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토양지도

Search Result 214, Processing Time 0.067 seconds

Estimation and Mapping of Soil Organic Matter using Visible-Near Infrared Spectroscopy (분광학을 이용한 토양 유기물 추정 및 분포도 작성)

  • Choe, Eun-Young;Hong, Suk-Young;Kim, Yi-Hyun;Zhang, Yong-Seon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43 no.6
    • /
    • pp.968-974
    • /
    • 2010
  • We assessed the feasibility of discrete wavelet transform (DWT) applied for the spectral processing to enhance the estimation performance quality of soil organic matters using visible-near infrared spectra and mapped their distribution via block Kriging model. Continuum-removal and $1^{st}$ derivative transform as well as Haar and Daubechies DWT were used to enhance spectral variation in terms of soil organic matter contents and those spectra were put into the PLSR (Partial Least Squares Regression) model. Estimation results using raw reflectance and transformed spectra showed similar quality with $R^2$ > 0.6 and RPD> 1.5. These values mean the approximation prediction on soil organic matter contents. The poor performance of estimation using DWT spectra might be caused by coarser approximation of DWT which not enough to express spectral variation based on soil organic matter contents. The distribution maps of soil organic matter were drawn via a spatial information model, Kriging. Organic contents of soil samples made Gaussian distribution centered at around 20 g $kg^{-1}$ and the values in the map were distributed with similar patterns. The estimated organic matter contents had similar distribution to the measured values even though some parts of estimated value map showed slightly higher. If the estimation quality is improved more, estimation model and mapping using spectroscopy may be applied in global soil mapping, soil classification, and remote sensing data analysis as a rapid and cost-effective method.

Spatial Estimation of Satellite-based Evapotranspiration by Energy Balance (에너지 수지에 의한 인공위성 데이터 기반 공간 증발산량 산정)

  • Hwang, Kyo-Taek;Choi, Min-H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585-1590
    • /
    • 2010
  • 토양으로부터 발생하는 증발과 식물에서 일어나는 증산을 모두 포함하는 증발산은 일반적으로 연구된 물리식과 경험식 등을 이용하여 산정하고 lysimeter 실측 자료를 이용하여 지역 특성에 맞게 검증하는 방법을쓰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방법은 어느 한 점에만 국한되어 적용되기 때문에 공간적인 제약이 있으며 외부환경의 영향을 크게 받는 증발산의 특성상 이를 일반화하는 데에도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이러한 점들을 보완하고 해결하기 위해 원격탐사 (Remote Sensing)를 이용하여 넓은 지역에 분포되어 있는 증발산량을 공간적으로 산정하고자 한다. 증발산량은 크게 물수지, 에너지수지 방법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에너지수지 방법을 기반으로 한 원격 이미지 처리 모형을 이용하여 에너지 수지식의 각 항을 이루는 순복사 에너지, 토양열 플럭스, 현열 플럭스와 함께 증발산을 나타내는 잠열 플럭스를 통합적으로 처리하여 산정, 이를 지도로 나타내고 기본적인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작성된 지도는 유역 내 토지 피복, 식생 분포, 고도 등 외부 인자들의 변화에 따라 증발산량이 공간적으로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알아볼 때 유용하게 쓰일 것이며, 다른 증발산 지도와의 비교를 통해 연구지역에서의 시간 변동성을 파악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Mapping and Evaluation of Flood Vulnerable Area by Logistic Approach (Logistic 접근법에 의한 홍수취약지구의 매핑 및 평가)

