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토크 평가

검색결과 215건 처리시간 0.022초

임플란트 healing abutment 높이와 타진각도에 따른 타진방식 임플란트 안정성 측정기기의 수치 차이 (Differences in percussion-type measurements of implant stability according to height of healing abutments and measurement angle)

  • 박양훈;이성복;이석원;백장현;이정열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278-286
    • /
    • 2018
  • 목적: 인조골에 동일한 조건으로 식립한 임플란트에 대하여 타진방식의 임플란트 안정성 측정기기인 Periotest와 AnyCheck을 사용하여 안정성 수치를 측정함에 있어서, healing abutment의 높이와 타진각도의 변화에 따른 각 측정기기의 안정성 수치 차이를 조사하는 것이다. 재료 및 방법: 총 60개의 임플란트를 주문제작한 인조골 블록에 식립하고 2, 3, 4, 5 mm 높이의 healing abutment를 각각 15개씩 네 그룹으로 나누어 체결하였으며, 각각 식립 토크, implant stability test, Periotest value를 측정했다. 임플란트 식립 시 45 - 55 Ncm의 토크를 유지하였다. 임플란트 장축에 수직인 지면을 기준으로, implant stability test는 AnyCheck을 사용하여 $0^{\circ}$, $30^{\circ}$의 기울기로 측정했으며 Periotest value는 Periotest M을 사용하여 $0^{\circ}$, $30^{\circ}$의 기울기로 측정하였다. 측정값은 통계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식립 토크는 그룹 간 통계적 유의차가 없었다. AnyCheck과 Periotest M으로 측정했을 때, healing abutment의 높이가 증가할수록 안정성 수치가 낮게 측정되었다. 또한 AnyCheck과 Periotest M을 $0^{\circ}$$30^{\circ}$ 기울기로 측정 시 $0^{\circ}$로 측정한 그룹에서 안정성 수치가 더 낮게 측정되었다. 결론: 임플란트의 안정성 수치를 타진방식으로 측정할 때에는 healing abutment 높이와 타진각도의 변화에 따른 차이를 고려하여 측정해야 표준화된 평가를 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더욱 세밀한 사용법을 인지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되었다.

연질 골에서 두 종류의 테이퍼 형태 임플란트의 초기 안정성에 관한 실험실적 연구 (In Vitro Study on the Initial Stability of Two Tapered Dental Implant Systems in Poor Bone Quality)

  • 김덕래;김명주;권호범;이석형;임영준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5권4호
    • /
    • pp.391-401
    • /
    • 2009
  • 임플란트의 성공은 식립 후의 초기 안정성 (Initial stability)의 결과가 중요한 영향을 준다. 이 연구의 목적은 연질 골에서 두 종류의 테이퍼 형태 임플란트가 임플란트의 디자인과 self-tapping blade의 유무에 따라서 초기 안정성에 주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Self-tapping blade를 가지고 있는 것과 가지고 있지 않은 두 종류의 테이퍼 형태 임플란트가 사용되었다. Solid Rigid Polyurethane Form으로 연질 골 상태인 D4 골 모형을 재현하였다. 임플란트 고정체를 식립하면서 초기 안정성 값을 기록하고, 식립 직후 implant stability quotient (ISQ)을 측정하여 Resonance frequency Analysis (RFA)를 평가하였다. 마지막으로 임플란트가 식립된 모형골을 만능 시험기에 부착하여 장축 방향으로의 pull-out force를 측정하였다. 초기 안정성 값과 최대 pull-out torque 값은 non self-tapping implants가 self-tapping group에 비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큰 평균값을 나타냈다 (P = 0.008). 공진 주파수 분석 결과인 ISQ 값은 거의 비슷한 평균값을 보였으면 통계학적으로 차이가 없었다. 각 임플란트 시스템에서 식립 토크와 pull-out 최대 토크 그리고 공진 주파수 간에는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Non self-tapping 임플란트의 높은 식립 토크는 임상적으로 우수한 초기 안정성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연질 골에서 self-tapping blade가 없는 임플란트가 있는 것 보다 더 우수한 초기 안정성을 보였다.

