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토지이동

Search Result 267,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Rockfall Behavior with Catchment Area Condition (포집공간 조건에 따른 낙석의 거동)

  • Lee, Jundae;Kwon, Youngcheul;Bae, Wooseok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20 no.1
    • /
    • pp.35-42
    • /
    • 2019
  • Various development works inevitably increase cutting slopes due to land use, and many of trails managed by different authorities are being deteriorated by long-term weathering. Collapse of slopes causes unavoidable damage of property and loss of lives because of its uncertainty and difficulty in predicting its occurrence. In order to overcome the unavoidability, America, Japan, and several European nations analyze the kinetic energy and moving distance when rocks of upper slope move along the inclined plane, via field tests and computerized interpretation of the test results. Also, they are making efforts to develop measures with which the kinetic energy of the rocks moving along the slope is absorbed and fails to reach to specific structures. However, domestic researches just focus on fragmentary prediction of rockfall using existing programs, and there have been few approaches to identify interpretation methods appropriate for domestic cases or determination of parameters. In this context, we in this study defined rockfall types and affecting factors and analyzed effects of parameters using a general-purpose rockfall simulation program to understand principles of rockfall and to estimate effects of various parameters.

A Study on The Optimum Earthwork Volume using GIS (GIS기법을 이용한 토공산정의 최적화)

  • Kim, Sung-Hun;Sim, Hee-Chul;Do, Kwang-Min;Lee, Jong-Dal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a
    • /
    • pp.344-348
    • /
    • 2007
  • This study was made a process of earth work amount and earth work transfer etc. This research uses DAS S/W and GIS S/W, comparison and analyze. DAS S/W is a program develop in Korea land corporation. This purpose of this study is presenting a method that at it, can calculate detailed earth work. Also, apply GIS method to DAS S/W using earth work calculation data. when GIS analysis method applied. it can improve the accuracy of earth work calculate method and earth work model's efficiency.

  • PDF

Evaluation of Irrigation Reservoir Operation using SWAT Model (SWAT 모형을 이용한 농업용저수지 거동 분석)

  • Park, Ki-Wook;Oh, Seung-Tae;Jo, Jin-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672-1680
    • /
    • 2010
  • 본 연구는 수자원의 지속적 확보기술 개발의 기본 모형인 SWAT 모형의 농촌용수지구 적용을 통해, 모형의 적용성을 평가하고, 지속적인 개선을 목표로 한다. 우리나라의 농촌용수지구인 이동 저수지 상류유역인 농업소유역에 SWAT 모형을 적용하였다. 단위유역에 대한 모형의 적용결과 분석은 미산저수지내 관개량 입력자료와 저수지 운영자료로부터 모형의 거동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동저수지 유역에 포함된 단위유역에 대한 토지이용도, 토양도, 강우관측자료 등 입력자료를 구축하였으며, 논에서의 관리성분 및 저수지 관리성분을 각각 DB화하여 구축하였다. SWAT 모형의 개선을 위하여 모형을 구성하고 있는 논지대에 대한 관리성분을 관개량 측정자료로부터 일별 관개량을 고려할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단위 유역에 대한 SWAT 모형의 적용결과 관측된 일별 저수량과 SWAT모형과 AGRIMAN모형에 의해 산정된 저수량의 변화가 유사한 경향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지구는 관개지구의 환원수량, 저수지의 여수로 방류량 및 용수 사용량 등에 따라 저수지의 유입하천 및 하류하천의 장기유출량에 복잡한 형태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농업용수 이용에 따른 농촌유역의 유출량, 저수량, 관개량 등 각 수문요소에 대한 정량적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단위유역에 대한 모형의 거동을 분석한 결과 농촌유역내에서의 수문성분의 검토가 가능하였으며, 이로부터 본 연구에서 목표로 하고 있는 농촌용수의 물수지 해석 및 수원공의 적정운영을 위한 기초기술이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Evaluation of low streamflow via distributed hydrological watershed modelling considering reservoir-weir releases and streamflow routing in Geum river basin (댐-보 연계방류를 고려한 분포형 유역수문 모델링을 통한 금강유역의 하천갈수 평가기법 개발)

