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토양관주

검색결과 84건 처리시간 0.026초

관주 접종법을 이용한 효율적인 배추 뿌리혹병 저항성 검정법 (Convenient Screening Method of Chinese Cabbage for Resistance to Plasmodiophora brassicae Using Soil-Drenching Inoculation)

  • 조수정;장경수;최용호;김진철;최경자
    • 식물병연구
    • /
    • 제16권3호
    • /
    • pp.279-284
    • /
    • 2010
  • Plasmodiophora brassicae에 의한 배추 뿌리혹병은 전 세계적으로 발생하여 큰 피해를 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관주 접종을 이용한 효율적인 배추 뿌리혹병 저항성 검정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레이스 9인 GN-1 균주를 사용하여 토양 종류, 접종원 농도, 배추 생육시기, 접종 후 배양 기간 등의 발병 조건에 따른 뿌리혹병 발생을 조사하였다. 혼합토양(원예용 상토:밭 토양=1:1, v/v)과 달리, 원예용 상토에서는 P. brassicae 접종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배추 뿌리혹병 발생도 증가하였다. 접종원 농도는 폿트 당 $4.0{\times}10^8$개의 포자로 접종하였을 때 그리고 접종을 위한 배추는 파종 후 10일 유묘가 적합하였다. 안정적인 발병을 위해서, 접종한 배추 유묘는 3일 동안 $20^{\circ}C$ 생육상에서 하루에 12시간 광을 처리하며 배양한 후 온실($25{\pm}5^{\circ}C$)에서 5주 동안 재배한 후에 병조사하는 것이 요구되었다. 확립한 배추 뿌리혹병 저항성 검정법을 이용하여, 시판 중인 뿌리혹병 저항성 품종 25종과 감수성 품종3종의 P. brassicae GN-1 균주에 대한 저항성 정도를 실험한 결과, 모든 저항성 품종들은 뿌리혹병에 대하여 뚜렷한 저항성을 나타내었고, 감수성 품종들은 발병도 3.5 이상의 높은 감수성을 보였다. 따라서 이 방법은 배추의 뿌리혹병 저항성을 검정하기 위한 효율적인 검정법임을 알 수 있었다.

벤트그래스 그린 관리를 위한 엽면 시비의 효과 (The Effect of Foliar Application to Improve Putting Green Performance)

  • 홍범석;태현숙;오상훈;조용섭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94-99
    • /
    • 2011
  • 본 연구는 잔디 관리에서 엽면시비를 통해 나타나는 잔디의 생육 및 품질을 조사하여, 잔디 관리 정보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 엽면시비 후 잔디의 시각적 품질 및 밀도, 클로로필 함량이 높아졌다. 잔디밀도는 대조구에 비해 평균 2.8개/$cm^2$ 높았으며, 여름철 장마기에는 평균 3개/$cm^2$ 이상 높았다. 또한, 벤트그래스 그린에서 시각적 품질 및 클로로필 함량, 식생지수가 1년 내내 균일하게 유지되었으며, 갱신작업이나 건조피해 후에도 관주시비 처리구의 잔디보다 엽면시비 처리구의 잔디 회복속도가 현저히 빠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결과를 통해 엽면시비가 잔디의 지상부에 영양분을 신속하게 제공하여 잔디 생육을 단기간에 높이는 효과가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잦은 잔디 깎기로 양분의 유실이 많은 그린에서 유용하며, 특히 뿌리 길이가 짧아 시비의 효과가 낮은 하절기의 그린관리에 매우 실용적인 관리프로그램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잔디의 뿌리 길이 생육에 관해서는 관주 시비구와 엽면 시비구의 차이를 확인하기 어려웠으며, 엽변 시비프로그램의 특성상 시비 횟수가 늘어나는 점에 대해서도 생각해 보아야 한다. 마지막으로, 토양 분석결과에서 시비 전후 토양의 화학성에 큰 변화가 없다는 점은 토양 염류의 축적이 예방된다는 측면에서 큰 장점이 될 수 있으나 양분의 결핍이 쉽게 올 수 있다는 점에서 위험 요인이 될 수도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국내에서도 엽면 시비를 보편적인 시비방법으로 정착시킬 필요성을 느끼며, 이를 위해서는 시비 횟수를 줄이는 것과 같은 실용성을 높이기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풋마름병균, Ralstonia solanacearum의 길항세균 SKU-78 균주의 분리 동정 및 특성 (Isolation, Identification and Biological Control Activity of SKU-78 Strain against Ralstonia solanacearum)

  • 성필제;신정균;조홍범;김신덕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8권1호
    • /
    • pp.48-52
    • /
    • 2005
  • 종자발아실험과 뿌리에서의 집락 형성실험으로 고추와 토마토의 근권 토양에서 plant growth promoting rhizobacteria(PGPR) 균주를 선발하였다. 그 중 포트실험에서 종자처리와 토양 관주처리 하였을 때 60% 이상 풋마름병 방제효과를 나타낸 SKU-78 균주에 대해서 포장에서의 방제효과 검증에 의해 생물농약으로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생화학적 특성조사와 16S rDNA sequence 분석에 의해 SKU-78 균주를 Bacillus sp. SKU-78로 동정하였다.

