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토양 효소 활성

검색결과 352건 처리시간 0.034초

한라산 구상나무 건전개체와 쇠약개체의 항산화효소활성 및 토양특성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and Soil Properties of Healthy and Declining Abies koreana (Wils.) in Mt. Halla)

  • 임종환;우수영;권미정;김영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6권1호
    • /
    • pp.14-20
    • /
    • 2007
  • 구상나무의 스트레스 적응능력을 보여주는 항산화효소활성, 건전개체와 쇠약한 개체의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윗세오름, 영실 그리고 성판악(진달래밭)지역의 건전개체와 쇠퇴개체를 조사 분석하였다. 항산화효소활성으로는 Ascorbate peroxidase(APX)와 Glutathione Reductase(GR)를, 토양특성으로는 토성, pH, 유기물함량, 전 질소함량, 유효인산, 양이온치환용량, 양이온의 함량을 분석하였고, 구상나무 잎을 채취하여 식물체의 양분함량을 분석하였다. APX, GR 효소 활성에 있어서 건전개체와 쇠약한 개체 사이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계절적으로 6월과 8월에 비해 9월의 항산화효소 활성도가 낮게 나타났다. 토양분석 결과 유기물함량, 전질소, 유효인산, 양이온치환용량, 양이온 함량이 건전개체가 있는 곳에 비해 쇠약한 개체가 있는 곳의 토양이 낮게 나타났다.

대두에서 수분장해 및 회복시 엽중 항산화효소의 활성 변화 (Change of Antioxidant Enzymes Activities in Leaves of Soybean(Glycine max) during Water Stresses and Following Recovery)

  • 강상재;김태성;박우철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64-170
    • /
    • 1999
  • 대두에서 한발과 담수와 같은 수분스트레스시 항산화제의 함량변화와 항산화 효소의 활성도 턴화를 확인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두에서 한발과 담수 수분스트레스 처리시 두 품종모두 수분 함량과 가용성 단백질 함량이 감소하는 미성숙 노화를 나타내었으며 스트레스의 회복시는 회복되었다. 수분스트레스시 APOX, GR의 효소활성은 감소하였고, 스트레스의 회복시 효소활성이 회복되었다. MDHAR 효소 활성은 기간별 처리시 품종별 차이는 있었지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회복기를 주었을 때 조금 감소하였지만 일정수준을 유지하였다. DHAR의 효소활성은 기간별 처리시와 회복시 모두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3일간의 회복기를 주었을 때 효소활성변화는 스트레스시의 결과와 비슷하였으나, 처리기간별 수분 스트레스시 은하콩의 경우 MDHAR과 DHAR의 효소활성이 모두 증가하였다. 아스코브산의 함량온수분 스트레스 처리 기간별과 수분 스트레스 회복시 모두 MDHAR과 DHAR의 효소활성과 상호관련이 높았고, 환원형 글루타치온의 함량은 수분 스트레스 처리 기간별에서는 GR의 활성과 관련이 없었으나 수분 스트레스 회복기를 주었을 때 상호관련이 높게 나타났다.

  • PDF

토양으로부터 분리한 Klebsiella pneumoniae 의 pullulanase 유전자의 cloning 및 발현

  • 유주현;공인수;정용준;이정기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198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18.2-519
    • /
    • 1986
  • 토양으로부터 분리한 질소고정균인 Klebsiella pneumoniae NFB320의 chromosomal DNA를 BamHI으로 절단하여 동일한 제한효소로 절단한 pBR322에 ligation시켜 E. coli HB101에 형질전환을 행하여 pullulanase activity를 나타내는 clone을 얻어내었다. 이 형질 전환체로부터 분리한 pullulanase 유전자가 재조합된 plasmid DNA는 약 10kb의 DNA단편을 가지고 있었으며, 재조합된 plasmid로부터 생산되는 pullulanase의 특성은 최적 활성 pH가 6.0이며, 효소의 pH안정성은 5-10이었다. 또한 형질 전환체로부터 생산되는 pullulanase의 localization,효소활성에 영향을 미치는 온도안정성 둥을 조사하였다.