  • Lee, Yonggwan;Kim, Wonjin;Jung, Chunggil;Kim, Seong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103-103
    • /
    • 2020
  • Drying Stream Assessment Tool and Water Flow Tracking (DrySAT-WFT)은 하천건천화 평가 및 예측을 위해 개발된 물수지 기반의 분포형 수문모형이다. 그러나 물수지 모형의 특성상 토양층 사이를 이동하는 수직적인 물의 거동은 파악하기 용이하나, 하천 및 지표를 따라 이동하는 물의 수평적인 거동 추적에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DrySAT-WFT 모형에 댐·보 방류량을 고려한 하도 갈수량 추적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유출 모의 성능을 개선하고, 개선된 유출 모형을 금강 유역(9,915.5 ㎢)에 적용하여 건천화 원인 추적 및 평가를 수행하였다. 하천건천화 원인 추적을 위한 영향요소로 1976년부터 2015년까지 구축한 산림높이, 도로망, 지하수 이용량, 토지이용, 토심, 기상 자료를 활용하였다. 건천화 영향요소를 적용하기 전 기상자료만을 활용해 모의한 유출결과를 기준 시나리오로 설정하고 댐·보 지점을 대상으로 검보정을 진행하였다. 이후 각 건천화 영향요소를 적용한 유출 시나리오별 유량의 감소 비율과 건천화 기여 비율을 산정하여 영향평가를 수행하였다.

  • PDF

The Influence of Land Use on Water Quality in the Tributary of the Yeongsan River Basin (영산강수계 소하천 유역의 토지이용이 하천수질에 미치는 영향 분석)

  • Jung, Jae-Woon;Lim, Byung-Jin;Cho, So-Hyun;Choi, Jin-Hee;Song, Kwang-Duck;Ha, Don-Woo;Kim, Hae-Sung;Park, Seung-Ho;Hwang, Tae-Hee;Jung, Soo-Jung;Lee, Dong-Jin;Kim, Kap-Soon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45 no.4
    • /
    • pp.412-419
    • /
    • 2012
  • This study assessed the impacts of land use types on water quality in the tributary of the Yeongsan river basin. Temporal changes in water quality parameters (BOD, COD, TOC, T-P, T-N, SS) were investigated. 13 water sampling sites were selected; they were then collect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standard method. The results showed that water quality parameters of the study sites ranged as follows : BOD, from 0.3 to $21.9mg\;L^{-1}$ (mean $3.3mg\;L^{-1}$); COD, from 1.0 to $38.0mg\;L^{-1}$ ($6.4mg\;L^{-1}$); TOC, from 0.6 to $20.0mg\;L^{-1}$ ($4.5mg\;L^{-1}$); T-P, from 0.009 to $1.973mg\;L^{-1}$ ($0.144mg\;L^{-1}$); T-N, from 0.6 to $17.1mg\;L^{-1}$ (mean $3.5mg\;L^{-1}$); SS, from 0.3 to $292.0mg\;L^{-1}$ ($20.3mg\;L^{-1}$). Generally, the paddy and upland dominated region had high concentrations of water quality parameters, whereas the forest dominated region had low concentrations. In addition, water quality parameter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paddy and upland, whereas the parameter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forest. The result implies that paddy and upland are the dominant factors leading to stream pollution in the study sites, while a higher percentage of forest area contributes to improved water quality.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manage paddy and upland in order achieve efficient management of water quality.

Suitability Analysis of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using GSIS (GSIS를 이용한 환경친화적 도시개발 적지분석)

  • Choi, Seok-Keun;Park, Kyeung-Sik;Lee, Dong-Ju;Lee, Jae-K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Conference
    • /
    • 2007.04a
    • /
    • pp.349-352
    • /
    • 2007
  • [ $\ulcorner$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lrcorner$ 개정은 국토 개발에 있어서 '선 계획 후 개발'이라는 원칙하에 국토 및 도시를 삶의 질 향상, 도시공간의 효율적 개발, 관리, 보전하는데 환경친화적으로 관리하고자 하였다. 선 계획 후 개발이라는 기조 하에 도시공간의 사회적, 지형적, 지리적, 문화적 등 다양한 측면으로 검토 및 분석을 통해 보전과 개발의 적합한 토지를 분류하는 방안이 필수적일 것이며, 이에 대한 의사결정을 함에 있어서 과학적 효율적인 분석방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증평군을 대상으로 충남 연기군의 행정중심복합도시의 입지, 진천 음성군의 혁신도시 선정, 증평지방산업단지조성 등 도시 내 외의 여건변화 및 도시의 확장, 주변 도시인구의 지속적 증가 등으로 인한 도시공간구조 재검토를 위하여 GSIS 기법을 이용하여 공간분석을 수행하여 도시개발 적지분석을 수행하였다.

