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토양용액

검색결과 465건 처리시간 0.033초

Xenorhabdus nematophilla 유래물질 벤질리덴아세톤의 고추 병해 방제 효과 (Control Effects of Benzylideneacetone Isolated from Xenorabdus nematophilla K1 on the Diseases of Redpepper Plants)

  • 박수진;전미현;천원수;서지애;이영근;김용균
    • 식물병연구
    • /
    • 제16권2호
    • /
    • pp.170-175
    • /
    • 2010
  • 벤질리덴아세톤은 모노테르펜 화합물로 곤충병원세균인 Xenorhabdus nematophilla K1의 대사물질이다. 본 연구는 벤질리덴아세톤을 이용하여 고추의 두 가지 주요 병해에 대한 방제 가능성이 조사되었다. 벤질리덴아세톤은 역병균 Phytophthora capsici와 탄저병균 Colletotrichum acutatum에 대해 강력한 억제능력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벤질리덴아세톤의 항균력은 태양이 비치는 자연조건에서 60일 이상 유지되었으며, 토양수 내에서도 상실되지 않았다. 벤질리덴아세톤을 혼합한 토양에 심겨진 고추 근권토양에 Phytophthora capsici 현탁액을 관주하였을 때, 역병 발생이 크게 감소되었다. 또한 Colletotrichum acutatum에 오염된 고추 열매 표면에 벤질리덴아세톤 용액을 살포하여 탄저병 발생을 억제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벤질리덴아세톤을 고추 역병과 탄저병 방제용 농약으로 개발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두 사막식물(沙漠植物)에 미치는 Boron 의 영향 (Effect of Boron Levels on Two Desert Plant Species)

  • 차종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37-140
    • /
    • 1973
  • 두 사막식물(沙漠植物)을 여러 단계의 Boron level을 가진 수경재배액에 생육(生育)하였다. 두종(種) 모두 Boron의 다량(多量) 축적에 대단한 저항력을 보였다. 그러나 F. dumosa는 영양용액내(內) 10ppm 및 그 이상(以上)의 level에서 상당히 높은 양을 축적하였다. F. dumosa에서 생산량(量) 감소가 50 및 100ppm구(區)에서 나타났다. Boron의 높은 level은 F. dumosa에서 근내(根內) K의 level을 감소시키는 결과(結果)를 가져왔다. A. hyfnenelytra의 생산량은 Boron 20ppm구(區) 까지는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이 level에서 엽내(葉內) Boron의 함량(含量)은 다만 156ppm에 불과했다. 고(高)농도의 Boron은 A. hymeaelytra 엽내(葉內) Boron의 함량(含量)을 점차적으로 증가시키지는 못했다. 사막에서 이들 2종(種)의 분포(分布)는 토양내(內)에 Boron의 많은 양(量)이 존재해서 Boron의 적은 양(量)을 축적하는 그들의 능력에 관계된것 같다.

  • PDF

CR-39를 사용한 제주도지역 토양중의 라돈측정 (Measurement of Radon Concentration in the near-surface Soil Gas by CR-39 Detectors)

  • 강동우;김현구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13권2호
    • /
    • pp.57-66
    • /
    • 1988
  • CR-39 검출기를 부착한 두 종류의 라돈컵을 사용하여 토양중의 라돈 농도를 제주도 일원의 4개지역(제주시, 서귀포시, 대정읍, 성산읍)에서 측정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CR-39 검출기의 최적 부식조건을 $70^{\circ}C$, 6.25N NaOH, 5.5시간으로 결정하였으며, 두 종류의 라돈컵을 지름 15cm, 깊이 50m인 두개의 땅구덩이에 각각 설치하였는데 이중 밀폐된 라돈컵은 구덩이 바닥의 토양 위에, 개방된 라돈컵은 지지대를 이용하여 바닥에서 45cm높이에 설치하였다. CR-39의 부식조건으로는 $70^{\circ}C$의 6.25N NaOH 용액에서 5.5시간 동안 처리하였으며 환산인자로 $1track/mm^{2}{\cdot}30day=0.059Bq/\ell$을 얻었다. 1987년 5월 1일부터 1988년 4월 23일까지 측정한 결과 30일간의 평균 라돈 농도의 연평균치는 개방된 라돈컵과 밀폐된 라돈컵에서 각각 $3.1{\pm}0.3Bq/{\ell}$$1.7{\pm}0.2Bq/\ell$였다.

