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토양대사

검색결과 201건 처리시간 0.023초

Xenorhabdus nematophila K1 대사물질 3-(4-hydroxyphenyl)-propionic acid의 고추 역병과 탄저병에 대한 방제 효과 (Control Effects of 3-(4-Hydroxyphenyl)-propionic Acid Isolated Xenorhabdus nematophila K1 against Phytophthora Blight and Anthracnose of Red Pepper)

  • 천원수;김도연;김용균;홍용표;이영근
    • 식물병연구
    • /
    • 제19권3호
    • /
    • pp.208-215
    • /
    • 2013
  • 3-(4-Hydroxyphenyl)-propionic acid (HPP)는 곤충 병원 세균인 Xenorhabdus nematophila K1의 대사산물이다. 이 물질의 고추의 역병과 탄저병에 대한 방제가능성을 평가하였다. HPP는 역병균과 탄저병균의 균사생장을 현저하게 억제하였다. 이 항균력은 자연 태양광 아래에서 25일이상 유지되었으며, 토양수 내에서도 상실되지 않았다. HPP의 고추 뿌리를 통한 식물체 내 침투 및 상향이행성이 입증되었다. HPP 현탁액을 고추의 근권토양에 관주하고 지상부에 10일 간격으로 살포하였을 때, 약해 발생 없이 역병과 탄저병 발생이 크게 감소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HPP를 고추 역병 및 탄저병 방제를 위한 침투성농약으로 개발할 가능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온대낙엽수림에서 미소환경요인의 공간 이질성이 임상초본식물의 공간분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ircroenvironmental Heterogeneity o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Herbaceous Species in a Temperate Hardwood Forest)

  • 이규송;조도순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3권3호
    • /
    • pp.255-266
    • /
    • 2000
  •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된 점봉산의 온대낙엽수림(참나무 성숙림)에서 임상초본식물의 공간분포를 정량화하고, 이들의 공간분포에 미치는 미소환경요인의 영향을 파악하였다. 대부분의 임상초본식물들은 영구 방형구내 미소지소간에 큰 변이를 나타내었다. 초봄에 출현하는 임상초본식물중 공간의존도가 높은 식물은 현호색, 애기나리 및 노랑제비꽃이었고, 가을에 출현하는 임상초본식물중 공간의존도가 높은 식물은 벌깨덩굴, 쌀새 및 도라지모시대이었다. 초봄에 출현하는 홀아비바람꽃과 얼레지 그리고 가을에 출현하는 도라지모시대와 쌀새의 공간의존거리가 상대적으로 짧은 편이었다. 초봄에 출현하는 노랑제비꽃, 애기나리 및 얼레지는 관목이 적고, 낙엽층이 얇으며,토심이 깊고, 토양수분함량, 유기물함량 및 염기성양이온함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생육지를 선호하였고, 애기앉은부채 와 현호색은 관목이 밀집하고, 낙엽층이 두꺼우며, 토심이 얇고, 유기물함량, 토양수분함량 및 영양염류함량이 높은 생육지를 선호하였다. 오리방풀은 빛조건이 좋고, 낙엽층이 두꺼우며, 토양수분함량과 영양염류가 풍부한 생육지를 선호하였고, 단풍취, 대사초, 개별꽃, 참취, 쌀새 및 도라지모시대는 토심이 깊고, 낙엽층이 얇으며, 토양수분함량과 영양염류함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생육지를 선호하였다. 본 참나무 성숙림에서 토양수분함량, 유기물함량 및 영양염류함량은 바람, 미소지형 및 관목의 밀집정도에 의해 공간적으로 재배치되는 낙엽층 두께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기 때문에 초봄과 가을에 관찰되는 임상초본식물의 공간분포는 낙엽층의 불균등한 분포에 의해 가장 큰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

상업용 훈증제인 Cis-와 Trans-1,3-Dichloropropene(1,3-D)을 차별적으로 분해하는 Bacterial Consortium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이차 탄소원들의 효과 (Influence of a Variety of Second Carbon Substrates on the Bacterial Consortium Differentially Degrading Cis- and Trans-1,3-Dichloropropene (1,3-D))

