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토양물리적 특성

Search Result 657,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고형배지경을 이용한 과채류 재배

  • 이용범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1994.05a
    • /
    • pp.34-54
    • /
    • 1994
  • 1. 고형배지특성 (1) 물리화학성 토양재배에서는 토양이 갖고 있는 다양한 완충작용, 즉 보수, 통기성, 비료성분의 보유능력이 대단히 높기 때문에 연작장해가 없는 한 작물생산에서 안정적 생산이 가능하다. 반면에 양액재배에서는 이러한 완충능을 기대하기가 어렵다. 특히 배지에 따른 물리화학성의 차이가 있고 이들 배지의 활용을 근본적으로 근권환경의 제어라는 측면에서 기존의 토양재배보다 높은 생산성과 고품질을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기 때문에 배지에 따른 적정 근권환경제어가 필요하다. (중략)

  • PDF

The Soil Properties and Microbial Numbers of soil Samples Collected from Polluted and Unpolluted Areas in Korea (오염지역과 비오염지역의 토양의 특성과 토양 미생물의 분포)

  • 심재욱;이민순;이상선;이태수;이민웅
    • Journal of Korea Soil Environment Society
    • /
    • v.3 no.2
    • /
    • pp.31-39
    • /
    • 1998
  • A total of 112 soil samples collected from polluted and unpolluted areas in Korea were investigated for physical properities (such as soil moisture, organic matter and soil pH) and biological properties (such as microbial numbers). The results of organic matter and soil pH showed a great variation(p=0.01) in the four areas, whereas soil moisture and organic matter were similar among three plant vegetations.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p=0.01 or 0.05) between soil pH and microbial number These results imply some variations in soil environment and may lead to unfavorable changes of plant vegetation in soil. Presumably, the above results appear to be resulted from soil acidification caused by an acidic rain.

  • PDF

Development of a Coarse Lunar Soil Model Using Discrete Element Method (이산요소법을 이용한 성긴 달토양 수치해석모델 개발)

  • Jeong, Hyun-Jae;Lim, Jae Hyuk;Kim, Jin-W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47 no.1
    • /
    • pp.26-34
    • /
    • 2019
  • In this paper, a coarse lunar soil model is developed using discrete element method and its computed physical properties a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actual lunar soil for its validation. The surface of the actual moon consists of numerous craters and rocks of various sizes, and it is covered with fine dry soil which seriously affects the landing stability of the lunar lander. Therefore, in consideration of the environment of the lunar regolith, the lunar soil is realized using discrete element method. To validate the coarse model of lunar soil, the simulations of the indentation test and the direct shear test are performed to check the physical properties(indentation depth, cohesion stress, internal friction angle). To examin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odel, the drop simulation of finite element model of single-leg landing gear is performed on proposed soil models with different particle diameters. The impact load delivered to the strut of the lander is compared to test results.

현장 균열망 연결성 통합해석에 대한 선행연구

  • 김태희;황세호;채병곤;고경석;이철우;김용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4.04a
    • /
    • pp.509-513
    • /
    • 2004
  • 현장 균열망의 연결성 및 이에 따른 수리지질학적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기존의 통상적인 조사 기법을 한 지역에 집적하여 그 결과에 대한 통합해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 적용된 조사 방법은 양수시험, 물리검층, 다중심도 수리화학 분석, 전기비저항 토모그래피, 시추 코어 검층 등의 기련 특성 조사와, 추적자 시험, 다중 심도 수직 유향유속 시험 등 구간별 특성 조사 등이다. 이러한 조사 결과 본 조사 지역 내 균열의 전반적인 분포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각 균열의 수리적 특성에 대한 기본적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추적자 시험과 유향유속 시험 결과를 통해 각 관정간의 균열을 통한 연결성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도출할 수 있었다. 이러한 성과는 추후 percolation, connectivity 등 모델 개념의 현장화를 위한 연구의 선행 연구로서 그 의미를 자리매김 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Basic study on the biological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urnt forest soil for the ecological restoration by organic waste (유기성폐자원을 이용한 산불토양의 생태학적 복원을 위한 토양의 생물학적, 물리화학적 기초특성연구)

  • Jung, Young-Ryul;Song, In-Geun;Kim, Young-Jun
    • Journal of the Korea Organic Resources Recycling Association
    • /
    • v.13 no.1
    • /
    • pp.79-89
    • /
    • 2005
  • Forest soils were analyzed on their biological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for the ecological restoration of burnt forest soil using organic wastes and proper microorganisms. Three kinds of soi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undamaged soil(US), naturally restoring soil(NS) and artificially restoring soil(AS). All soil samples were sandy soil and acidic soil, ranged pH 5.34~5.78. Moisture content was higher in the soil of NS region. And the others were similar. Total organic matter and soluble sugar were higher at the surface, generally. Heterotrophic soil microbes were abundant at the surface soil of NS and subsoil of AS. Dehydrogenase, cellulase and phosphatase activities were higher at the NS soil. Especially, Dehydrogenase activity as primary index of soil microbial process showed high correlationship with moisture content(r=0.90, P < 0.05).