  • PDF

특이산성답(特異酸性畓) 토양(土壤)의 개량(改良)을 위(爲)한 석회시용(石灰施用) 효과(?果)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f Liming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an Acid Sulphate Paddy Soil)

  • 박영선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7권3호
    • /
    • pp.193-218
    • /
    • 1974
  • 본(本) 연구(硏究)는 산도(酸度)가 극(甚)히 높고 수도(水稻)의 생육(生育)이 저조(低調)하며 수량(收量)이 낮은 특이산성답(特異酸性畓) 토양(土壞)에 대(對)한 특성조사(特性調査)와 그 개량(改良)의 목적(目的)으로 석회(石灰)를 시용(施用)하였을 때 토양(土壞)의 화학적(化學的) 성질(性質)과 수도묘(水稻苗)의 생육(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검사(檢討) 연구(硏究)하고져 하였다. 즉(則) 특이산성답토양(特異酸性畓土壞)에서 석회(石灰)의 시용(施用)이 그 토양(土壤)의 산도(酸度), 산화환원전위차(酸化還元電位差), 2가철(價鐵), 알루미늄 및 황산함량(黃酸含量)의 변화(變化)와 토양인(土壞燐)의 화학적(化學的) 형태(形態)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담수(湛水) 및 건조(乾燥)와 같은 환경(環境)의 변화하(變化下)에서 추구(追究)하였으며 한편 수도(水稻)의 묘생육(苗生育)에 대(對)하여 인산(燐酸), 철(鐵) 및 알루미늄의 개량적(改良的) 또는 저해적(沮害的) 효과(效果)를 석회(石灰)의 영향하(影響下)에서 검사(檢討)한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특이산성답(特異酸性畓) 심토(心土)는 석회(石灰)가 시용(施用)되어도 건조(乾燥)되면 다시 pH가 저하(低下)된다. 2. Eh는 담수(湛水) 5일경(日頃)에 최저(最低)로 되고 석회시용(石灰施用)으로 크게 하강(下降)되나 건조(乾燥)되면 다시 상승(上昇)된다. 3. 수용성(水用性) 및 Morgan 용액가용(溶液可溶) 2 가철(價鐵)의 함량(含量)은 담수(湛水) 15일경(15日頃)에 최고(最高)로 되며 수용성(水用性) 2 가철(價鐵)만이 석회시용(石灰施用)에 의(依)하여 크게 감소(減少)된다. 4. 수용성(水用性) 및 Morgan 용액가용(溶液可溶) 알루미늄 함량(含量)은 담수(湛水)와 석회시용(石灰施用)으로 감소(減少)되며 건조(乾燥)에 의(依)하여 약간 증가(增加)되는 경향(傾向)이다. 5. 석회(石灰)를 시용(施用)한 특이산성답(特異酸性畓) 토양(土壞)에서 수용성(水用性) 석회(石灰)와 황산함량(黃酸含量) 간(間)에는 고도(高度)의 유의성(有意性) 있는 부상관(負相關) 관계(關係)가 있으며 석회시용(石灰施用)은 토양(土壞)의 황산함량(黃酸含量)을 감소(減少)시킨다. 6. 