 2 단계 완전탐색 결과로 통계모델이 우선 선정되었다. 우선 선정된 통계모델은 베이지안 추론을 통해 모델의 정확도와 불확실성이 분석되었고 공간적 변동성 분석을 위한 최적 모델이 선정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낙동강 하천 총인 농도의 공간적 변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유역특성에 대한 통찰력이 제공된다. 또한 식별된 주요 유역특성은 유역특성 변화에 대한 하천의 수질 반응을 예측하는데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