Bacillus subtilus HR-1019와 N-Acetyl-thioproline으로 제조한 미생물처리제, BIOACTIVE에 의한 상추의 생장 촉진 (Growth Promotion of Lettuce by Biofertilizer, BIOACTIVE, Prepared from Bacillus subtilus HR-1019 and N-acetyl-thioproline)

  • 이용석;박동주;김재훈;김형석;정수열;최용락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79-83
    • /
    • 2013
  • L-Cysteine에서 유도된 아미노산인 ATCA와 불용성 인산 가용화능을 가진 균주를 이용하여 미생물처리제 BIOACTIVE를 제조하고 안정성을 확인 하였다. 제조한 미생물처리제를 미생물 비료로 적용하고자 3회 관주 처리한 다음 상추모종의 생장촉진 효과를 조사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로 처리한 시험 구에서 상추의 생육은 엽수, 엽장 및 엽중에서 최대 128%, 122% 및 153% 정도로 증가하였다. 처리 간에는 기준량(1,000배 희석) 처리> 반 량(500배 희석) 처리> 배 량(2,000배 희석) 처리 순으로 나타났다. 공시 BIOACTIVE의 처리가 토양 중의 유효인산 및 식물체내의 인산함량을 최대 118% 및 132% 정도 증가 시키는 경향이었다. BIOACTIVE제제를 처리했을 때 N, P, K 3요소를 관행으로 처리와 비슷한 생육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아 복합비료의 사용량을 줄여, 재배가 충분히 가능하리라 생각되며, 상추의 생육 및 비해 조사를 한 결과 본 관주 처리에서는 생육장해 및 비해는 없었다.

비병원성 Pseudomonas solanacearum을 이용한 담배 세균성마름병의 방제 (Protection of Tobacco Plants from Bacterial Wilt with an Avirulent Isolate of Pseudomonas solanacearum)

  • 이영근;김정화;박원목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7-21
    • /
    • 1985
  • 비병원성 Pseudomonas solanacearum을 이용한 담배세균성마름병의 방제가능성이 검토되었다. Nutrient 액체배지 및 토양에서 비병원성균주는 병원성균주보다 생육속도가 빨랐으나 두 균주를 혼합하여 배양할 때 병원성균주에 대한 생육억제효과는 크지 않았다. 비병원성균주의 현탁액에 감수성 담배품종인 BY4의 뿌리를 6시간동안 침지시킨 후 병원성균주에 오염된 토양으로 이식한 결과, 높은 세균성마름병 방제효과를 얻었다. 비병원성균주의 현탁액을 가식상태의 담배에 토양관주하고 24시간 후에 포장으로 이식한 결과 7월 상순까지는 $30\%$이상의 세균성마름병방제효과가 인정되었으나 그 후 방제효과가 급속히 감소되었다.

  • PDF

배추 무사마귀병(Plasmodiophora brassicae)의 발병유인 및 약제방제 (Environmental Factors Favoring the Disease Development and Chemical Control of Clubroot(Plasmodiophora brassicae) in Chinese Cabbage)

  • 오정행;조장환;김봉구;채제천;정길웅;황철호;김두욱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44-247
    • /
    • 1997
  • 배추 무사마귀병의 발병에 관여하는 환경요인의 영향을 구명하고 약제처리 방법을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배추 무사마귀병의 발병율은 근침지접종이나 관주 접종 보다는 전염원 삽입접종에서 현저히 높았다. 발병 유인으로 pH와 온도를 조사한 결과 토양 pH는 5-6에서, 토양온도는 $20-25^{\circ}C$에서 발병율이 높았고 pH 7.0이상, 토양온도 $30^{\circ}C$ 이상에서는 발병율이 급격히 감소하였다. 배추 무사마귀병의 방제를 위해서는 fluazinam 0.5% 분제의 토양살포나 종자분의의 단용처리보다는 둘을 병용처리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 PDF

Bacillus sp. WRD-1 배양액 처리가 토마토 생육에 미치는 영향 (Growth Effect of Tomato Treated with Bacillus sp. WRD-1 Cultures)

  • 옥민;서원석;배계선;권오창;박수진;조영수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63-66
    • /
    • 2001
  • 토양으로 부터 분리한 Bacillus sp. WRD-l의 토마토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미생물 배양액을 100배, 300배, 500배의 희석 비율에 따라 토마토재배지에 관주를 실시하여 토마토 생육 및 토양미생물상 변화를 관찰 하였다. 대조구로는 실제 미생물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Bacillus sp. WRD-1 배양액을 멸균하여 사용하였다. 토마토 생육은 전체적으로 100배> 300배> 500배> 대조구 순으로 희석 비율과 비례하였다. 시간별 토양미생물 수는 세균과 방선균의 수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곰팡이수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토양활성개량미생물제로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PDF

길항미생물 Bacillus subtilus GN38의 인삼 경엽 살포 및 토양 관주 처리에 의한 탄저병(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과 점무늬병(Alternaria panax) 발병억제 효과 (Effect of Ginseng leaf spray and soil irrigation of Bacillus subtilus GN38 antagonistic to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and Alternaria panax)

