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통계적 태도

Search Result 272,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nalysis of Textbooks on Statistical Problem-Solving Process and Statistical Literacy (통계적 문제해결과정 및 통계적 소양에 관한 <확률과 통계> 교과서 분석)

  • Lee, Jiyeon;Rim, Haemee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
    • v.24 no.2
    • /
    • pp.191-216
    • /
    • 2021
  • This study analyzes how statistical literacy is implemented along with the statistical problem-solving process as described in the Statistical Estimation Unit of the textbook by the 2015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The analytical framework was developed from the literature, and consists of 'context', 'variability', 'mathematical and statistical knowledge', 'using of technological instruments', 'critical attitude', and 'communi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tatistical problem-solving process, the analysis revealed that many tasks equivalent to 'Analyzing Data' but lacked tasks related to 'Interpreting Results' and 'Formulating Question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flection of each element of statistical literacy, 'mathematical and statistical knowledge' was the most common task, but 'critical attitude' and 'using of technological instruments' were rarely dealt with.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textbook analysis, it was intende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curriculum and the development of textbooks for the growth of statistical literacy.

남녀노년층의 의복태도, 의복행동, 쇼핑에 인구 통계적 특성이 미치는 영향 연구

  • Jin, Sook-Hwa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
    • v.37
    • /
    • pp.5-15
    • /
    • 1998
  • 본 연구의 목적은 노년층 남성과 여성의 인구통계적 특성이 의복태도, 의복행동, 쇼핑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설문지를 통하여 나이 55세 이상의 미국 남부에 거주하는 67명의 남성과 75명의 여성이 자료분석에 이용되었다. 의복 및 쇼핑과 관련된 변수로 의복태도, 유행의사 선도력, 기성복에 대한 만족, 쇼핑관심, 점포충성도가 사용되었으며, 인구통계적 특성은 수입, 결혼여부, 사회참여도, 학력, 나이, 성으로 구성되었다. 결과로 의복태도는 미혼일수록, 사회참여도가 높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그 수치가 높은 것으로 낱났다. 기성복에 대한 만족은 수입과 학ㄱ력이 높을수록 또 남성이 여성에 비해 만족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쇼핑에 대한 관심의 정도는 결혼여부, 학력, 성과 관련이 있었다. 즉 미혼일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남성보다는 여성이 쇼핑에 관심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유해의사선도력은 오직 성에 의해서만 영향을 받았으며, 점포충성도 역시 학력에 의해서만 영향을 받았다. 남성과 여성 각각의 차이에 대한 분석에서는 남녀에 따라 인구통계적 특성이 의복태도, 의복행동, 쇼핑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게 나타나 남녀간의 차이를 보여주었다. 예로 남성에게 있어 결혼여부는 쇼핑관심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변수이나 여성의 경우 교육수준이 쇼핑관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통업 종사자들은 노년층 남성 중 미혼자를, 노년층 여성 중 고학력자를 주요 표적으로 삼아 마케팅 전략을 세울 필요가 있다 하겠다.

  • PDF

수량화 분석과 AHP를 이용한 산사태 예측모형 개발

  • Nam, Eun-Mi;Jun, Kyoung-Ho;Yu, Hyu-Kyong;Na, Jong-Hwa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2009.05a
    • /
    • pp.114-119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수량화 방법과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기법을 사용하여 산사태 발생에 대한 통계적 예측모형을 구축하는데 목적이 있다. 수량화(Quantification) 방법은 질적변수에 수량을 부여하는 통계적 방법으로, 기 조사된 자료에 기반하여 분석을 수행하는 방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서구의 다변량분석 기법인 정준상관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수량화 과정을 구체적으로 제안한다. 데이터에 기반한 수량화 방법과는 달리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기법은 일종의 다기준 의사결정을 위해 사용되는 기법으로, 설문자료에 기반한 분석법이다. 실제자료에 대한 분석으로 산사태 발생여부를 측정한 자료(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제공)와 전문가 설문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였다. 이들 자료에 대해 수량화 분석과 AHP분석을 통해 산사태 발생여부를 예측할 수 있는 두 종류의 평가표와 함께 로지스틱 회귀를 통한 통계적 예측모형을 개발하였으며, 두 모형간의 성능비교와 안정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 PDF

Improve Performance of Phrase-based Statistical Machine Translation through Standardizing Korean Allomorph (한국어의 이형태 표준화를 통한 구 기반 통계적 기계 번역 성능 향상)

  • Lee, Won-Kee;Kim, Young-Gil;Lee, Eui-Hyun;Kwon, Hong-Seok;Jo, Seung-U;Cho, Hyung-Mi;Lee, Jong-Hyeok
    • 한국어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6.10a
    • /
    • pp.285-290
    • /
    • 2016
  • 한국어는 형태론적으로 굴절어에 속하는 언어로서, 어휘의 형태가 문장 속에서 문법적인 기능을 하게 되고, 형태론적으로 풍부한 언어라는 특징 때문에 조사나 어미와 같은 기능어들이 다양하게 내용어들과 결합한다. 이와 같은 특징들은 한국어를 대상으로 하는 구 기반 통계적 기계번역 시스템에서 데이터 부족문제(Data Sparseness problem)를 더욱 크게 부각시킨다. 하지만, 한국어의 몇몇 조사와 어미는 함께 결합되는 내용어에 따라 의미는 같지만 두 가지의 형태를 가지는 이형태로 존재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이러한 이형태들을 하나로 표준화하여 데이터부족 문제를 완화하고, 베트남-한국어 통계적 기계 번역에서 성능이 개선됨을 보였다.

