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토양오염평가

Search Result 804, Processing Time 0.03 seconds

Removal Characteristics of Lead-contaminated Soil at Military Shooting Range by Using Soil Washing Process (토양세척공정을 이용한 군사격장 납 오염토양의 제거특성)

  • Ahn, Sung-Kyun;Kim, Chul;Lee, Joung-Man;Lee, Gang-Choon;Shon, Zang-Ho;Jung, Byung-Gil;Yoon, Tae-Kyung
    • Clean Technology
    • /
    • v.18 no.4
    • /
    • pp.390-397
    • /
    • 2012
  • Removal characteristics of lead-contaminated soil at the military shooting range located in the Changwon city were studied experimentally using soil washing process. As a washing solution, hydrogen chloride (HCl) concentrations of 0.001, 0.01, 0.1 and 0.2 N were used, and soil : solution ratios were 1 : 2, 1 : 3, 1 : 4, and 1 : 5. Particle diameter of contaminated soil of 4-0.075 mm, and washing period of 5, 10, 15, 20, 30, 60, and 120 min were used as operating parameters. The optimum concentration of HCl solution was 0.1 N (56.3% of Pb removal efficiency) with 15 minutes operation period in views of economics, and the optimum soil : solution ratio was determined as 1 g : 3 mL for 69.7% of Pb removal efficiency with 0.1 N HCl and 15 minutes washing period. As washing period increased, removal efficiency was increased until 20 min of the removal efficiency of 75.3%, and then almost stable. Pb removal efficiency in soil particle diameters of 0.075 mm or more was ranged from 77.0% to 82.0%, but it was decreased to 52.8% in diameter of less than 0.075 mm. Therefore, the optimum cut-off size of the soil particle diameter was found less than 0.075 mm. Combined HCl solution and ultrasonic washing method showed better removal efficiency compared to only water or HCl washing method for particle sizes above 0.075 mm.

Characteristics of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 of sediment and pollutant loads from the Chungju Dam upstream watershed (충주댐 상류유역의 유사량 및 오염부하량 발생의 시공간적 특성)

  • Kim, Chul-Gyum;Kim, Nam-Won;Lee, Jeong-Eun;Lee, Byong-J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053-1057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준분포형 물리모형인 SWAT 모형을 통하여 유역 유사량 및 오염부하량 발생의 시공간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충주댐 상류유역을 대상으로 모형을 구축 적용하였다. 대상유역에 대한 유출 유사 영양물질 관련 매개변수의 보정 및 모형 검증을 수행한 결과, 유출에 대해서는 모형효율지수 0.8 정도의 안정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유사와 인에 대해서는 대략적인 정성적 경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 구축된 모형을 통하여 대상유역에 대해 배수면적별 비유사량의 일정한 관계를 도출할 수 있었으며, 식생에 따른 단위면적별 발생 유사량 및 오염부하량을 검토함으로써 식생별 침식 및 부하량 발생 정도를 평가할 수 있었다. 또한, 하도구간별 오염원에 따른 유사 및 오염부하량을 검토하고, 월별 평균 유사량과 오염부하량을 검토함으로써 시공간적인 분포 특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아울러 유역내 토양보전기법의 적용에 따른 유사 및 총질소, 총인의 저감효과도 평가할 수 있었다.

  • PDF

Soil Acidification and Soil Buffer Capacity Change in Urban Forests of Seoul Area (서울지역(地域) 도시림(都市林) 토양(土壤)의 산성화(酸性化)와 완충능력(緩衝能力) 변화(變化))

  • Kim, Dong Yeob;Hwang, In Cha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87 no.2
    • /
    • pp.188-193
    • /
    • 1998
  • Soil pH change is an important factor which determines soil chemical properties. It is an indicator of the effect of urban environmental pollution on soils and plant growth.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 of air pollution on the soil of Seoul urban forests during the course of the air pollution being dipersed toward suburb area. Study sites were divided into four sections of concentric circles with 5km interval. Soi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A and B horizons in the urban forests, and analyzed for soil pH, soil buffer capacity, cation exchange capacity, and base saturation. Soil pH ranged from 3.96 to 5.08 for A horizon and from 4.10 to 5.25 for B horizon, which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sections. However, there was a trend of soil pH lowered at the sections close to the urban center. Soil buffer capacity was lower at 0-5km and 5-10km sections compared to that at the outer sections. Cation exchange capacity and base saturation were not different significantly among the sections. Following the pattern of air pollutants being dispersed from urban center to suburb, soil acidification was observed at the urban forests in Seoul area. Low level of soil buffer capacity toward the urban center was an indicator of soil acidification at the urban forests.