전린(全燐)은 특이산성답(特異酸性畓) 표토(表土)에서 496.3ppm, 심토(心土)에서 387.5ppm이었으며 무기인(無機燐)의 함량(含量)은 Fe-P>Occ.Fe-P>Ca-P>Occ.Al-P>Al-P 의 순(順)으로 Fe-P가 가장 많았다. 7. 석회시용(石灰施用)은 토양(土壞)의 Ca-P나 Al-P 등(等)을 크게 증가(增加)시키고 Occ. Fe-P와 Occ. Al-P도 증가(增加) 시키나 Fe-P는 감소(減少)시키는데 그 정도(程度)는 토양(土壞)에 따라 다르다. 8. 수도묘(水稻苗)의 건물중(乾物重)에 대(對)한 인산효과(燐酸?果)는 현저(顯著)하며 석회(石灰)를 시용(施用)하지 않을때는 인산(燐酸) 흡수계수(吸收係數)의 6.8%, 석회(石灰)를 시용(施用)할 때는 인산(燐酸) 흡수계수(吸收係數)의 10.0% 해당량(該當量)에서 가장 많은 건물중(乾物重)을 생산(生産)하였다. 9. 석회(石灰) 시용(施用)은 수도묘중(水稻苗中)의 석회(石灰) 및 규산(珪酸)의 함량(含量)과 그 흡수량(吸收量)을 증가(增加)시키나 철(鐵) 및 알루미늄함량(含量)과 그 흡수량(吸收量)을 감소(減少)시킨다. 묘중(苗中)의 인산함량(燐酸含量)이나 흡수량(吸收量)은 인산시용(燐酸施用)으로 증가(增加)되나 철함량(鐵含量)은 감소(減少)되며, 철(鐵)이나 알루미늄의 시용(施用)은 이들의 함량(含量)과 흡수량(吸收量)을 증가(增加)시키나 인산함량(燐酸含量)과 흡수량(吸收量)은 감소(減少)시킨다. 10. 석회(石灰)의 시용(施用)은 과잉(過剩)의 철(鐵)과 알루미늄에 의(依)한 피해(被害)를 크게 경감(輕滅)시킨다. 11. 인산(燐酸) 시용시(施用時) 묘(苗)의 건물중(乾物重)은 묘중(苗中)의 인산(燐酸), 석회(石灰) 및 규산(珪酸)의 흡수량(吸收量)과 고도(高度)의 유의성(有意性)있는 정상관관계(正相關關係)가 있었고 철(鐵) 및 알루미늄 시용시(施用時) 건물중(乾物重)은 석회(石灰), 규산(珪酸)의 함량(含量) 및 그 흡수량(吸收量)과는 유의성(有意性) 있는 정상관(正相關), 철(鐵) 및 알루미늄의 함량(含量)과 이들의 흡수량(吸收量)과는 유의성(有意性)있는 부상관(負相關) 관계(關係)가 있었다. 12. 석회(石灰)와 인산(燐酸)을 시용(施用)하였을 때 묘(苗)의 건물중(乾物重)은 시험(試驗) 후(後) 토양(土壤)의 pH 및 Morgan 용액(溶液) 가용(可溶) 석회(石灰) 함량(含量)과 고도(高度)의 유의성(有意性)있는 정상관(正相關) 관계(關係)가 있었고 석회(石灰)와 철(鐵) 및 알루미늄을 시용(施用)한 시험(試驗) 후(後) 토양(土壤)의 pH와 석회(石灰) 및 규산함량(珪酸含量)과도 유의성(有意性)있는 정상관(正相關), 철(鐵) 및 알루미늄의 함량(含量)과는 부(負)의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있었다.