  • PDF

A Development of Tracking Methods for the Unexecuted Road Facilities Using Google Earth Images - Based on Gyeongsan City (Google Earth 영상을 활용한 미집행 도로시설의 추적기법 개발 - 경산시를 사례로)

  • Kim, Hyeon-Ho;Kim, Hung-Chel;Lee, Dong-Yoon;Kim, Jun-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10.09a
    • /
    • pp.314-317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도시계획결정 이후 예산등의 이유로 장기간 집행되지 않은 도시계획 도로시설의 가시적인 관리 및 활용에 있어 참고자료의 하나로서 Google Earth 영상을 이용하였다. 연구 대상지의 Google Earth 영상을 취득하여 미집행 시설을 추적한 결과, 실제의 토지이용현황을 구체적으로 반영함과 동시에 시간과 경제적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추적방법으로 평가 되었다. 향후 미집행 시설의 관리나 집행 시 기초적인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ffect Factors about Sediment Delivery Ratio in the Small Mountain Watershed (산지소유역의 토사유출률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 Shin, Seung-Sook;Park, Sang-Deog;Lee, Kyu-Song;Kim, Young-Min;Shim, Jae-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608-612
    • /
    • 2006
  • 산지사면에서의 토양침식량은 실제 유역을 빠져나가는 토사유출량과 같지 않다. 이는 토사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지형적인 요인 등에 의해 퇴적되거나, 가중되는 유수에 의해 더 많은 토양이 침식될 수 있기 때문이다. 토사유출률(SDR)은 유역의 크기뿐만 아니라 지형, 기후, 토양, 식생피복, 토지이용도 등에 관계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 특성인 강우크기에 따른 토사유출률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산불 이후 5년 동안 산지 소유역의 시험유역을 운영하여 유출 및 토사유출량을 실측하여 자료를 구축하였고, 이 유역에 산지지역의 토양침식 모형인 SEMMA을 적용하여 토양침식량을 산정하고 유역출구로 이송한 실제 토사유출량과 비교하였다. 5년 동안 SDR은 전반적으로 감소하고, 강우량, 강우강도, 강우에너지와 같은 강우사상의 크기에 따라 증가한다. SDR은 2001년에서 2002년까지 대부분 1.0 이상이고, 2005년에는 1.0을 초과하지 않으며, 강우특성 뿐만 아니라 식생피복, 산불시간경과 등의 인자에 의존한다.

  • PDF

Pattern Classification for the Analysis of Non-Point Pollution Discharge Characteristics in Commercial Area (상업지역의 비점오염원 유출특성 분석을 위한 패턴분류)

  • Park, Sung-Chun;Kim, Yong-Gu;Lee, Soo-Hyung;Jin, You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999-2003
    • /
    • 2009
  • 우리나라는 기상학적으로 연중 총강수량의 약 2/3가 $6^{\sim}9$월에 편중해서 내리고 있고, 지형적으로 국토의 70% 이상이 산지로 구성되어 경사가 급해 수해를 입을 가능성이 매우 크다. 또한 산업화 및 도시화로 인해 불투수층의 증가로 강수량의 대부분이 직접유출로 기여해 강우초기에 노면상의 오염물질을 급속히 하천으로 이동시켜 오염을 가중시키고 있다. 강우-유출수 처리에 있어서 처리용량 산정 등에 이용될 수 있는 초기강우의 기준은 비점오염원 유출 연구에 있어서 대단히 중요한 요소이며, 지금까지 많은 연구자들에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왔다. 그러나 유역을 구성하고 있는 토지피복에 따라 유출특성이 다르고 각각의 연구자들이 제안한 초기강우 기준이 명확하게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OM(Self-Organizing Map)이론을 도입하여 본 연구의 시험유역에서 측정된 유출 및 수질자료에 대해 패턴분류를 수행하여 분할구역별 자료의 특성분석을 분석한다.

  • PDF

Land use suitability analysis of Seoul based on ecopolis planning concept (생태도시 계획개념을 적용한 서울시 토지이용 적지분석)

  • 박종화;서창완;김원주;이동근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4 no.2
    • /
    • pp.107-119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arry out land use suitability analysis of Seoul Metropolitan City based on ecopolis planning concept or environmentally sound and sustainable development. Objectives of the analyses were to save energy by increasing urban density and allocating urban land use types near to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to increase food producing capacity by restoring fertile agricultural lands, and to enhance urban ecosystem by expanding and networking parks and green spaces. This study has two phases. First, the land use suitability analyses for commercial, industrial, residential, agricultural, and green spaces were carried out. Second, required urban land use .types were allocated based on ESSD concept. Two alternative land use plans were developed based on two population sizes:existing population of 11million and 4.4million derived by the application of ermergy theory of T. Odu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