  • 정근욱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1243-1252
    • /
    • 2000
  • 휘발성 훈증제인 cis-와 trans-1,3-D의 각각에 대한 분해력 향상은 몇몇 연구자들에 의해 이루어져왔다. 본 연구는 cis-와 trans-1,3-D에 대해 서로 다른 속도에서 각각의 분해력 증진과 미생물과의 관련성을 조사한 것으로, 미생물이 휘발성을 갖는 독성 유기화합물의 분해를 향상시키는 데 관여하고 있음이 관찰되었다. 1,3-D로 야외(field)처리되어 적응되어 왔던 토양으로부터, 1,3-D의 분해가 확인된 토양시료를 채취하여 1,3-D를 분해할 수 있는 혼합 배양세균을 분리하였다. 이렇게 분리된 혼합 배양세균은 cis-1,3-D보다는 trans-1,3-D를 더 빨리 분해 시켰으나, 미생물 성장을 위한 탄소원으로 cis-와 trans-1,3-D만이 제공되었을 때는 분해가 일어나지 않는 반면, 적절한 2차 탄소원들이 존재할 때에는 cis-와 trans-1,3-D를 분해시켰다. 따라서, cis-와 trans-1,3-D의 분해는 공동대사과정(cometabolism)인 것으로 판단된다. 두 이성질체는, 토양여과액(soil leachate), tryptone, tryptophan, alanine이 포함된 시료가 2차 탄소원으로 제공되었을 때에는 분해가 이루어졌으나, 고온고압하에서 멸균시킨 토양추출액(soil extract), glucose, yeast extract 및 indole이 포함된 시료가 2차 탄소원으로 제공되었을 때는 두 이성질체 모두를 분해시키지 못했다. 상업용 훈증제로 이용되는 cis-와 trans-1,3-D를 다른 속도로 개별적으로 분해하는 혼합 미생물군은 형태학적인 구별방법에 의해 4개의 독립된 순수 colony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 PDF

인삼 뿌리썩음병에 길항력이 있는 Bacillus 균의 분리 동정 및 특성 조사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Species Possessing Antifungal Activity against Ginseng Root Rot Pathogens)

  • 김병용;안재형;원항연;송재경;김성일;김완규
    • 농약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57-363
    • /
    • 2012
  • 인삼 뿌리썩음병을 일으키는 병원균의 생물적 방제를 위해서 토양에서 유용미생물을 분리하여 항균 활성과 생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강원도 인삼재배 토양에서 총 439균주의 세균을 분리하여 이 중에서 항균 활성이 가장 우수한 3균주(GP4-1, GR2-2, GR4-5)의 미생물을 최종 선발하였다. 주요 인삼 뿌리 썩음병원균인 5종(Cylindrocarpon destructans, Fusarium oxysporum, Fusarium solani, Rhizoctonia solani, Sclerotinia nivalis)에 대한 생장 억제능을 조사한 결과, 선발 균주들이 매우 높은 항균 활성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최종 선발 균주들의 정확한 동정을 위해서 16S rRNA 유전자 염기 서열로 계통 유전학적 분석을 하였고, 모든 균주들이 Bacillus amyloliquefaciens subsp. plantarum $FZB42^T$과 가장 높은 상동성(99.9 %)이 있음을 보였다. 선발 균주들이 생산하는 2차 대사물질 구명을 위해 주요 Bacillus 대사산물의 생합성 유전자를 PCR 반응으로 검정하였다. 모든 선발 균주들에서 iturin A와 surfactin의 생합성 유전자가 검출되었으며, GR4-5 균주에서는 bacillomycin D의 생합성 유전자도 추가로 검출되었다. 생화학적 특성 조사에서는 선발 균주들이 섬유소 분해 효소와 단백질 분해 효소의 활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인삼재배 토양에서 분리한 토양 미생물들이 인삼 뿌리썩음병의 생물적 방제를 위한 미생물제제로서의 활용가치가 높음을 제시하였다.

제초제 Bentazon 의 토양미생물에 의한 분해 (Degradation of the Herbicide Bentazon by Soil Microorganisms)

  • 이재구;조광래;오경석;경기성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21-128
    • /
    • 1993
  • 토양미생물에 의한 제초제 bentazon(3-isopropyl-2,1,3-benzothiadiazin-4-one-2,2-dioxide)의 분해를 구명하기 위하여 성질이 서로 다른 충북지역의 밭토양 2종과 논토양 2종을 담수 및 밭토양 조건하에서 $23{\pm}1^{\circ}C$ 배양하였다. Bentazon 200 ppm을 처리한 Cheong Won A 토양 (Silty loam; pH, 5.2; 유기물 함량 1.4%)을 6개월 동안 담수상태에서 배양하였을 때 주 분해산물로 6-hydroxy bentazon (1.27%) 및 소량의 8-hydroxy bentazon (0.57%,)과 anthranilic acid (0.13%)가 형성되었다. 한편 bentazon 500 ppm을 처리한 동일토양을 2개월 동안 배양하였을 때는 소량의 6-hydroxy bentazon이 형성되었다. 8종의 미생물을 토양으로 부터 분리하여 순수배양실험을 하였으나 뚜렷한 분해산물을 검출하지 못하였다. Cheong Won A 토양이 Cheong Ju A 토양보다 더욱 큰 dehydrogenase 활성을 나타낸 것으로 보아 전자가 후자보다 더 큰 bentazon 분해력을 가질 것이라고 추측되었다. 세균 14종과 곰팡이 8종에 대하여 bentazun 10 ppm을 처리하고 14일간 배양하였을 때 Rhizopus stolonifer만이 주 분해산물로 anthranilic acid (4.6${\sim}$31.6%) 그리고 소량의 6-hydroxy bentazon과 8-hydroxy bentazon (1.27%)을 형성하였으며, 나머지 미생물에서는 대사산물을 검출할 수 없었다.