  • PDF

Characteristics of the Inorganic Element Contents or the Korean Ginsengs from Various Soils of Keumsan (금산 지역 토양 차이에 의한 인삼 중 무기 원소의 함량 변화)

  • Song, Suck-Hwan;Min, Ell-Sik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v.33 no.1
    • /
    • pp.13-25
    • /
    • 2009
  • Geochemical relationships between ginsengs and soils from three representative soil types, shale, phyllite and granite regions, from Keumsan were examined. High elements ere shown at the granite and shale areas of the weathered soils, the phyllite areas of he cultivated soils and the shale areas of the host rocks. T1 was enriched in ginsengs grown in the shale areas, Cs and B in the phyllite areas, and Be and Cd in the granite areas. Positive correlations were dominated by the shale areas. These relationships can be explained for mineral characteristics within the soils, and their behaviors related to the physio-chemical conditions. High elements were shown in the 2 year ginsengs of the hale areas, and 4 year ginsengs of the phyllite and granite areas in comparisons with ginsengs of the different ages from the same areas. These differences can be explained with ages of the ginsengs, solubilities of the minerals and physio-chemical differences within soils. The content differences of high elements such as Cs, T1 and Be were found between soils and ginsengs. Overall,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mponents of ginsengs grown in the granite areas are chemically similar to the soils.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Soils in Quercus acutissima, Q. mongolica, Q. serrata, and Q. variabilis stands (상수리나무, 신갈나무, 졸참나무, 굴참나무 임분의 토양 물리·화학적 특성)

  • Sang Tae, Lee;Sang Hoon, Chung;Choonsig, Kim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11 no.4
    • /
    • pp.530-537
    • /
    • 202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soils in Quercus acutissima, Q. mongolica, Q. serrata, and Q. variabilis stands. A total of 423 plots (Q. acutissima 72 plots, Q. mongolica 150 plots, Q. serrata 97 plots, and Q. variabilis: 104 plots) were examined to determine the soil properties of A and B horizons throughout the country.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soil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four different Quercus spp. stands. The sand content in both horizon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Q. acutissima stands than in the other three oak stands, whereas the clay content was lowest among the four stands. The soils in Q. mongolica and Q. serrata stands were more acidified than those in Q. acutissima and Q. variabilis stands. The concentrations of organic carbon and total nitrogen in both soil depth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Q. mongolica stands than in Q. serrata, Q. variabilis, and Q. acutissima stands. The content of available phosphoru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Q. mongolica and Q. serrata stands than in Q. acutissima and Q. variabilis stands; whereas the contents of exchangeable potassium, calcium, and magnesium were lower in Q. mongolica and Q. serrata stands than in Q. acutissima and Q. variabilis stands. The cation exchange capacity was highest in Q. mongolica stands, followed by that in Q. serrata, Q. variabilis, and Q. acutissima stands. These data indicate the need to design a nutrient management plan to enhance the low soil pH and exchangeable cation in Q. mongolica and Q. serrata stands.

Physic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Streams: A Case of Sand-bed Rivers in a Gyeonggi Region (하천의 물리적 생태적 특성: 경기 지방 모래하천의 사례)

  • Kim, Hye-Ju;Kim, Chang-Wan;Lee, Du-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449-453
    • /
    • 2005
  • 하천의 물리적 생태적 특성에 대한 연구는 하천유형분류의 기초 자료로서 큰 의미가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이를 위한 하천의 조사는 매우 드물며, 국부적이었다. 더욱이 이러한 생태적 물리적 특성을 근거로 한 하천 유형적 특성을 연구한 사례는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의 유형을 분류하는 것은 아니지만 하천을 더욱 효율적으로 계획하고 관리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1차적 연구로 자연환경이 유사한 하천들을 일시에 선정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각 하천의 물리적 생태적 특성을 조사하고 평가하여 대상 하천의 공통적 특성을 가려내고자 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하천의 물리적 구조조사법을 유럽공동체에서 사용하는 기준과 방법에 따라 시범적으로 실시하여 국내하천의 하천환경조사를 위한 적용성 여부도 진단하고자 하였다. 하천의 물리적 구조등급이란 하천의 공간적 환경과 저수로 하상재료의 물리적 차이를 의미하는 것으로 하천 자체는 물론 하천범람지에 영향을 주는 생태적 기능의 수리 특성, 하천의 물리 특성, 수생태 특성 등을 포괄하게 된다. 따라서 하천의 물리적 구조등급은 하천구조의 생태적 질과 하천구조로 나타나게 되는 동적 과정(dynamic process)의 질을 평가하는 척도가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남한강수계의 청미천, 양화천, 복하천을 대상으로 물리적 구조조사법과 식생조사를 병행하였으며 이로부터 하천의 물리적 구조등급이 수질등급과 정량적이지는 않지만 전반적인 하천의 생태성 또는 자연도를 가늠할 수 있는 하나의 지료로 활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양토를 기준으로 할 때 강우량과 침투수의 관계는 $I_{10}(mm)=0.44R(mm)+5.8(r^2=0.55)$이었다. y절이 발생한 이유는 이전 강우에 의해 침투되고 있는 물이 있음을 함축하며 기울기 0.40은 강우의 $40\%$가 지하로 침투하였음을 의미한다. 침투수량은 토성별로 양토를 1.0으로 기준할 때 사양토가 1.12로 가장 컸고, 식양토 0.94, 식토 0.91로 평가되었다. 이는 토성간의 침투속도 및 투수속도의 경향이 반영된 것이다. 경사에 따라서는 경사도가 증가할수록 지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10\% 경사일 때를 기준으로 $I(mm)=I_{10}{\times}1.17{\times}e^{-0.0164s(\%)}$로 나타났다. 같은 조건에서 강우량과 유거수의 관계는 $Ro_{10}(mm)=5.32e^{0.11R(mm)}(r^2=0.69)$로 나타났다. 이는 토양의 투수특성에 따라 강우량 증가에 비례하여 점증하는 침투수와 구분되는 현상이었다. 경사와 토양이 같은 조건에서 나지의 경우 역시 $Ro_{B10}(mm)=20.3e^{0.08R(mm)(r^2=0.84)$로 지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유거수량은 토성별로 양토를 1.0으로 기준할 때 사양토가 0.86으로 가장 작았고, 식양토 1.09, 식토 1.15로 평가되어 침투수에 비해 토성별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이는 토성이 세립질일 수록 유거수의 저항이 작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경사에 따라서는 경사