  • PDF

Analysis of Suitable Soil Loss Equations in the APEX Model (APEX를 이용한 해안면 유역에 적합한 토양유실량 산정 공식 분석)

  • Koo, Ja Young;Lee, Seoro;Kim, Min Kyeong;Jeong, Jae Hak;Lim, Kyoung 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73-173
    • /
    • 2016
  • 토양유실은 수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상수원과 수계를 오염시키는 대표적인 오염원으로 간주되고 있다. 이러한 토양유실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토양유실 발생 현황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토양유실 발생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SWAT, SATEEC, APEX 등 다양한 수문모형 모델들이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각각의 수문모형 모델에서 어떠한 토양유실 산정 공식을 사용하였는지에 따라 모의 결과에서 다소 차이를 보이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필지나 유역을 대상으로 토양유실량을 산정함에 있어 어떠한 공식이 토양유실에 미치는 영향인자를 가장 잘 모의하는지 분석하여 적용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분지 특성의 유역으로, 유역 내 경작지가 집약적으로 모여 있어 토양유실 문제가 심각한 양구군 해안면 유역을 대상으로 시범 적용하였다. 토양유실량을 모의하기 위한 모델은 USLE, AOF, RUSLE, MUSLE, MUST, MUSS, MUSI의 공식 중에서 사용자가 지정한 공식에 따라 모의가 가능한 APEX 모델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양구군 해안면의 실측 유량자료를 기반으로 각 공식에 따른 토양유실량에 대하여 검정 작업을 진행하였으며, 이를 양구군 해안면의 토양유실 실측값과 비교 분석하여 해안면 유역에서 토양유실에 미치는 영향인자를 가장 잘 반영할 수 있는 공식이 무엇인지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양구군 해안면 유역에서 발생하는 토양유실량을 예측할 수 있는 최적의 공식을 확인함으로써 토양유실 관련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양구군 해안면 유역을 대상으로 최적의 토양유실 산정공식을 찾았지만, 타 유역의 토양유실량을 평가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APEX를 이용한 전국단위 토양유실량 평가를 통해 범용화 할 수 있는 공식을 찾는 추가적인 연구를 진행한다면 보다 정밀한 토양유실량 산정이 가능하게 되어 향후 우리나라 토양유실 관련 연구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Three-dimensional Sensitivity Analysis of Dynamic Agricultural Nonpoint Source Assessment Tool (DANSAT) (동적 농업 비점오염 평가모델 (DANSAT)의 3차원 민감도 분석)

  • Cho, Jae-Pil;Hwang, Sye-Woon;Saied, Mostaghimi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 /
    • v.51 no.1
    • /
    • pp.41-52
    • /
    • 2009
  • 새로 개발된 모형에 대한 민감도 분석은 입력변수의 선정 및 보정을 위한 필요한 지침을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어야 할 필수적인 과정이다. 동적 농업비점오염 평가모델 (dynamic agricultural nonpoint source assessment tool, DANSAT)은 농업 최적관리기법(BMP)의 지표 및 지하수에 대한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개발된 3차원 모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서로 다른 토층 및 유역내 위치에서 입력변수의 변화에 따른 지표 및 지하관련 출력들의 반응을 토대로 DANSAT의 일반적인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는 것이다. 선정된 입력변수들의 변화에 따른 세가지의 지표관련 출력 (유출량, 유사량, 유출수중 농약 부하량) 및 두가지의 지하관련 출력 (지하수로의 유입 유량 및 지하수로의 농약 유입량)의 반응이 고려되었다. 민감한 입력변수들은 하나의 격자만을 이용한 예비 민감도 분석을 통하여 선정되었는데, 대체로 토양 관련 인자들이 지표 및 지하에서 양적/질적으로 민감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민감도 분석을 통해 선정된 토양입력변수들의 서로 다른 토층에서의 변화에 따른 모형 출력들의 반응을 고려한 수직적 민감도 분석결과, 지표관련 출력들의 경우 지표 부근의 상층 토양의 인자가, 지하관련 출력들의 경우 하부 토층의 인자가 각각 민감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유역내에서 입력변수들의 공간적 위치의 변화에 따른 반응을 고려하는 수평적 민감도 분석결과, 유역 경계의 주변보다 하천 주변에서의 입력변수 변화가 모형의 지표 및 지하관련 출력들에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BMP의 지표 및 지하의 수문/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개발된 DANSAT 모형의 입력변수 선정 및 보정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A Case History of the Remediation of a Petroleum Contaminated Site using the Bioventing Method (생물학적 통풍법을 이용한 유류오염지역 복원사례)

  • Yu, Chan;Yun, Sung-Wook;Jung, Yeon-Wook;Park, Han-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5.10a
    • /
    • pp.610-613
    • /
    • 2005
  • 물리 화학적 원리에 의한 환경오염 정화방법은 종종 낮은 효율을 보이면서 공사비 부담은 큰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생물학적 방법들은 이러한 단점들을 극복하면서 토양과 지하수를 정화할 수 있는 대안으로서 그 가능성을 입증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중에서 생물학적 통풍법은 유류오염지역에 적용하고 있으며 그 원리는 지중 오염지역에 충분한 산소를 공급함으로서 오염성분이 토착 미생물에 의해 제거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표는 유류오염 지역에 적용된 생물학적 통풍법의 효율을 평가하여 제시하였다.

