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Textbooks on Statistical Problem-Solving Process and Statistical Literacy

통계적 문제해결과정 및 통계적 소양에 관한 <확률과 통계> 교과서 분석

  • Received : 2021.05.30
  • Accepted : 2021.06.23
  • Published : 2021.06.30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how statistical literacy is implemented along with the statistical problem-solving process as described in the Statistical Estimation Unit of the textbook by the 2015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The analytical framework was developed from the literature, and consists of 'context', 'variability', 'mathematical and statistical knowledge', 'using of technological instruments', 'critical attitude', and 'communi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tatistical problem-solving process, the analysis revealed that many tasks equivalent to 'Analyzing Data' but lacked tasks related to 'Interpreting Results' and 'Formulating Question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flection of each element of statistical literacy, 'mathematical and statistical knowledge' was the most common task, but 'critical attitude' and 'using of technological instruments' were rarely dealt with.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textbook analysis, it was intende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curriculum and the development of textbooks for the growth of statistical literacy.

본 연구는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확률과 통계> 교과서의 통계적 추정 단원에서, 통계적 문제해결과정과 함께 통계적 소양이 어떻게 구현되는가를 분석하였다. 문헌 연구를 통해 통계적 소양의 성장에 기여하는 요소로서 '맥락', '변이성', '수학적·통계적 지식', '공학 도구의 활용', '비판적 태도', '의사소통'을 도출하여 통계적 문제해결과정에 따른 분석 관점을 설정하고, 이를 코드화하여 개발한 분석틀을 토대로 교과서 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적 문제해결과정의 관점에서 분석결과 '자료 분석'에 해당하는 과제가 많이 제시되어 있었고 '결과 해석', '문제 설정'과 관련한 과제가 부족하였다. 통계적 소양의 요소별 반영에 관한 분석 결과 '수학적·통계적 지식'을 요구하는 과제가 가장 많았으며, '비판적 태도', '공학 도구 활용'은 거의 다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이러한 교과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통계적 소양의 함양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개선 및 교과서 개발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현영(2012). 통계적 소양의 교육적 의미 고찰. 한국수학사학회지, 25(4), 121-137.
  2. 강현영, 송은영, 조진우, 이경화(2011). 통계적 논증활동을 강조한 통계수업의 효과에 대한 사례연구, 수학교육학연구, 21(4), 399-422.
  3. 강현영, 신보미, 고은성, 이동환, 심송용, 김정자, 구나영, 정인수, 최경식, 홍지혜(2014). 통계 교육 활성화를 위한 수학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연구보고 2014A039.
  4. 고성은, 이진호, 이승우, 차순규, 김윤희, 조성철(2018). 고등학교 확률과 통계. 서울: (주)좋은책신사고.
  5. 고은성, 이경화(2010). 변이성과 변이 추론의 지도를 위한 지식. 대한수학교육학회지 수학교육학연구, 20(4), 493-509.
  6. 교육부, 통계청(2017.06.07.). 통계교육을 쉽고 재미있게 실생활 중심으로 실시. 교육부 보도자료.
  7. 권오남, 신준국, 전인태, 김미주, 김철호, 김태홍, 박재희, 박정숙, 박지현, 박찬호, 박효근, 오국환, 조경희, 조상현, 황성문(2018). 고등학교 확률과 통계. 서울: (주)교학사.
  8. 김원경, 문소영, 변지영(2006). 수학교사의 확률과 통계에 대한 지식과 신념.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5(4), 381-406.
  9. 김원경, 임석훈, 김동화, 강순자, 조민식, 방금성, 윤종국, 신재홍, 김기탁, 박희정, 심주석, 오혜정, 이동근, 정재훈, 허남구(2018). 고등학교 확률과 통계. 서울: (주)비상교육.
  10. 류희찬, 선우하식, 조정묵, 이병만, 김용식, 임미선, 한명주, 남선주, 김명수, 정성윤(2018). 고등학교 확률과 통계. 서울: (주)천재교과서.
  11. 박경미, 이환철, 박선화, 강은주, 김선희, 임해미, 김성여, 장혜원, 강태석, 권점례, 김민정, 방정숙, 이화영, 임미인, 이만근, 김화경, 윤상혁, 이광상, 이경은, 조혜정, 권영기, 권오남, 신동관, 강현영, 김재영, 도종훈, 박정숙, 서보억, 안현정, 오택근, 이경진, 이광연, 이문호, 이승훈, 이은정, 이지윤, 전인태, 최지선, 한준철, 황선미, 박문환, 김완일, 강성권(2015).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 II. 연구보고서 BD15120005.
  12. 박교식, 이종희, 김진환, 남진영, 김남희, 임재훈, 유연주, 권석일, 김선희, 김종욱, 김경직, 윤형석, 고현주, 윤형주, 김영실, 김해성, 이경진, 조유미, 이정연, 양정은(2018). 고등학교 확률과 통계. 서울: 동아출판(주).
  13. 방정숙, 유은서, 김유경(2016). 통계 내용에 관한 초등학교 수학과 교과용 도서 분석 : 정보 처리 능력을 중심으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0(3), 499-519.
  14. 배종숙, 여태경, 조보관, 김민경, 천화정, 조성현, 변도열(2018). 고등학교 확률과 통계. 서울: (주)금성출판사.
  15. 이기마, 유명근(2015). 정보처리능력의 관점에서 본 2009.2015 중학교 수학과 통계영역 개정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교과교육연구, 8(1), 51-73.
  16. 이미경, 서지영, 이근호, 조성민, 김기철, 유창완, 김종윤, 이재진, 윤기준(2018). OECD Education 2030 교육과정 내용 맵핑 참여 연구. 힌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18-12.
  17. 이정무, 유진수, 이정아, 이경화(2016).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통계적 소양 평가의 가능성 모색. 수학교육학연구, 26(3), 527-542.
  18. 이준열, 최부림, 김동재, 전철, 장희숙, 송윤호, 송정, 김성철(2018). 고등학교 확률과 통계. 서울: (주)천재교육.