  • PDF

유기물 연용이 감자재배 비화산회토양의 화학성과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nsecutive Application of Organic Matter on Soil Chemical Properties and Enzyme Activity in Potato Cultivation Soil)

  • 좌재호;문경환;서형호;최경산;김성철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801-807
    • /
    • 2011
  • 유기물 연용이 감자재배 토양의 토양화학성과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비화산 암갈색 토양에서 1년 2기작으로 3 작기 동안 감자재배를 하였다. 유기물은 작기당 유기질비료와 음식물퇴비는 $2,000kg\;10a^{-1}$, 돈분퇴비는 2,000, 4,000, and $6,000kg\;10a^{-1}$을 기준으로 시용하였다. 토양 pH는 3 작기 후 모든 처리구에서 높았다. PMC 시용량이 많을수록 토양 pH, 토양질소, 유효인산, 치환성 양이온 (칼륨, 칼슘 및 마그네슘), Zn, Cu 함량이 증가하였다. 토양 탈수소효소활성은 PMC 시용량이 많고 작기가 증가할수록 대조구 보다 3작기 후는 PMC 4톤구가 2배 이상 높았으며, PMC>FWC>NPK+PMC>MOF 순으로 증가하였다. 토양인산효소활성은 PMC 6톤구에서 가장 높았다. 3작기 동안 유기물 처리구의 Zn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탈수소효소 활성이 직선적으로 증가하였으며 MOF구 $R^2$=0.427, FWC 구 $R^2$=0.427, PMC구 $R^2$=0.411 (p<0.01)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함질소제초제(含窒素除草劑)가 토양환경(土壤環境)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 1 보(第 1 報) 함질소제초제(含窒素除草劑)가 토양중(土壤中) Urease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Changes of the Activity of Nitrogen-containing Herbicides in Soils -Part 1. Effects of Nitrogen-Containing Herbicides on the Urease Activity in Soils-)

  • 홍종욱;조상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2권4호
    • /
    • pp.217-220
    • /
    • 1979
  • 요소(尿素)를 첨가(添加)한 토양(土壞)과 첨가(添加)하지 않은 토양(土壞)에 함질소(含窒素) 제초제(除草劑) asulam, dimetametryne, linuron을 처리(處理)하여 $25^{\circ}{\pm}1^{\circ}C$에서 항온배양(恒溫培養)하면서 효소(酵素) urease activity의 변화(變化)를 경시적(經時的)으로 검사(檢討)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요소(尿素)를 첨가(添加)하지 않은 토양(土壤)에서 dimetametryne 및 linuron 약제(藥劑) 처리(處理)에서는 urease의 활성(活性)이 상당히 높았으며, 배양기간(培養期間)이 경과(經過)하면서 약제처리(藥劑處理) 농도(濃度)가 높음에 따라 효소활성(酵素活性)이 다소(多少) 높게 지속(持續)되어 갔다. 반면(反面) 요소(尿素)를 첨가(添加)한 토양(土壤)에서는 asulam과 dimetametryne 약제(藥劑)에 의(依)해서는 효소활성(酵素活性)이 상당히 억제되었으나 linuron 약제(藥劑)는 이와 다르게 요소단독처리구(尿素單獨處理區)보다 다소(多少) 높은 효소활성(酵素活性)을 보였다.

  • PDF

토양처리(土壤處理) 농약제(農藥劑)의 분해율(分解率)에 관한 연구(硏究) -제1보(第一報). Parathion의 토양중(土壤中) 분해(分解)에 대하여- (Degradation Pattern and Rate of Some Pesticides in Soils -Part I. Degradation Pattern and Rate of Parathion in Soils-)