엔진의 토크 조절 능력과 니켈-티타늄 파일의 삭제 성향이 근관 성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IFFERENT FLUTE DESIGN AND TORQUE-CONTROLLED MOTOR ON THE SHAPING ABILITY OF SIMULATED RESIN ROOT CANALS)

  • 노형미;허복;김현철;박정길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0권6호
    • /
    • pp.486-492
    • /
    • 2005
  • 이 연구의 목적은 니켈-니타늄 파일의 삭제 성향과 엔진의 토크 조절 능력이 근관 성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다 레진 모형 40개를 사용하였으며, Hero Shaper(R)와 Endo-Mate2을 이용한 HE군, Hero Shaper(R)와 Tecnika(R)를 이용한 HT군, Profile(R)과 Endo-Mate2(R)를 이용한 PE군, Profile(R)과 Tecnika(R)를 이용한 PT군으로 구분하여 근관성형 하였다. 각 군별 근관 성형 시간을 기록하였다. 근단공으로부터의 수직 이동 거리 1, 3 그리고 5mm 위치에서의 근관 삭제량, 중심이 동률을 산출하여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1. 근관 성형 시간은 HT군이 가장 빨랐다 (p<0.05). 2. 삭제량은 1mm지점에서 HE군이 PT군보다 컸고 (p<0.05), 3mm지점에서는 PT군이 다른 군들보다 작았다 (p<0.05). 5mm에서는 PE군이 PT군보다 컸다 (p<0.05). 3. 중심 이동률은 1mm 지점에서 HE군이 다른 군들보다 컸으며 (p<0.05), 5mm에서는 HT군이 PE군과 PT군보다 컸다 (p<0.05). 따라서 토크 조절이 되는 엔진을 사용하는 것이 근관의 변위를 적게 유발하고 과도한 삭제 량을 예방 할 수 있으며 근관 성형시간도 단축 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이며 따라서 양호한 근관 성형 결과에 영향을 준다고 볼 수 있다.

EPB 쉴드 TBM 굴착토의 유동학적 특성 평가를 위한 실내 가압 베인시험: 장비 개발과 적용성 평가 (A laboratory pressurized vane test for evaluating rheological properties of excavated soil for EPB shield TBM: test apparatus and applicability)

  • 곽준호;이효범;황병현;최준혁;최항석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24권5호
    • /
    • pp.355-374
    • /
    • 2022
  • 쏘일 컨디셔닝(soil conditioning)은 굴착토의 전단강도를 감소시키고 작업성(workability)을 확보하여, EPB 쉴드 TBM의 굴진면 전방을 지지하며 TBM의 굴진 성능을 향상시키는 기술이다. 다양한 지반 조건에 대한 최적의 첨가제 주입 조건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첨가제를 혼합한 굴착토의 역학적 유동학적 거동을 평가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TBM 챔버 내 압력 상태를 모사하고 시료의 유동학적 특성을 평가할 수 있는 실내 가압 베인시험 장비를 개발하였다. 인공 사질토 시료에 대하여 폼(foam)과 폴리머(polymer)의 주입변수인 FIR (foam injection ratio)과 PIR (polymer injection ratio)을 변화시켜가며 일련의 실내 가압 베인시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슬럼프 시험을 통해 컨디셔닝된 흙의 작업성을 평가하였다. 실내 가압 베인시험 장비를 통해 베인 전단시험을 수행함으로써 측정된 토크 데이터로부터 컨디셔닝된 흙의 유동곡선(rheogram)을 도출하여 주입변수에 따른 첨두응력과 항복응력의 경향을 분석하였다. 시험 결과, FIR이 커지거나 PIR이 작아질수록 작업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최대 토크, 첨두응력과 항복응력은 모두 감소하였다. 실내 가압 베인시험으로 측정된 시료의 첨두응력과 항복응력이 슬럼프 시험을 통해 측정된 작업성과 상응하는 결과는 제안된 시험이 굴착토 물성 평가에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토크 측정과 시차주사열량계를 이용한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의 하이드레이트 저해 성능 평가 (Evaluation of Hydrate Inhibition Performance of Water-soluble Polymers using Torque Measurement and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 신규철;박주운;김자경;김현호;이요한;서용원;서유택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2권6호
    • /
    • pp.814-82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토크 측정과 고압 시차주사 열량계를 이용하여 pyrrolidone, caprolactam, acrylamide 계열 수용성 고분자들의 하이드레이트 저해 성능을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세 종류의 고분자가 모두 동역학적인 하이드레이트 생성억제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특히 0.5 wt% polyvinylcaprolactam (PVCap)의 경우 34.4분의 하이드레이트 유도 시간, 15.9 K의 subcooling 성능을 보이며 12.3 분, 6.0 K의 순수 물 시스템보다 월등한 저해 성능을 나타내었다. 0.5 wt% polyvinylpyrrolidone (PVP)의 경우 중간 정도의 저해 성능을 보였으며, polyacrylamide-co-acrylic acid partial sodium salt (PAM-co-AA)의 경우 각각 0.5 wt%와 5.0 wt%의 농도에서 미미한 하이드레이트 저해 성능을 보였다. 반면에 생성된 하이드레이트 입자의 성장속도와 생성 양에서는 PAM-co-AA가 PVCap과 더불어 가장 월등한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 다른 주요 성능 평가 요소 중 하나인 토크 변화의 경우에는 PVCap이 평균 토크 6.4 N cm로 가장 좋은 성능을 보였으며, 0.5 wt%의 PAM-co-AA 시스템이 평균 7.2 N cm의 값으로 그 뒤를 이었다. 고압 시차주사 열량계를 이용한 수용성 고분자 물질의 저해 성능 평가 실험의 결과는 autoclave 실험의 결과와 유사하였다. PVCap을 첨가한 경우 하이드레이트가 생성되기까지의 유도시간이 가장 길어서 저해성능이 뛰어난 것을 확인하였다.