  • 홍혜정;이혜진;박기춘;배영석;연병열;어진우;차선우
    • 한국약용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약용작물학회 2010년도 심포지엄 및 추계학술발표회
    • /
    • pp.244-245
    • /
    • 2010
  • PDF

덩굴쪼김병 저항성 멜론을 위한 효율적이고 간편한 대량 검정법 개발 (Development of an Efficient Simple Mass-Screening Method for Resistant Melon to Fusarium oxysporum f. sp. melonis)

  • 이원정;장경수;최용호;김흥태;김진철;최경자
    • 식물병연구
    • /
    • 제21권3호
    • /
    • pp.201-207
    • /
    • 2015
  • 본 연구는 Fusarium oxysporum f. sp. melonis에 의해 발생하는 멜론 덩굴쪼김병의 간편 대량 저항성 검정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멜론의 덩굴쪼김병 저항성 검정에는 대부분 뿌리 침지(root-dipping) 접종 방법을 사용하고 있지만, 이 방법은 접종과정이 번거로워 노동력과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간편 저항성 검정법을 개발하기 위해 뿌리 침지, scalpel, tip 및 토양관주 방법으로 F. oxysporum f. sp. melonis 균주를 감수성 및 저항성 멜론 품종에 접종하여 덩굴쪼김병 발생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멜론 품종들은 scalpel 방법과 tip 방법에서 뿌리 침지 방법에서와 같은 분명한 저항성과 감수성 반응을 보였다. 하지만 tip 방법은 scalpel 방법보다 개체간의 발병도 차이가 약간 더 심하였으며 토양 관주 방법의 경우에는 감수성 멜론 품종들에서 덩굴쪼김병 발생이 매우 낮았다. 따라서 멜론 덩굴쪼김병의 간편 대량 저항성 검정을 위한 효율적인 접종 방법으로 scalpel 방법을 선발하였다. 그리고 scalpel 방법으로 접종할 때 접종 농도($1{\times}10^6$, $1{\times}10^7conidia/ml$)와 접종 후 재배 온도(25, $30^{\circ}C$)에 따른 멜론 품종들의 덩굴쪼김병 발생을 조사한 결과, 이들은 scalpel 방법으로 접종된 멜론 품종의 저항성 정도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리고 확립한 간편 검정법을 이용하여 시판 멜론 22개 품종의 덩굴쪼김병 저항성을 뿌리 침지 접종 방법과 비교하여 실험하여 이 방법의 효용성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멜론 덩굴쪼김병에 대한 간편 대량 저항성 검정법으로 멜론 종자를 파종하고 온실($25{\pm}5^{\circ}C$)에서 7일 동안 재배한 유묘의 뿌리를 scalpel을 이용하여 상처를 준 후에 $1{\times}10^6conidia/ml$ 농도의 멜론 덩굴쪼김병균 포자현탁액을 포트 당 10 ml씩 관주하고 $25-30^{\circ}C$에서 약 3주일 동안 재배하는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Uniconazole 농도가 분화용 감국의 생육 및 개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Uniconazole Treatment on the Growth and Floweringof Potted Chrysanthemum indicum L.)

  • 정성숙;정현환;김기선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8권1호
    • /
    • pp.28-32
    • /
    • 2000
  • 본 연구는 uniconazole 농도가 감국의 생육 및 개화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여 가장 효과적인 방법을 찾음으로써 양질의 분화용 감국 생산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실시되었다. 삽목 발근묘를 정식 후 2주째 적심하고 uniconazole을 농도별로 토양관주하였으며, 같은 농도(0.05mg a.i./pot)를 1회, 2회, 3회로 나누어 관주하고 동시에 단일처리와 적심처리를 행하여 감국의 생육 및 개화반응을 살펴본 결과, uniconazole을 0.05, 0.10, 0.15mg a.i./pot로 증가시킴에 따라 초장은 41.6, 52.5, 58.5%로 감소되었다. 측지수는 0.05 mg a.i./pot 처리구에서 가장 많이 증가되었으며 초장(22.6cm)도 18cm 화분에 적합하였다. 그러나, 높은 농도(0.10, 0.15mg a.i./pot)는 초장(17.0, 14.8cm)이 지나치게 짧아서 적합하지 않았다. 단일처리와 적심처리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가시적인 화아발생시까지의 기간을 단축시켰지만, uniconazole 처리에 의해서는 적심과 단일처리시의 효과를 5~9일까지 지연시켰다. 화아수는 0.05mg a.i./pot에서 가장 많은 경향을 보였으나 꽃직경은 uniconazole 처리시에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꽃이 작고 많은 형태가 되었다. 또한 0.05mg a.i./pot를 1회에 처리한 경우에 화아발생시까지의 기간이 비교적 짧았으며, 화아수도 증가하였다. 따라서 정식후 2주째 적심과 단일처리 후 uniconazole 0.05mg a.i./pot를 1회 토양관주함으로써 화분과 균형을 이루는 초장을 얻을 수 있으며, compact type의 분화를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