  • 임선욱;강규영;최용락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6권4호
    • /
    • pp.239-247
    • /
    • 1983
  • 토양처리(土壤處理) 살충제(殺蟲劑)인 parathion을 토양수분조건(土壤水分條件)과 약제(藥劑)의 농도(濃度), 온도(溫度), pH, 및 토양미생물(土壤微生物)의 영향에 의해 분해(分解)되는 양상(樣相) 과 토양(土壤) 효소활성(酵素活性)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實驗)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침수답토양(?水畓土壤) 조건(條件)이 비침수(非浸水) 상태(狀態)보다, 전토양(田土壤)에서는 수분(水分)이 많은 처리구(處理區)에서 분해(分解)가 빨랐으며 답(沓)전토양(田土壤) 모두 저온구(低溫區)에 비해 고온구(高溫區)에서, 저농도(低濃度)보다 고농도(高濃度) 처리구에서, 토양(土壤) pH 수준이 높은구에서 분해율(分解率)이 증가하였고, 토양(土壤) pH 수준이 높은구에서 분해율(分解律)이 증가하였고, 포도당 첨가는 분해를 증대시켰는데 살균토양(殺菌土壤)은 비살균토양(非殺菌土壤)에서 보다 완만한 분해(分解)를 나타냈다. 상기(上記) 몇가지 인자(因子)들의 영향하에서 답토양(沓土壤)이 전토양(田土壤)보다 분해(分解)가 빨리 일어났다. 시기별로 채취한 시료에서 확인(確因)된 분리산물(分利産物)로는 paraoxon, aminoparathion, p-nitrophenol과 p-aminophenol 등이 논.밭 토양(土壤)에서 똑 같았다. 토양효소(土壤酵素) acid phosphatase의 활성(活性)은 처리농도(處理濃度)가 높은 구에서 밭 토양(土壤)은 비침수상태(非浸水狀態), 논 토양(土壤)은 침수조건(浸水條件)에서, 토양(土壤) pH가 높은 수준일 수록 활성(活性)이 더욱 저하(低下)되었고, 살균토양(殺菌土壤)은 활성(活性)이 거의 없었고 포도당 첨가구엔 크게 증가(增加)하는 경향이었다. Urease와 dehydrogenase의 활성(活性)은 처리농도(處理濃度)가 높을수록 더욱 저하(低下)되었으며, 모든 토양효소(土壤酵素)는 밭 토양(土壤)이 논 토양(土壤)보다 활성(活性)이 전(全) 처리구(處理區)에서 낮았다.

  • PDF

송이 균환(菌環) 주변(周邊)의 토양미생물(土壤微生物)과 토양효소(土壤酵素)의 동태(動態) (Dynamics of Soil Microflora and Soil Enzymes around the Fairy-rings of Tricholoma matsutake)

  • 허태철;박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0권6호
    • /
    • pp.767-773
    • /
    • 2001
  • 송이가 토양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균환 통과부, 자실체 발생부, 활성균환부 및 균환 전진예정부로 나누어 송이 균환의 발달에 따른 토양미생물과 토양효소의 동태를 조사하였다. 송이 균환부는 진균류와 방선균류의 수에서 일반 산림토양에 비하여 적었으며 균환 발달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었다. 송이 균환이 점유하고 있는 자실체 발생부와 활성균환부는 토양 미생물의 양이 균환 전진예정부에 비하여 약 ${\frac{1}{3}}$이하이었으며, 상대적으로 송이 균이 우세한 지위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여겨졌다. 탈수소효소 활성은 송이의 활성균환부와 균환 전진예정부간에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어 송이의 균근적인 특성이 명확히 드러났다. 송이 균환부 주변 토양의 탈수소효소 활성은 자실체 발생초기인 8월 말에 가장 높았던 반면, 인산가수분해효소는 3월에서 6월로 갈수록 높아졌다가 8월에는 감소하였지만 10월에 다시 높은 활성을 보였다. 이를 통하여 송이 자실체가 형성된 이후에도 송이 균의 활력이 충분히 유지되는 것으로 추론할 수 있었다.

  • PDF

유기성폐자원을 이용한 산불토양의 생태학적 복원을 위한 토양의 생물학적, 물리화학적 기초특성연구 (Basic study on the biological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urnt forest soil for the ecological restoration by organic waste)

  • 정영률;송인근;김영준
    • 유기물자원화
    • /
    • 제13권1호
    • /
    • pp.79-89
    • /
    • 2005
  • 유기성폐기물 및 토양미생물을 이용하여 산불로 훼손된 산림토양을 생태적으로 복원하기 위한 일환으로 동해안 지역에서 발생한 산불토양의 물리화학적 환경요인 및 생물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토양 시료는 산불의 영향을 받지 않은 정상토양(US), 산불 후 자연적으로 복원된 토양(NS)과 산불 후 인위적인 복원이 시도된 토양(AS) 등, 세 지역의 표토와 심토를 이용하였다. 모든 토양 시료는 사질토가 우세한 pH5.34~5.78의 산성 토양이었으며, 함수량은 정상토양에서 높게 나타났고 자연복원지와 인위복원지에서는 표토의 함수량이 심토보다 낮았다. 총 유기물량과 수용성 당량은 정상토양에서 특히 높았으며, 전체적으로 심토보다 표토에서 높게 나타났다. 토양 종속영양세균의 군집크기는 정상토양의 표토 (UST)와 자연복원지 심토(NSS)에서 크게 나타났으며, 탈수소효소, 섬유소 분해효소, 산성 인산 분해효소의 활성도는 정상토양에서 높게 나타났다. 미생물 작용의 1차지표가 되는 탈수소효소의 활성도는 함수량과 0.902 (P<0.05)의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 PDF

