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il Acidification and Soil Buffer Capacity Change in Urban Forests of Seoul Area

서울지역(地域) 도시림(都市林) 토양(土壤)의 산성화(酸性化)와 완충능력(緩衝能力) 변화(變化)

  • Kim, Dong Yeob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Sungkyunkwan University) ;
  • Hwang, In Chan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Sungkyunkwan University)
  • Received : 1997.12.24
  • Published : 1998.06.30

Abstract

Soil pH change is an important factor which determines soil chemical properties. It is an indicator of the effect of urban environmental pollution on soils and plant growth.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 of air pollution on the soil of Seoul urban forests during the course of the air pollution being dipersed toward suburb area. Study sites were divided into four sections of concentric circles with 5km interval. Soi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A and B horizons in the urban forests, and analyzed for soil pH, soil buffer capacity, cation exchange capacity, and base saturation. Soil pH ranged from 3.96 to 5.08 for A horizon and from 4.10 to 5.25 for B horizon, which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sections. However, there was a trend of soil pH lowered at the sections close to the urban center. Soil buffer capacity was lower at 0-5km and 5-10km sections compared to that at the outer sections. Cation exchange capacity and base saturation were not different significantly among the sections. Following the pattern of air pollutants being dispersed from urban center to suburb, soil acidification was observed at the urban forests in Seoul area. Low level of soil buffer capacity toward the urban center was an indicator of soil acidification at the urban forests.

토양의 pH 변화는 토양의 화학적 특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며 도시의 환경오염이 토양과 식물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가 되기도 한다. 서울지역의 대기오염이 도시림 토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조사지역을 도심에서 외곽방향으로 5km 간격의 동심원으로 구분하고 도시 외곽지역에서 토양산성화에 차이가 있는지 조사하였다. 각 구역의 도시림에서 토양시료를 A, B층에서 채취하여 토양 pH, 토양완충능력, 양이온치환능력 및 염기포화도를 측정하였다. 토양 pH는 A층에서 3.96~5.08, B층에서 4.10~5.25의 분포를 나타냈다. 도심에서 외곽방향으로 구역간 토양 pH 차이에는 통계적인 유의성이 없었으나 외곽 구역에 비하여 도심 구역에서 토양 pH가 비교적 낮은 경향을 보였다. 토양완충능력은 도심 구역 (0-5km와 5-10km)이 외곽 구역(10-15km와 15-20km)에 비하여 현저히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양이온치환능력과 이와 관련있는 염기포화도는 구역간 차이에 유의성이 없었다. 대기오염물질의 도시의 외곽 방향으로의 확산을 따라 서울지역 도시림의 토양 산성화가 유사한 진행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양완충능력이 도심 구역에서 낮은 것은 서울지역에서 대기 중 산성강하물의 유입에 대하여 나타난 토양 반응의 척도로 볼 수 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학술진흥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