  • PDF

Improve Performance of Phrase-based Statistical Machine Translation through Standardizing Korean Allomorph (한국어의 이형태 표준화를 통한 구 기반 통계적 기계 번역 성능 향상)

  • Lee, Won-Kee;Kim, Young-Gil;Lee, Eui-Hyun;Kwon, Hong-Seok;Jo, Seung-U;Cho, Hyung-Mi;Lee, Jong-Hyeok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6.10a
    • /
    • pp.285-290
    • /
    • 2016
  • 한국어는 형태론적으로 굴절어에 속하는 언어로서, 어휘의 형태가 문장 속에서 문법적인 기능을 하게 되고, 형태론적으로 풍부한 언어라는 특징 때문에 조사나 어미와 같은 기능어들이 다양하게 내용어들과 결합한다. 이와 같은 특징들은 한국어를 대상으로 하는 구 기반 통계적 기계번역 시스템에서 데이터 부족 문제(Data Sparseness problem)를 더욱 크게 부각시킨다. 하지만, 한국어의 몇몇 조사와 어미는 함께 결합되는 내용어에 따라 의미는 같지만 두 가지의 형태를 가지는 이형태로 존재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이러한 이형태들을 하나로 표준화하여 데이터부족 문제를 완화하고, 베트남-한국어 통계적 기계 번역에서 성능이 개선됨을 보였다.

  • PDF

Effects of Statistics and Statistical Education Course on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Statistical Attitudes (통계학과 통계교육 강의가 초등 예비교사들의 통계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 Lee, Jong Hak;Kim, Sang Lyong;Choi, Jae Ho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v.31 no.4
    • /
    • pp.547-568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ether statistics and statistical education of intensive courses at the teachers college can improv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 statistical attitudes. Findings o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 attitudes with significant level of 0.05. This proved that statistics and statistical education of intensive courses at the teachers college was effective on improving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 attitudes. Second, there was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pre-service math teacher' conception in the 2009 reformed curriculum for elementary mathematics.

Time-varient Slope Stability Model for Prediction of Landslide Occurrence (산사태 발생 예측을 위한 시변 사면안정해석 모형)

  • An, Hyun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33-33
    • /
    • 2016
  • 산사태 발생 예측은 재해를 예방하고 대처하기 위한 가장 근본적이며 효과적인 방법이나, 과학기술의 발전과 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아직 산사태의 발생 장소와 시기를 예측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산사태 발생 예측 기법은 크게 경험론적 지수기법, 통계적 해석기법, 물리적 해석 기법으로 나뉠 수 있다. 이 세 방법은 각기 장단점이 있으나 일반적으로 후자로 갈수록 많은 데이터가 요구되고, 해석에 시간이 필요하며, 보다 신뢰할만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경험론적 지수 기법은 국내에서 실무적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통계적 해석기법에 관한 연구도 수행된 바 있다. 하지만 이 두 방법론은 일정량 또는 일정강도 이상의 강우 발생 시 산사태의 발생 위험도를 공간적으로 예측할 수 있으나, 산사태의 발생 시점과 연속적인 강우량 또는 강우강도의 관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힘든 한계가 있어 최근에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최근 무한사면안정 모형과 토양수분침투 모형을 결합한 시변 사면안정모형들이 활용되기 시작하고 있다. 대표적으로는 TRIGRS가 있으며, 이 모형에서는 선형화한 1차원 Richards 방정식의 해석해를 활용하여 토양수분량을 계산한 후 이 정보를 무한사면안정모형에 반영하여 시변적인 사면안정도를 구하고 있다. 하지만 Richards 방정식을 선형화하기 위해서 제한된 토양수분-압력 관계식이 사용되며, GUI가 제공되지 않아 전처리 및 후처리가 번거로운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를 개선하기 위해 3차원 Richards방정식을 수치적으로 계산하여 보다 다양한 토양수분-압력 모형과 초기조건을 반영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GUI를 지원하여 사용자가 보다 손쉽게 해석모형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Factors Affecting Internet Purchaser' ’Buying Frequency (인터넷 구매 빈도의 영향 요인 분석)