  • PDF

토양미생물(土壤微生物) Biomass에 의한 인산염(燐酸鹽) 가용화균(可溶化菌) 접종효과(接種效果)의 평가(評價) (Assesment on the Inoculation Effects of Phosphate-solubilizing Microorganisms by Soil Microbial Biomass)

  • 서장선;김광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81-189
    • /
    • 1996
  • 토양의 난용성(難溶性) 인산염(燐酸鹽)을 생물학적으로 이용하고자 인산염가용화 미생물을 선발하였다. 그중 Aspergillus niger를 공시균주(供試菌株)로 하여 난용성(難溶性) 인산염(燐酸鹽) 가용화균(可溶化菌) 접종(接種)에 의한 미생물(微生物)의 대사적(代謝的) 인산염(燐酸鹽) 가용화능(可溶化能)과 그에 따른 작물(作物)의 무기성분(無機成分) 흡수량(吸收量) 및 미생물체(微生物體) 량(量) 변화등(變化等)을 조사(調査)하였다. 상추 및 피망의 인산(燐酸) 흡수량(吸收量)은 인산염(燐酸鹽) 가용화균(可溶化菌) 접종(接種)에 의해 노지(露地) 및 시설재배지(施設栽培地) 토양(土壤) 모두에서 증가(增加)하였다. 토양(土壤) Biomass P와 토양(土壤) 유효인산(有效燐酸) 함량(含量) 간(間)에는 부(負)의 상관(相關)을 보여 biomass P 양(量)이 증가(增加)할수록 유효인산(有效燐酸)은 감소(減少)하였지만, 토양(土壤) biomass C와 토양(土壤) 유효인산(有效燐酸) 함량간(含量間)에는 $Y=-0.0007X^2+0.7126X^2-29.46(R=0.8283^{**})$의 정(正)의 구간(區間)에서 유의성(有意性)이 있는 정(正)의 상관(相關)을 보였다. Biomass C와 작물(作物)의 인산(燐酸) 흡수량(吸收量) 간(間)에도 $Y=0.0049X^2-2.2352X+326.34(R=0.6350^*)$의 정(正)의 구간(區間)에서 유의성이 있는 정(正)의 상관(相關)을 보여 biomass C 양(量)이 $400mg\;kg^{-1}$에 이를 때까지 흡수량이 계속 증가(增加)하였다.

  • PDF

PCR을 이용한 토양 중 Terephthalic Acid 분해 Comamonas testosteroni의 검출 (PCR Detection of Terephthalic Acid Degrading Comamonas testosteroni in Soil)

  • 이종훈;강동주;홍연표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77-181
    • /
    • 2003
  • 경기도 내의 7개 하천 토양으로부터 terephthalic acid를 분해, 대사하는 미생물 11개 균주를 분리하고, 이들의 phthalic acid 이성질체 분해활성을 비교한 결과, 오염도가 높은 4개 지역에서 분리된 균들의 phthalic acid 이성질체 분해활성이 오염도가 낮은 3개 지역에서 분리된 균들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리된 균주들 중, 높은 terephthalic acid 분해활성을 보유하고 2개의 phthalic acid 이성질체의 분해가 가능한 4균주의 165 rDNA 부분 염기서열결정을 통하여 국내 토양에서 생육하고 있는 phthalic acid이성질체 분해미생물 중 많은 수가 C. testosteroni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토양 중 C. testosteroni의 특이적 검출에 의한 phthalic acid 이성질체에 의한 토양오염의 모니터링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C. testosteroni 특이적 PCR primer를 구축하고 토양으로부터 직접 추출한 DNA를 template로 PCR을 수행한 결과, 각 하천 주변 4 g의 토양으로부터 관찰 가능한 정도의 PCR산물을 얻을 수 있었다. 증폭된 PCR산물의 양은 굴포천>안양천>황구지천>신천>흑천>북한강>가평천의 순으로 청정지역에서 보다 오염지역의 토양에서 C. testosteroni가 많이 생육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지역의 토양에 존재하는 terephthalic acid 분해균의 생균수 또한 PCR에 의한 C. testosteroni의 검출과 동일한 양상으로 나타났다.