  • Lee, Jae Yeong;Keum, Ho Jun;Kim, Beom Jin;Kim, Hyun Il;Han, Kun Y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15-215
    • /
    • 2019
  •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세계 각지에서 태풍이나 집중호우로 인한 침수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그 원인으로는 수공구조물의 설계빈도를 초과하는 강우, 도시지역 확장으로 인한 불투수지역의 확대, 배수시설의 용량부족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치지형도, 토양도, 토지이용도 등 누구나 쉽게 구할 수 있는 자료를 이용하여 홍수로 인한 피해가 발생하기 쉬운 지역을 선별하고자 하였다. 우선 강우가 지표면에 도달하게 되면 지표면의 경사, 토양의 특성, 토지이용 등에 영향을 받아 침투되지 못하고 표면에 고이게 되는데 이를 유출생성지도로 표현하였다. 그리고 이렇게 생성된 표면유출수가 지표면의 경사, 지표면의 요철(凹凸), 도로나 철도 등의 인공선형축 등에 영향을 받아 흐르기 쉬우며 이를 유출이동지도로 표현하였다. 또한, 이동된 유출수가 고이기 쉬운 저지대, 지표면의 요철 등으로 인해 누적되는 유출누적지도로 표현하였다. 유출생성지도는 이동, 누적지도의 입력자료가 되어 상류의 유출생성의 정도가 하류지역에 영향을 주도록 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유출이 동지도와 누적지도가 실제 침수흔적도와 얼마나 일치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서울시 침수흔적도와 비교하였다. 기존의 재해 지도를 얻기 위해서는 강우량을 조사하여 수치모형에 입력함으로써 1차원 또는 2차원의 침수예상도를 작성하는 반면에 본 연구에서는 지형 정보만을 가지고 취약지구를 선정하기 때문에 유역전체 또는 시, 도 단위로 광범위한 연구 영역에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Spatial MCDM 등을 통해 여러 Raster 자료를 하나의 지표로 나타내기보다 유출수가 생성(또는 이동, 누적)되기 쉬운 지역을 1, 그렇지 않은 지역은 0으로 표현하는 이분법적 분석을 통해 가중치설정과 모호한 경계의 처리 때문에 사용자 및 자료에 따라 취약한 지역이 달라지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표면 유출수로 인해 침수피해가 발생하기 쉬운 지역을 홍수취약지구로 선정하여 침수재해 중점관리 우선순위가 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Soil Contamination(Maps) Using the Handheld XRF and GIS in Abandoned Mining Areas (휴대용 XRF와 GIS를 이용한 폐광산 지역의 토양오염에 관한 연구)

  • Lee, Hyeon-Gyu;Choi, Yo-So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7 no.3
    • /
    • pp.195-206
    • /
    • 2014
  • In this study, soil contamination maps related to Cu and Pb were created at the Busan abandoned mine in Korea using a handheld X-Ray Fluorescence(XRF)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GIS). Hydrolog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Digital Elevation Model(DEM) of the study area to identify the flow directions of surface runoff where pollutants can be dispersed from the soil contamination sources. 24 locations for measuring the soil contamination related to Cu and Pb were selected by considering the result of hydrological analysis. The results measured at the 24 locations using the handheld XRF showed that the highest value of Cu contamination is 8,255ppm and that of Pb is 2,146ppm. The field investigation data were entered into ArcGIS software, and then soil contamination maps regarding Cu and Pb with a 5m grid-spacing were created after performing spatial interpolations using the ordinary kriging method. As a result, we could know that high concentrations of Cu and Pb are presented at the waste and tailings dumps around the abandoned mine openings. This study also showed that the handheld XRF and GIS can be utilized to create soil contamination maps related to Cu and Pb in the field.

학회순례 - 1968년 창립 1천여 회원 농업발전 공헌 "한국토양비료학회"

  • Sin, Je-Seong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3 no.6 s.373
    • /
    • pp.90-91
    • /
    • 2000
  • 한국토양비료학회는 '보리고개'의 악몽이 채 가시지 않았던 1968년에 창립되어 토양개량과 적정시비를 통해 우리나라 농업발전에 크게 기여해 왔다. 농업인, 농업연구지도직, 대학교수 등 1천여명의 회원으로 구성된 이 학회는 매년 두 차례 학술발표회를 열고 있으며 1988년과 1996년에는 국제 심포지엄을 유치하는 등 다양한 학술활동을 펴왔다. 특히 올해부터는 학회지를 영문으로 연 6회 발행하고 있으며 젊은 과학자 중심으로 해외 학술활동에도 적극 참여하고 있다.