  • PDF

국내 주요 철강산업지역으로부터 거리에 따른 주거지역의 호흡성 분진(PM10)과 유해 무기물질의 노출 및 오염원 기여도 평가

  • Kim, Mo-Geun;Jo, Wan-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29-32
    • /
    • 2005
  • 주거지역 A와 주거지역 B의 PM10 평균농도 비교에서 산업지역과 인접한 주거지역 A에서 계절에 관계없이 26-32% 높은 농도를 나타내어 산업지역에 인접한 주거지역 A가 먼 주거지역 B 보다 PM10의 영향에 더 크게 노출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PM10에 포함된 Cd, Cr, Cu, Fe, Mn, Ni, Pb, Zn 등의 무기성분은 대부분 인위적인 발생원과 관련성이 있는 대기 오염물질로, 인위적인 배출원의 영향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풍성계수 분석결과 높은 풍성계수를 나타내어 인위적인 오염원임을 확인 할 수 있었고, 그 평균농도는 주거지역 A가 주거지역 B 보다 높게 나타나 주거지역 A가 주거지역 B 보다 산업 오염원의 노출에 더 많은 영향을 받는 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이들 무기화합물질의 상관성 분석결과 높은 상관성과 통계적인 유의성 (p<0.01)이 있었으며, 공통의 오염원을 추정 할 수 있었다. PM10의 가능한 오염원 기여도 평가에 있어서, 주거지역 A에서는 제철관련 오염원과 토양오염원의 공통 오염원 기여도가 33.4%로 나타나 산업관련 오염원의 기여도를 뚜렷하게 분리하여 평가하기는 곤란하였으나, 주거지역 B에서 토양관련 오염원의 독립적인 농도 기여도가 54%로 높게 나타났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산업지역과 인접한 주거지역 A에서 산업관련 오염원 기여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Concentration Level an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Soil Pollutants in Industrial Areas (공업지역 토양 중 오염물질 농도 수준 및 분포 특성)

  • Jung, Jong-Hyeon;Phee, Young-Gyu;Cho, Sang-Won;Ok, Con;Kim, Jin-Uk;Shon, Byung-Hyun;Lee, Kwan;Lim, Hyun-Sul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1.12a
    • /
    • pp.275-276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환경오염에 의한 건강피해가 우려되는 공단지역을 대상으로 유해환경오염물질의 노출상태와 건강영향을 지속적, 체계적으로 감시, 평가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공단지역 주민의 환경오염에 의한 건강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기초연구의 일환으로 수행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철강공단 토양 중 PAHs 화합물의 농도는 18.71-1744.59 ng/g이었으며, 발암가능물질 6종의 PAHcarc의 농도수준은 6.54-695.94 ng/g을 나타내었고, 송도동에서 가장 높은 농도수준을 나타내었으며, 전반적으로 공단지역에서 근거리 지점이 장거리에 위치한 지점보다 비교적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 PDF

Performance of a Hellow Fiber Membrane Diffuser for the Biological Removal of Gaseous BTX (Diffuer 형태의 중공사막 생물반응기를 이용한 기체상 BTX 제거)

  • Son, Young-Gyu;Khim, Jee-Hyeong;Song, Ji-Hyeon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 /
    • v.11 no.4
    • /
    • pp.25-32
    • /
    • 2006
  • In this study, a novel bioreactor system using a diffuser type hollow fiber membranes (hollow fiber membrane diffuser, HFMD) was applied to investigate the feasibility and biodegradation capacity for the treatment of a gaseous mixture consisting of benzene, toluene and p-xylene(BTX). First, A mixed culture pre-acclimated to toluene effectively biodegraded the BTX mixture at an overall removal efficiency of approximately 70% for a 20-day operational period. It was found that the biodegradation of toluene was slightly inhibited because of the presence of benzene and p-xylene. Second, the elimination capacity (EC) of total BTX increased up to 360 $g/m^3/hr$, which was substantially higher than maximum ECs for BTEX reported in the biofiltration literature. Consequently, the hollow fiber membrane diffuser was considered as an alternative method over other conventional VOC-treating technologies such as biofilters.

Application of Electromagnetic and Electrical Survey for Soil Contamination in Land-Fill Area (쓰레기 매립장의 토양오염 조사를 위한 전자탐사 및 전기탐사)

  • Chang Hyun-Sam;Lim Hae-Ryong;Hong Jae-Ho
    • Geophysics and Geophysical Exploration
    • /
    • v.1 no.2
    • /
    • pp.87-91
    • /
    • 1998
  • Geophysical survey techniques, such as electromagnetic(EM), GPR, and electrical method, have been tested in the landfill area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these methods to soil contamination measurement. The EM method has proven to be excellent on mapping the areal distribution of contaminants and the migration path for leachate. Since the field operation of EM technique is simple as well as fast, we think the EM method must be the first choice for these purposes. Electrical survey techniques have proven to be very effective on mapping sectional distribution of contaminants. Generally, the GPR method is very good on high resolution survey of shallow depth, and field data acquisition is simple, too. But the resistivity method gives better information on deep area, for example, deeper than the depth of 20 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