  • Lee, Mi-Young;Kim, K. P. Johnson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
    • v.41 no.5
    • /
    • pp.59-70
    • /
    • 2003
  • 이 연구는 인터넷 소비자들의 행동에 관한 연구의 일부로, 인터넷 구매자들의 구매 빈도와 그들의 인터넷에 대한 태도, 구매 동기, 인터넷 사용, 인구통계적 특성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의 Graphic Visualization and Usability Center에서 실시된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요인분석과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인터넷 쇼핑에 대한 소비자들의 태도(상대적 잇점. 안전성), 인터넷 판매자에 대한 소비자들의 태도(고객 서비스). 인터넷 브라우징 빈도, 소득, 교육이 인터넷 구매자들의 구매 빈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류상품 소비자의 판매촉진 반응유형과 쇼핑성향

  • 김세희;이은영
    • Journal of Distribution Research
    • /
    • v.4 no.3
    • /
    • pp.33-46
    • /
    • 2000
  • 본 연구는, 그 동안 간과되어 왔던 의류 상품의 판촉에 초점을 맞추어, 판촉의 여러 방법 별 소비자들의 반응 정도를 알아보고, 그 반응 경향이 소비자의 인구통계적 특성, 판촉에 대한 태도, 의복 쇼핑 성향, 기타 의복 구매 행동과 연관성을 가지는지를 규명함을 목적으로 한다. 수도권 거주 여성 444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를 이용해 분석이 이루어졌다. 실증적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판촉의 각 방법에 대한 소비자들의 반응 정도는 가격 할인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은 디스플레이, 쿠폰, 사은품, 백화점 패션쇼, 경품의 순서로 나타났다. 가격 할인, 디스플레이, 사은품, 쿠폰, 백화점 패션쇼 등 5가지 판촉 방법에 대한 소비자 반응 정도를 기준으로 군집분석한 결과 판촉에 대한 반응 유형에 있어 차이를 보이는 5개 집단을 규명할 수 있었다. 각 집단의 인구통계적 특성들 중에서는 소비자 자신의 학력과 자녀의 연령만이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각 집단의 판촉 태도는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각 집단은 의복 쇼핑 성향 및 의복 구매 관련 정보원 이용에서 차이를 보였다. 결론에서는, 실증적 연구의 결과 판촉에 대한 소비자 반응 유형별로 인구통계적 특성, 판촉 태도, 의복 쇼핑 성향, 기타 의복 구매 행동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므로 의류 상품의 판촉 전략 수립시 표적 집단의 특성에 따라 판촉 방법 선택이나 판촉 정보 전달 경로 등을 조절하는 것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예를 들어, 신중/경제적 쇼핑 성향을 가지며 판촉에 대한 태도가 호의적인 소비자들에 대해서는 다양한 정보 전달 경로를 통해 가격 할인이나 쿠폰을 제공하는 것이 좋은 판촉 방법이 될 것이며, 쾌락/유행 지향적이고 상표/품질을 중시하는 소비자들에 대해서는 잡지, 인적 정보, 카탈로그 등을 정보 전달 경로로 하여 디스플레이나 패션쇼를 통해 판매 촉진을 할 수 있을 것이다.0.10 $h^{-1}$과 0.09$h^{-1}$h-1이었고, 반감기는 각각 6.93 및 7.70시간으로 측정되었다. 각각의 농도에서 12시간 및 8시간 이후에는 g당 0.19$\mu\textrm{g}$ 및 0.18$\mu\textrm{g}$이하로 떨어짐을 알 수 있었다. Phosphamidon과 profenofos의 급성어독성은 profenofos가 높았고, BCF profenofos가 phosphamidon보다 약 100배 정도 높게 나타났으며, 배설속도는 phosphamidon이 profenofos보다 약 2배 정도 빨랐다.

  • PDF

Effects of Spreadsheet-used Instruction on Statistical Thinking and Attitude (스프래드시트를 활용한 수엽이 통계적 사고 및 태도에 미치는 효과)

  • Lee, Jong-Hak;Kim, Won-Kyoung
    • The Mathematical Education
    • /
    • v.50 no.2
    • /
    • pp.185-212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ether spreadsheet-used instruction can improve statistical thinking ability and attitude and also to identify what characteristics of statistical thinking is constructed. For this study, a subject of 2 classes were randomly selected among the 12 classes of the 11th grader in D high school and designated one class as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class as the control group. Eight hours of the spread sheet-used instruction and the traditional textbook-oriented instruction had been carried out in each class.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spread sheet-used instruction is shown to be more effective in enhancing statistical thinking than the traditional textbook-oriented instruction. Second, the spread sheet-used instruction is shown to be more effective in improving statistical attitude than the traditional textbook-oriented instruction. Third, students have shown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statistical thinking in the data descriptive process, data arrange-summary process, data representing process, and data analying process through the spread sheet-used instructions. Hence, the spread sheet-used instruction is recommended in teaching statis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