  • PDF

토양 정밀 조사에 의한 폐광산 주변 토양의 오염 부지 특성 규명

  • 차종철;이정산;이민희;최정찬;김진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3.09a
    • /
    • pp.346-349
    • /
    • 2003
  • 광산 및 폐광산으로부터의 오염 및 유해영향에 대한 보고와 관심이 대두되면서 휴ㆍ폐광산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경북 군위군의 고로 폐광산 주변 중 광미 및 광폐석으로 오염된 것으로 생각되어지는 하천 및 농경지에 대한 오염 정도와 분포를 규명하기 위하여 토양정밀조사를 실시하였다. 토양 오염 정밀조사 지침에 따라 총 741개의 토양 시료 분석 결과 Cu, Cd, Pb은 토양오염 우려 기준에 훨씬 미치지 못하였지만 As는 표토 및 심토 구간(0-30cm)에서 토양 오염 우려 기준 농도를 상당 수 초과하여 하천 및 농경지의 복원이 필수적임을 알 수 있었다. 합리적인 복원물량을 산출하기 위하여 배경치 농도(1.23mg/kg), 토양오염우려기준 40%농도(2.4mg/kg), 토양오염우려기준농도(6mg/kg), 토양오염대책기준농도(15mg/kg)별로 오염 등급을 나누어 오염 지도를 작성하고 각 등급별 복원목표에 따라 복원이 필요한 면적과 복원대상물량을 산출하였다. 본 연구는 오염토양의 복원을 목적으로 국내에서 최초로 실시된 대규모의 토양정밀조사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이 결과는 실제 고로 폐광산지역의 복원 사업설계에 중요한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 PDF

Using Detailed Soil Maps(1:5,000) to Estimate SCS Runoff Curve Number in a Small Watershed (SCS-CN 산정을 위한 수치세부정밀토양도의 활용)

  • Hong, Suk-Young;Jung, Kang-Ho;Choi, Chol-Uong;Jang, Min-Won;Kim, Yi-Hyun;Ha, Sang-K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06-115
    • /
    • 2007
  • 농촌진흥청에서 제공하고 있는 수치토양도는 수문 수자원 분야에서 SCS-CN법을 이용한 유효우량 및 유출곡선 산정에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다. 토양조사 국책사업 결과 전산화된 토양도 및 토양검정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한 토양정보 웹 시스템은 전국의 토양 전자지도와 토양 통계 자료를 주제별로 검색하거나 필지별 토양분석 성적에 따른 토양관리처방서를 조회하는데 사용되는 농업분야 이외의 사용자 그룹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활용 및 유통 요구도가 높아지고 있다. 수치토양도가 수문학적 토양유형 정보를 포함하도록 제공하는 것이 먼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고 다음으로는 수문 수자원 분야 활용 측면에서 수치토양도가 제공하는 속성, 축척, 제공형태, 좌표체계, 서비스 방식 등에 대하여 활용정책을 마련하여 이에 따라 자료가 유통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앞으로 활용이 가능하게 될 수치세부정밀토양도와 토양유형을 이용하여 충북 괴산군 소수면의 소유역에 대해 SCS 삼각법에 따른 단위도 작성, 유효우량 산출 및 유출곡선을 작성한 결과 농업과학기술원의 정 등(2006)이 분류한 토양유형을 이용한 결과 정 등(1995)에 따른 토양유형을 이용한 결과에 비해 CN값과 유효우량이 더 높게 나타났고 삼각단위도로부터 유도한 정점의 유출량과 시간별 유량 관측값에 더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 PDF

Farmland Use Mapping Using High Resolution Images and Land Use Change Analysis (고해상도 영상을 이용한 농경지 지도 작성 및 토지이용 변화 분석)

  • Lee, Kyungdo;Hong, Sukyoung;Kim, Yihyun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45 no.6
    • /
    • pp.1164-1172
    • /
    • 2012
  • This study aims to make a "farmland use map" using high-resolution images and to analyze the land use change for about 8 years in Goyang, Namyangju, and Yongin cities. We have made a new numerical map named as a farmland use map using high-resolution images taken mostly in 2007 and digital topographical maps in Goyang, Namyangju, and Yongin cities near metropolitan areas to classify farmland use of paddy, upland, plastic film house, and orchard. We also made a land use map by overlaying the farmland use map and the land registration map of each city made in 2007, and compared the land use map made by RDA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in 1999. Paddy areas decreased at a range of 3,000 to 5,000 ha during 8 years and were changed to residential areas in the cities. Upland and orchard areas also showed similar tendency and were changed to residential areas as well. On the other hand, the areas of the plastic film houses in the cities showed an increase or same in size. It is suggested that farmland use map can be broadly used as a base map for various survey projects including soil survey, statistics, and farmland information mana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