  • PDF

IAA가 토란의 생장 및 형태 발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IAA on $Colocasia$ $esculenta$'s Growth and Morphogenesis)

  • 김영운;이준상
    • 환경생물
    • /
    • 제29권2호
    • /
    • pp.92-97
    • /
    • 2011
  • 수경재배와 토양재배를 통해 키운 토란이 생리 형태학적으로 어떤 차이가 나는지 조사하였다. Hoa.+IAA를 처리한 수경재배는 질석, Hoa., 토양, 물에서 키운 토란보다 약 9%, 32%, 38% 및 60% 생장이 각각 촉진되었다. 물에서 재배한 토란은 5~6주 생장한 후의 $F_v/F_m$값이 0.54와 0.55를 나타내어 $F_v/F_m$값이 0.8 이상을 보인 Hoa.+IAA, 질석과 토양에 비해 약 32.5% 낮았다. Hoa.+IAA 처리구에서는 가장 낮은 확산저항이 나타났으며 5주와 6주 때는 물로 수경재배한 것에 비해 45~35% 낮았다. 이는 기공 열림이 물로 재배한 것에 비해 45~35% 크게 열렸다고 추측할 수 있다. 질석과 토양에서 자란 토란도 물로 재배한 것에 비해 39~31%와 27~35% 확산저항이 낮았다. 따라서 생장률의 크기, 광합성 활성 및 기공열림은 Hoa.+IAA, 질석, Hoagland 용액, 토양과 물 순으로 낮게 나타났다. IAA를 Hoagland 용액에 넣어 수경재배한 실험 결과에서 생장률과 형광 활성도가 가장 높았으며 확산저항 또한 가장 낮게 나타났다. 토양재배에서 점토와 상토를 포함하는 흙은 질석에서 키운 토란에 비해 뿌리 발달이 저조하였다. 화분 속의 흙은 중력에 의해 시간이 지날수록 단단해졌으나 질석은 흙과의 마찰이 비교적 적기 때문에 수염뿌리와 실뿌리가 잘 생장하였다. 화분에서 키운 토란은 종아와 뿌리가 같이 발달하였으나 종아는 하나만 관찰되었다. 반면에, 야외에서 키운 토란은 30~40개의 종아가 뚜렷하게 발달하여 작물로서의 가치가 충분하였으나 수경재배한 토란은 종아가 분해되어 사라지고 수염뿌리가 발달하였다.

토양중 Na+ 이온이 간척지 토주의 수리전도도와 용출수의 화학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a+ ion on Changes in Hydraulic Conductivity and Chemical Properties of Effluent of Reclaimed Sandy Soil Column)

  • 유진희;정덕영;양창휴;이상복;최원영;김시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454-459
    • /
    • 2009
  • 전북 부안군 소재 계화도간척지 시험포장에서 토양의 염류가 논토양의 투수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고자 염농도가 높은 지점과 낮은 지점을 대상으로 시료를 채취하여 토양의 물리 화학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험토양은 포화침출액 전기전도도($EC_{e}$)가 고염지 표토 $25.2dS\;m^{-1}$, 고염지 심토 $37.8dS\;m^{-1}$, 저염지 표토 $3.0dS\;m^{-1}$, 저염지 심토 $3.4dS\;m^{-1}$로 시험토양을 염류토양 분류기준에 의거 분류한 결과, 고염지 표토는 saline soil, 고염지 심토는 saline-sodic soil이었고 저염지 표토 및 심토는 일반 토양(normal soil)에 해당되었다. 토주실험 결과 저염지 표토의 포화수리전도도 (Ksat)는 $0.623cm\;hr^{-1}$이었으나, 고염지 표토에서는 용출수의 하향이동이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 고염지 표토를 토양 무게에 대하여 1:2의 비율로 증류수, 1N NH4OAc, 0.1eq L-1oxalic acid로 연이어 세척하여 수용성 및 치환성 이온을 부분 제거하고 컬럼에 충전하여 포화수리전도도를 측정한 결과, $K_{sat}$값은 세척전에 투수가 거의 일어나지 않았던 것에 비하여 크게 증가하여 $0.68cm\;hr^{-1}$을 나타내었다. 세척비율 1:3과 1:7에서 같은 방법으로 포화수리전도도를 측정한 결과 $K_{sat}$값은 각각 $0.71cm\;hr^{-1}$, $0.73cm\;hr^{-1}$을 나타내었고 토양에 대한 희석요인이 증가할수록 $K_{sat}$값은 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고염지 표토 토양을 $1N\;NH_4OAc$로 1시간 진탕 세척하여 수용성 및 치환성 양이온의 대부분을 제거한 후 컬럼에 충전하여 포화수리전도도를 측정한 결과, $K_{sat}$값은 $0.23cm\;hr^{-1}$으로 크게 증가하였고, 수용성 및 치환성 양이온을 제거한 고염지 표토 토주의 하단에 NaCl용액을 농도별로 상향 포화시켜 처리한 후 포화수리전도도를 측정한 결과 $K_{sat}$값은 NaCl 처리 농도별로 $0.13{\sim}0.15cm\;hr^{-1}$을 나타내었으며 NaCl의 처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K_{sat}$값은 더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답토양(畓土壤)에서 가리시용(加里施用)이 벼의 주요양(主要陽)이온 흡수(吸收)와 용탈(溶脫)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Potassium Application on Cation Uptake by Rice Plant and Leachate in Submerged Soil)