  19. 이혜진, 김원경(1992). 고등학생의 확률.통계 단원에 대한 인식 및 학습 실태 조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수학교육>, 31(1), 23-34.
  20. 정서진(2019). 맥락 중심 STEAM 교육을 통한 수학영재 학생들의 통계적 소양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조성민, 구남욱, 김현정, 이소연, 이인화(2019). OECD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PISA 2018 결과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19-11.
  22. 탁병주(2017). 통계적 소양 교육을 위한 예비교사의 통계 교수 지식 연구 -표본 개념 지도에서의 활용을 중심으로 -.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3. 홍성복, 이중권, 신태교, 이채형, 이병하, 신용우, 전형숙, 김형균, 권백일, 최원숙, 강인우(2018). 고등학교 확률과 통계. 서울: 지학사.
  24. 황선욱, 강병개, 윤갑진, 이광연, 김수영, 이문호, 김원일, 박문환, 박상의, 박진호. 고등학교 확률과 통계. 서울: (주)미래엔.
  25. Bargagliotti, A., Franklin, C., Arnold, P., Gould, R., Johnson, S., Perez, L., & Spangler, D.A. (2020). Pre-K-12 guidelines for assessment and instruction in statistics education II (GAISE II). Alexandria, VA: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26. Ben-Zvi, D. & Garfield, J. (2010). 통계적 소양, 추론, 사고: 목표, 정의, 난제. In D. Ben-Zvi & J. Garfield(Eds.) 통계적 사고의 의미와 교육 (이경화 외 9인 역), 서울: 경문사. (원저 2004년 출판)
  27. Ben-Zvi, D. (2000). Toward understanding the role of technological tools in statistical learning. Mathematical thinking and learning, 2(1-2), 127-155. https://doi.org/10.1207/S15327833MTL0202_6
  28. Bright, G. W. & Friel, S. N. (2012). Graphical representations: Helping students interpret data. In Susanne P. Lajoie. (Eds.), Reflections on Statistics (pp. 63-85). New York: Routledge.
  29. Chance, B., Ben-Zvi, D., Garfield, J., & Medina, E. (2007). The Role of Technology in Improving Student Learning of Statistics. Technology innovations in Statistics Education Journal, 1(1), 1-24.
  30. Cobb, G. W., & Moore, D. S. (1997). Mathematics, statistics, and teaching. The American Mathematical Monthly, 104(9), 801-823. https://doi.org/10.1080/00029890.1997.11990723
  31. Franklin, C., Kader, G., Mewborn, D., Moreno, J., Peck, R., Perry, M., & Scheaffer, R. (2007). Guidelines for assessment and instruction in statistics education (GAISE) report: A pre-k-12 curriculum framework. Alexandria, VA: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32. Gal, I. (2002). Adults' statistical literacy: Meanings, components, responsibilities. International Statistical Review, 70(1), 1-51. https://doi.org/10.1111/j.1751-5823.2002.tb00336.x
  33. Garfield, J. (2002). The Challenge of Developing Statistical Reasoning. Journal of Statistics Education, 10(3), 1-12.
  34. Garfield, J. B., & Burrill, G. (Eds.). (1997). Research on the role of technology in teaching and learning statistics. Voorburg, The Netherlands: International Statistical Institute.
  35. Garfield, J., Ben-Zvi, D., Chance, B., Medina, E., Roseth, C., & Zieffler, A. (2008). Learning to reason about statistical inference. In Developing Students' Statistical Reasoning (pp. 261-288).
  36. Marriott, J., Davies N., & Gibson, L. (2009). Teaching, Learning and Assessing Statistical Problem Solving. Journal of Statistics Education, 17(1).
  37. Pugalee, D. K. (2001). Using communication to develop students' mathematical literacy. Mathematics Teaching in the Middle School, 6(5), 296. https://doi.org/10.5951/mtms.6.5.0296
  38. Rumsey, D. J. (2002). Statistical literacy as a goal for introductory statistics courses. Journal of Statistics Education, 10(3), 1-12.
  39. Stigler, J., & Hiebert, J. (1997). Understanding and improving classroom mathematics instruction: An overview of the TIMSS video study. In ACER National Conference 1997 (pp. 52-65).
  40. Wallman, K. K. (1993). Enhancing statistical literacy: Enriching our society.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88(421), 1-8. https://doi.org/10.2307/2290686
  41. Watson, J. M. (1997). Assessing statistical thinking using the media. The assessment challenge in statistics education, 107-121.
  42. Watson, J. M. (2006). Statistical literacy at school: Growth and goals. 박영희 역(2013). 학교에서 어떤 통계를 배워야 하지? 통계적 소양의 성장과 목표. 서울: 경문사.
  43. Wild, C. J., & Pfannkuch, M. (1999). Statistical thinking in Empirical Enquiry. International Statistical Review, 67(3), 223-265. https://doi.org/10.1111/j.1751-5823.1999.tb00442.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