  • PDF

Effect of Agents to Improve Soil Physical Properties on Aster scaber in Continuous Cultivation (참취 다년재배지 토양 물리성 개선을 위한 개량제 처리 효과)

  • Gue-Saeng Yeom;Jung-Seob Moon;Song-Hee Ahn;Se-Hyun Ki;Dong Chun Cheong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12a
    • /
    • pp.70-70
    • /
    • 2020
  • 참취(Aster scaber)는 국화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식물로 취나물로 분류되어 전국에서 재배되고 있으며 최근 성인병 예방 효과와 무공해 건강식품으로 연중 소비가 증대되고 있으며, 주로 시설재배 작형으로 많이 재배하고 있다. 참취 시설재배지는 양분의 과다투입에 의한 염류집적과 잦은 관수로 물리성이 악화 되어 참취의 생육이 저하되어 수량이 감소하여 통상 3년 마다 종묘 갱신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토양개량제 처리에 따른 토양 물리화학성과 참취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여 참취 시설재배 농가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개발하고자 시험을 수행하였다. 2018년 4월부터 2020년 11월까지 전라북도 농업기술원 허브산채시험장에서 참취 시설재배를 대상으로 무처리, 볏짚, 왕겨숯, 야자섬유 등을 10a당 1,000kg 처리하여 시기별 토양 이화학성, 생육특성을 조사하였다. 자재 처리 후 토양물리성의 변화는 볏짚 시용에서 가장 낮은 용적밀도 1.35g/cm3와 가장 높은 공극률 49.04%을 보였다. 토양 삼상 중 고상은 왕겨숯에서 52.82%로, 액상은 왕겨숯에서 30.28%로, 기상은 볏짚에서 22.45%로 가장 높았다. 토양 화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모든 처리구에서 토양유기물 함량은 증가하였고, 유효인산은 함량은 440~487mg/kg로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칼륨은 0.77~0.88cmolc/kg로 낮아졌고, 칼슘과 11.56~14.09cmolc/kg, 마그네슘은 2.93~3.22cmolc/kg로 증가하였다. 생육특성은 볏짚 처리구에서 초장 26.4cm, 엽장 8.7cm, 엽폭 6.7cm, 줄기수 7.2주로 다른 처리구에 비해 좋은 생육이 좋았으며, 수량 또한 볏짚 처리구에서 1,554.3kg/10a로 가장 높았다. 지하부 생육특성은 볏짚 처리구에서 근중 83.7g/주, 근장 28.2cm, 근직경mm로 다른 처리구에 비해 생육이 양호하였다. 참취 다년재배지 정신 전 볏짚을 시용함으로써 토양의 유기물함량 증가와 용적밀도 감소, 공극율 증가 등 토양의 물리화학성을 개선하여 참취 수량성 증대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opsoil and Subsoil for Soil Conservation and Management (토양 보전 및 관리를 위한 표토와 심토의 물리화학적 특성 비교)

  • Lee, So-Jin;Choo, Chang-Oh;Kim, Jong-Tae;Jeong, Gyo-Cheol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31 no.4
    • /
    • pp.731-739
    • /
    • 2021
  • This research aim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opsoil for soil conservation and promote the process of turning subsoil into topsoil.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opsoil and subsoil of different types of soil were compared, and their quantitative differences were examined. 204 soi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a total of 102 areas according to rock types. These samples were tested to measure grain size, water content, and unit weight, along with XRF and XRD analyses. The topsoil and subsoil of the soil samples were also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howed that the topsoil and subsoil had different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that the chemical alteration index of the topsoil was higher than that of the subsoil. This would imply that the topsoil was high in clay minerals since it was directly affected by weathering more than the subsoil. In particular, vermiculite, one of the final products generated from weathering, was common in the topso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