  • 정광용;조성진;허범량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35-241
    • /
    • 1983
  • 토성(土性)이 상이(相異)한 3개토양(個土壤)에서 질소시용량(窒素施用量)을 달리하여 벼의 생육(生育)이 각각(各各) 다른 조건에서 가리시용(加里施用)이 주요(主要) 양(陽)이온의 흡수(吸收)와 용탈(溶脫)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찾기 위한 pot시험(試驗)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가리시용(加里施用)으로 가리(加里)의 흡수(吸收)는 증가(增加)되고 석회(石灰)와 고토(苦土)의 흡수(吸收)는 감소(減少)되었으며 정조수량(正租收量)은 증가(增加)되었다. 2. 가리시용(加里施用)은 $Ca^{+{+}}$, $Mg^{+{+}}$, $K^{+}$, $NH_4$와 같은 양(陽)이온의 용탈(溶脫)을 증가(增加)시켰다. 3. 출수기(出穗期) 엽중(葉中)의 적절(適切)한 양(陽)이온비(比)는 N중간수준구(中間水準區)에서는 K/Ca 1.59, K/Mg 4.26 $K_2O/N$ 3.62이며 N최고수준구(最高水準區)는 K/Ca 1.65 K/Mg 4.32 $K_2O/N$ 3.94 이었다. 4. 시험전(試驗前) 토양(土壤)의 양이온비(比)($K/\sqrt{Ca+Mg}$)는 가리시용(加理施用)한 후 벼의 생육기간중 식물체(植物體)의 양이온비 ($K/\sqrt{Ca+Mg}$)와 용탈용액의 양이온비($K/\sqrt{Ca+Mg}$) 및 수확 후 토양중의 양이온비(比)($K/\sqrt{Ca+Mg}$)와 거의 같은 값을 내었다.

  • PDF

CMCD를 이용한 자연토양 및 카올린에서의 코발트, 스트론튬, 세슘의 탈착 특성 (Desorption Characteristics of Cobalt, Strontium, and Cesium in Natural Soil and Kaolin Using CMCD)

  • 최정학;천경호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5권12호
    • /
    • pp.61-69
    • /
    • 2014
  • Carboxymethyl-${\beta}$-cyclodextrin(${\beta}$-CMCD)은 소수성과 친수성의 성질을 모두 가지고 있는 생분해성 계면활성제로 복합오염토양의 동시 처리에 적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코발트(Co), 스트론튬(Sr) 및 세슘(Cs) 등의 방사성 핵종 중금속으로 오염된 토양에서 이들의 탈착 거동을 살펴보고, 탈착제로서 CMCD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탈착속도 실험에서 Co, Sr 및 Cs 모두 1~3시간 이내에 탈착평형에 도달하였으며, 카올린에서의 탈착률이 자연토양에서 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탈착용액으로 CMCD를 2 g/L를 첨가한 경우 탈착률이 5~20 %가량 증가하였으며, 핵종 중금속별 탈착률은 Co > Cs > Sr 순으로 나타났다. 탈착실험 결과를 다양한 탈착속도 모델에 적용한 결과, pseudo-second order kinetic model을 가장 잘 따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탈착속도는 Cs > Co > Sr 순으로 나타났다. 흡/탈착 간 이력현상은 Sr > Co > Cs 순으로 탈착속도가 느릴수록 이력현상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나, 탈착속도가 흡/탈착 간 이력현상을 야기하는 주요 요인 중 하나로 판단되었다. CMCD의 주입으로 탈착량이 증가하고 흡/탈착 간 이력현상이 감소하는 효과를 보였으나, 과량 주입 시에도 토양에 흡착된 핵종 중금속을 완전히 탈착시키지는 못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벼 건답직파 재배시 볏짚처리 및 질소분시가 질소 흡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ice Straw Treatment and Nitrogen Split Application on Nitrogen Uptake by Direct Seeding on Dry Paddy Rice)