선형절삭시험에 의한 더블디스크커터와 싱글디스크커터의 커터 작용력과 축응력에 대한 실험적 평가 (Comparative analysis of cutter acting forces and axial stresses of single and double disc cutters by linear cutting tests)

  • 최순욱;장수호;박영택;이규필;배규진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181-191
    • /
    • 2014
  • 본 연구는 선형절삭시험 중에 동일한 커터 링 형상을 가진 더블디스크커터와 싱글디스크커터에 발생하는 커터작용력과 각 디스크커터 축에 발생하는 축응력 및 토크를 평가하였다. 선형절삭시험 결과, 선형절삭실험 중에 발생한 더블디스크커터의 연직력과 회전력의 평균값은 싱글디스크커터의 약 두 배 내외인 것으로 측정되었다. 더블디스크커터의 축에 작용하는 축응력의 평균값 역시 연직력과 마찬가지로 싱글디스크커터의 두 배 정도로 나타났지만, 토크의 경우에는 전체적으로 낮은 측정값을 보여 비교의 의미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하지만 더블디스크커터의 연직력의 평균값이 직경 432 mm(17인치) 디스크커터의 허용하중을 상회하기 때문에 테이퍼 롤러 베어링의 내구성능에 대한 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더블디스크커터 축에 작용하는 축응력은 싱글디스크커터의 약 두 배 정도로 발생하였지만,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디스크커터 축 재료의 항복강도를 고려할 때 적용 상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판 약물의 시토크롬 2J2 약물대사효소 저해능 탐색 (Screening of Potential Anticancer Compounds from Marketed Drugs: Aripiprazole, Haloperidol, Miconazole, and Terfenadine Inhibit Cytochrome P450 2J2)

  • 류광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11호
    • /
    • pp.1558-1564
    • /
    • 2011
  • CYP2J2는 치료약물 및 아라키돈산과 같은 내인성 화합물의 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효소이다. 최근, CYP2J2 단백질이 인체 종양 조직이나 종양 세포주에 과발현되어 있고, CYP2J2 효소의 작용에 의해 생성된 에폭시에이코사트리에논산(EETs)이 세포사멸을 방지한다는 것이 보고되었다. 본 연구는 시판중인 약물 120종을 대상으로 시토크롬 2J2 동종효소에 저해능을 가지는 화합물을 발굴하고자 하였다. 인체 간 마이크로솜 시료에 아스테미졸과 NADPH 재생성계 및 약물(50 ${\mu}M$)을 첨가한 후 15분간 반응시켜 생성된 대사물을 LC/MS/MS를 이용하여 분석하여 시토크롬 2J2 동종효소 활성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할로페리돌, 터페나딘, 아리피프라졸, 미코나졸의 순으로 CYP2J2 효소 활성 저해능을 보였다. 미코나졸은 CYP2J2에 의해 매개되는 에바스틴($IC_{50}$=11.2 ${\mu}M$) 및 터페나딘($IC_{50}$=2.2 ${\mu}M$) 대사를 강력하게 저해하였다. 터페나딘 또한 CYP2J2 매개 에바스틴 대사를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하였다($IC_{50}$=13.6 ${\mu}M$). 향후, 이들 약물을 대상으로 한 항암 활성 평가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3차원 음상정위 시스템의 구현과 주관 평가 (Implementation of Spatial Sound Localization System and Subjective Test)