메밀경작에 의한 논토양 내 아연존재형태 및 탈수소효소-활성도 변화

  • 남윤선;이인숙;배범한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0권11호
    • /
    • pp.1154-1160
    • /
    • 2008
  • 아연 폐광지 부근의 논토양에서 메밀(Fagopyrum esculentum)을 이용한 식물상추출공법 적용 전후에 대해 토양 내 아연 형태 및 탈수소효소활성도 변화를 조사하였다. 메밀을 식재한 논토양은 아연농도는 약 600 mg/kg인 고오염 구역과 약 300 mg/kg인 저오염 구역으로 구분되었다. 메밀을 재배한 결과, 메밀은 고농도 구역에서 아연에 의한 성장 저해를 입었으나 토양으로부터 식물유효성 형태의 아연을 흡수하여 식물체내에 축적하였고, 아연 독성으로 저해된 토양 내 탈수소효소활성도를 증가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2개월 동안 메밀을 재배한 후 근권 토양 내 식물유효성 아연 농도는 고오염 구역에서 약 25% 감소, 저오염 구역에서 약 70% 감소하였다. 근권 토양에서 감소한 식물유효성 아연의 양은 식물체내에 축적된 아연의 양과 유사하여(Recovery 92$\sim$107%), 메밀이 토양 내 식물유효성 아연을 제거 및 축적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토양 내 총 아연 농도와 토양 탈수소효소활성도는 음의 상관관계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초기에 고오염 토양에서는 저오염 토양에 비하여 토양 탈수소효소활성도가 약 2배 저해되었지만 메밀 재배 후 각각의 근권에서 약 35%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함유황(含硫黃) 농약(農藥)이 토양중(土壤中) Arylsulfatase의 활성(活性)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Sulfur-containing Pesticides on the Arylsulfatase Activity in Soil)

  • 이상팔;김장억;홍종욱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8권
    • /
    • pp.19-27
    • /
    • 1990
  • 농약(農藥)이 토양환경중(土壤環境中)의 생화학적(生化學的)인 변화과정중(變化過程中) 효소활성(酵素活性)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토양내(土壤內)에 요소시비(尿素施肥)의 유무(有無)에 따라 유황(硫黃)이 함유(含有)된 살균제(殺菌劑), 살충제(殺蟲劑), 제초제(除草劑)를 처리(處理)하였을 때 토양내(土壤內)의 arylsulfatase의 활성(活性)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요소(尿素)를 첨가(添加)하지 않은 토양(土壤)과 첨가(添加)한 토양(土壤) 모두 배양(培養) 7일(日)째 arylsulfatase의 활성(活性)이 가장 높았고 배양기간(培養期間)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漸次) 낮아져 배양(培養) 42일(日)째는 처음 수준(水準)으로 되었으며 요소(尿素)를 첨가(添加)한 토양(土壤)에서는 요소(尿素)를 첨가(添加)하지 않은 토양(土壤)보다 전반적(全般的)으로 다소 높은 효소활성(酵素活性)을 나타내었다. 살균제(殺菌劑)인 captan, edifenphos, 살충제(殺蟲劑)인 acephate, 제초제(除草劑)인 asulam, bentazone 처리구(處理區)에서는 배양(培養) 7일(日)째 arylsulfatase의 활성(活性)이 가장 높았으나 배양초기(培養初期)부터 배양(培養) 42일(日)까지 전반적(全般的)으로 효소활성(酵素活性)을 저해(沮害)하는 경향(傾向)을 나타내었으며 요소(尿素)를 첨가(添加)한 토양(土壤)에서도 같은 경향(傾向)을 보였다. 살충제(殺蟲劑) EPN을 처리(處理)하였을때는 요소(尿素)를 첨가(添加)한 토양(土壤)이나 첨가(添加)하지 않은 토양(土壤) 모두 배양초기(培養初期)에는 활성(活性)이 저해(沮害)되었으나 배양후기(培養後期)에는 오히려 활성(活性)이 촉진(促進)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