  • 이경보;김선관;강종국;이덕배;김종구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09-313
    • /
    • 1997
  • 벼 건답직파 재배시 볏짚 시용과 질소 분시에 따른 벼 질소 흡수 양상을 검토하고자 호남평야지인 전북통에서 동진벼를 공시하여 포장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건답기간중 토양질소의 변화 양상을 보면 요소태질소는 파종후 7일이후에는 검출되지 않았으나, $NH_4-N$는 파종후 7일, $NO_3-N$는 파종후 25일에 최대값을 나타냈다. 2. 토양 깊이 70cm에서 채취된 토양 용액중 $NO_3-N$의 농도는 질소분시가 적은 기비중점인 구에서 파종후 생육초기에 감소되는 양이 많았으며, 볏짚을 처리함 으로써 표토로부터 심토로 이동되는 양을 감소시킬수 있었다. 3. 수확기 질소흡수량은 볏짚시용시 질소3회 분시구에서 가장 많았으며, 시비질소에 의한 질소이용률은 20%였으나, 볏짚 시용으로 27%까지 향상 시킬수 있었다. 4. 질소 분시에 따른 수량은 관행 5070 kg/ha, 질소 전량 기비구 4970 kg/ha, 2회 분시구 5110 kg/ha, 3회 분시구 5150 kg/ha로 관행에 비하여 근소한 차이로 증가 되었다.

  • PDF

주요 작물의 생육중에 침적한 $^{54}Mn,\;^{60}Co,\;^{85}Sr,\;^{137}Cs$ 의 지하이동 (Underground Migration of $^{54}Mn,\;^{60}Co,\;^{85}Sr\;and\;^{137}Cs$ Deposited during the Growth of Major Crop Plants)

  • 최용호;조재성;이창우;이명호;김상복;홍광희;최근식;이정호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1권1호
    • /
    • pp.51-58
    • /
    • 1996
  • 2년간의 온실실험을 통하여 벼, 콩, 배추, 무의 생육초기와 생육후기에 $^{54}Mn,\;^{60}Co,\;^{85}Sr,\;^{137}Cs$의 혼합용액을 산성 양질사토로 상층부를 채운 재배상자내 담수 또는 토양의 표면에 가하고 작물수확 직후에 지하 $15{\sim}20cm$까지 토양길이에 따른 방사성 핵종의 농도분포를 조사하였다. 방사성 핵종의 농도는 토양깊이에 따라 지수함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으로 처리한 방사능의 80%이상이 지하 $3{\sim}4cm$ 이내 에 분포하였다. 핵종간 지하로의 이동성은 대체로 $^{85}Sr>^{54}Mn>^{60}Co{\geq}^{137}Cs$의 순이었다. 재배작물간에 이동 정도는 벼 재배토양에서 가장 높았고 N, P, K의 시비량이 가장 적었던 콩 재배토양에서 가장 낮았다. 두 처리시기간 지하분포 양상의 차이는 침적후 시간경과에 따라 단위시간당 지하 1cm 밑으로 이동하는 방사능량이 감소한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작물의 생육 초기에 방사성 핵종을 가한 후 실시된 염화칼리와 석회의 동시첨가로 핵종의 지하이동은 밭작물에서는 변화가 없거나 다소 억제되었으나 벼에서는 약간 촉진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