  • 이동우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1998년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17권 2호
    • /
    • pp.43-46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헤드폰과 스테레오 스피커를 통하여 가상의 음상을 임의의 위치에 정위시키는 음상정위 시스템을 구현하고, 주관 평가를 통하여 음상정위 성능을 고찰하였다. 음상정위 시스템은 크게 방향감을 제어하는 컨벌루션 처리부와 공간감과 거리감을 처리하는 잔향 처리부, 그리고 스테레오 스피커를 통해 소리를 재생할 때 발생하는 크로스 토크(corsstalk)를 제거하기 위한 트랜스오럴(transaural) 필터부로 나누어진다. 구현된 시스템의 음상정위 성능은 리스링 룸에서 녹음된 음성과 메트로놈 소리를 이용하여 수평각/고도각, 정지음/이동음, 거리감 등을 헤드폰과 스피커를 통하여 각각 실험한 결과 수평각 지각은 스피커 재생보다 헤드폰 재생이 우수했으며, 정지음보다 이동음의 지각 결과가, 고도각 지각은 전.후(0$^{\circ}$~360$^{\circ}$) 방향보다 좌.우(90$^{\circ}$~270$^{\circ}$) 방향의 결과가 우수하게 나왔다.

  • PDF

표면상태에 따른 고장력볼트 마찰이음부의 거동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High-Tension Bolted Joints' Behavior due to Surface Condition)

  • 조선규;홍성욱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9권3호통권32호
    • /
    • pp.421-430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숏브라스트한 후 무기징크 페인트로 도장한 무기징크면, 연마면, 흑피면에 대하여 정적 및 피로시험을 수행하여 기존의 연구결과와 비교평가함으로써 마찰면의 표면상태에 따른 고장력볼트 마찰이음부의 정적 및 피로거동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련의 정적 및 피로시험을 실시하고 토크관리법의 타당성 평가, 미끄러짐계수의 도출, 도입축력의 감소률 규명, 피로강도의 평가, 마찰면의 압축력 분포 조사 등을 수행하였다. 본 실험결과와 기존 연구자들의 연구결과를 종합적으로 검토한 결과 볼트의 설계축력 도입을 위한 토크관리법은 타당하며, 시간경과 및 반복하중의 작용에 따른 축력감소율을 고려할 때 설계축력의 110%로 초기축력을 도입하도록 규정한 시방서 기준은 적합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시간경과에 따른 도입축력의 초기감소율은 경과시간의 상용로그에 비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도입직후 약 20시간이 경과하면 일정한 값으로 수렴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이들은 마찰면의 표면조도와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미끄러짐계수는 연마면, 무기징크프라이머 도포면, 흑피면 순으로 크게 나타났으며 미끄러짐하중은 도입축력에 크게 좌우되나 도입축력이 크면 마찰면의 표면조도의 손상으로 인하여 미끄러짐계수가 작아져 도입축력과 미끄러짐하중 사이에는 선형적 비례관계가 성립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마찰면의 압축력 분포를 조사한 결과 내측볼트 주변의 마찰면적이 외측볼트 주변보다 응력방향에 있어서 더 넓게 분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외측볼트로부터 마찰접합에서 지압접합으로 천이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유한요소법에 의한 3 Piece Alloy Wheel의 안전성 평가 (Safety Assessment for the 3 Piece Alloy Wheel by Finite Element Method)

  • 이양창;이준성;이은철;이호정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885-888
    • /
    • 2009
  • 자동차용 Alloy Wheel은 차량의 수직하중이나 가로 방향 하중, 구동, 제동토크 등 주행 시에 발생하는 여러 형태의 응력을 받으면서 사용되므로 이러한 응력을 견딜 수 있는 강성은 물론 차량 부품으로서의 요구 수명도 만족하여야 한다. 알루미늄 휠은 개발 후 규격에 준하는 내구성 평가를 위하여 반경 방향 부하 내구시험과 굽힘모멘트 내구시험과 주행 중 요철이나 벽돌 등에 의한 노면으로부터 갑작스런 하중에 대한 내충격성 평가를 위한 충격시험이 실행되고 있다. 이러한 시험은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있으며, 또한 시험 중 불합격 판정이 날 경우 또다시 처음의 공정을 모두 거쳐 다시 시험을 하게 된다. 3 Piece와 같은 알루미늄 휠은 여러 공정에 의한 생산되어지기 때문에 많은 시간적, 물질적 손실이 일어나고 있다. 따라서 자동차용 알루미늄 휠의 요구조건을 충분히 만족시키며 소비자의 요구에 맞는 품질과 시간을 충족시켜 기업경쟁력 확보는 물론 원가절감에 의한 기업 경쟁력 향상을 위하여 설계 단계서부터 시험조건을 고려한 내구성 해석에 의한 알루미늄 휠의 시험횟수를 단축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3 Piece 알루미늄 휠의 축(shaft)하중에 의한 내구성 평가에 대하여 CAE시스템을 이용하여 보다 빠르고 정확한 결과를 산출함으로서 설계시간의 단축은 물론 다양한 형상의 제품들을 설계단계에서부터 생산에 이르기까지의 해석활용법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