페녹시계 제초제 MCPP [2-(2-Methyl-4-Chlorophenoxy) Propionic Acid]의 미생물학적 분해 (Microbiological Degradation of the Phenoxy Herbicide MCPP [2-(2-Methyl-4-Chlorophenoxy) Propionic Acid])

  • Oh, Kye Heon;Olli H. Tuovinen
    • 미생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96-100
    • /
    • 1992
  • 토양세균의 혼합배양에 의한 MCPP [2-(2-Methyl-4-Chlorophenoxy) Propionic Acid]의 미생물학적 분해를 조사하였다. 혼합배양은 Pseudomonas 종, Flavobacterium 종, 그리고 Achromobacter종을 포함하였다. 세균들은 유일한 탄소 및 에너지원으로서 MCPP를 이용하였으나, 부분적인 분해만을 부여주었다. MCPP의 분해는 2-methyl-4-chlorophenol의 형성에 의하여 진행되었으며, 이는 HPLC 에 의하여 발견되었고, GC-MS에 의하여 확인되었다. 이 중간대사물질은 일시적으로 생성되었으며, reverse phase HPLC와 Uv absorbance에 의하여 다른 대사산물의 존재는 관찰되지 않았다.

  • PDF

제초제 Dicamba의 토양미생물 및 잔디 효소에 의한 분해 (Degradation of the herbicide dicamba by microorganisms isolated from the soil and phosphate extracts of turfgrass, Zoysia Japonica S.)

  • 오경석;이영기;오병렬;이병무;이재구
    • 농약과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26-30
    • /
    • 2000
  • 토양미생물 및 잔디 추출액에 의한 제초제 dicamba의 분해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Dicamba를 분해하는 토양미생물 5종을 enrichment culture에 의해 토양으로부터 분리하였으며, 이들 균주는 Acidovorax sp., Alcaligenes sp. 및 Variovorax sp.로 동정되었다. Dicamba를 10 ppm 수준으로 처리한 무기배지에서 분리균에 의한 dicamba 분해는 배양 21일 후에 평균 90% 이상이었으며, 분해산물로 5-hydroxydicamba가 검출되었다. 한국잔디 (Zoysia Japonica S.)를 phosphate buffer로 추출하여 추출액에 의한 dicamba 분해를 조사한 결과 dicamba의 반감기는 $2.5{\sim}2.7$일 이었으며, 대사산물로 소량의 4- 및 5-hydroxydicamba가 검출되었다.

  • PDF

내비성(耐肥性)에 관(關)한 질소대사적(窒素代謝的) 개념(槪念) -II. 질소환경(窒素環境) 변화(變化)에 따른 질소대사(窒素代謝) (Cencept of adaptability for heavy nitrogen in view of nitrogen metabolism -II. Nitrogen metabolism under the change of itrogen nenvironment)

  • 윤종혁;박훈;조성진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49-53
    • /
    • 1974
  • 장려품종이며 온대형질(溫帶形質)인 진흥(振興)과 열대형질(熱帶形質)인 다수성(多收性) 신품종(新品種) IR 667을 사용(使用)하여 수경(水耕)에서 고(高)(50 또는 80ppm) 저(低)(10 또는 40ppm)의 질소수준(窒素水準) 또는 2주간질소(二週間窒素) 결제(缺除)(최분기(最分期)와 출수기(出穗期))에 의(依)한 질소대사상(窒素代謝上)의 차이(差異)를 비교(比較) 검토(檢討)한 결과(結果) 다음과 같다. 1. 수경(水耕)에서 진흥(振興)은 고농도(高濃度)에서 수량(收量)이 크고 IR 667은 저농도(低濃度)에서 크다. 2. IR 667은 고농도(高濃度)에서 암모늄 독작용(毒作用)을 받아 감수(減收)된 것 같고 이것은 질소결제(窒素缺除)로 방지(防止)었다. 3. IR 667은 진흥(振興)보다 질소환경(窒素環境)의 변화(變化)에 감수성(感受性)이 크다. 4. 진흥(振興)은 고농도(高濃度)에서 질소흡수력(室素吸收力)과 단백합성력(蛋白合成力)이 IR 667 보다 우열(優熱)하나 저농도(低濃度)에서는 이와 반대(反對)였다. 5. 이상(以上)의 결과(結果)로 진흥(振興)은 대사적내비성(代謝的耐肥性) 크고 IR667은 구조적내비성(構造的耐肥性)이 큰 것으로 보이며 이상적(理想的) 생산적(生産的) 내비성(耐肥性)은 이 두 품종(品種)의 내비성(耐肥性)의 결합형(結合型)으로 보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