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토사농도

Search Result 120,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 Basic Study of Solidification for the Waste in the illegal(Open) Bumping Landfill (불량매립지 폐기물의 고형화를 위한 기초적 연구)

  • 이재영
    • Journal of Korea Soil Environment Society
    • /
    • v.3 no.1
    • /
    • pp.75-81
    • /
    • 1998
  • In most of studies on solidification/stabilization with waste, small columns have been used to examinate adsorption or leachate. However, these experiments using small apparatus have been limited to apply with the field. In this study, considering an application to the field, a large Lysimeter(100cm$\times$100cm$\times$100cm) used for the simulation. Then, the open dumping waste was mixed directly with bentonite to simulate the stabilization of waste, environmental aspects and several basic tests. As a result, the concentration of heavy metals and contaminated substances changed with bentonite rate. Most of contaminated substances were decreased in leaching with increased mixing rate of bentonite. Especially, the concentration of CODcr removed 25~30%. Also, the residual soil in dumping waste produced approximately 80% of total volume by 40$\times$40mm screen.

  • PDF

Estimation of Suspended Sediment Runoff for Landuse (토지이용에 따른 부유토사 유출 평가)

  • Kim, Joo-Hun;Oh, Deuk-Kun;Kim, Kyung-Tak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7 no.1
    • /
    • pp.119-128
    • /
    • 2005
  • Sediment yield and sediment transport in a basin bring about decrease of conveyance by the change of bed section, and have an influence on an aggravation of water quality and freshwater ecosystem.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outflow sediment according to land-use in Mushim-cheon flowing through forest area, farmland area and urban area. The upper stream of Mushim-cheon consists of forest area and farmland area. The suspended sediment is observed through 10 rainfall events in 5 sites. As a result of analyzing characteristics of landuse, the site of Bangse-gyo takes up 69% of Mushim-cheon, and farmland area(27.1%) and forest area(63.7%) take up 90.8% in Bangse-gyo. Accordingly, these two areas have the high possibility to occur sediment. The suspended sediment of this site shows the highest concentration. Transferring to the downstream and the urban, the concentration of suspended sediment gets decreased. The suspended sediment occurred in the upper stream of Mushim-cheon prior to Bangse-gyo has an influence on the downstream, and has a slight influence on the urban area. Also relational formula about suspended sediemtn and discharge is leaded. As a result of this formula, $R^{2}$ is 0.506 in the upper stream and is 0.656 in the downstream.

  • PDF

A Study on Heavy Metal Levels of PM 10 and Source Identification in the Central Area of Daejon (대전도심지역의 중금속 농도특성과 오염원확인에 관한 연구)

  • 임종명;구부미;장미숙;이진홍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1.11a
    • /
    • pp.65-66
    • /
    • 2001
  • 교통수단의 발달과 경제활동이 활발해짐에 따라 많은 오염문제가 발생하였는데, 특히 대도시를 중심으로 증가한 차량과 경제활동에 필요한 에너지 소비의 증대로 대기오염의 심각성은 더욱 커지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대기중 부유 분진의 발생원은 토사의 재 비산이나 해염 입자, 화분 등과 같은 자연적인 발생원과 산업시설, 소각시설, 가정난방, 수송수단의 이용 등의 인간활동에 의한 인위적인 배출원으로 대별되는데, 인위적인 배출원의 영향은 자연적 발생원에 비해 그 영향이 보다 폭넓고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중략)

  • PDF

Application Review and Comparison of Debris Flow Numerical Model Using High Precision DEM (고정밀도 DEM을 활용한 토석류 수치모형의 비교 및 적용성 검토)

  • Kim, YoungHwan;Jun, KyeWon;Jun, Byo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86-286
    • /
    • 2017
  • 자연재난은 전 세계적으로 인명 및 재산피해를 야기하고, 근래에는 기후변화로 인한 국지성 집중호우와 태풍의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국토면적의 64%가 산지로 이루어져 있는 우리나라에서는 산지재해의 위험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 중 토석류 재해는 붕괴된 토사가 물과 함께 섞여 높은 농도로 하류를 향해 이동하기 때문에 그 발생시점과 발생위치를 예측하기 어렵고, 토석류의 이동경로와 퇴적부 지점에 위치하고 있는 시설물 및 인명에 매우 큰 피해를 입히는 자연재해 중 하나이다. 본 연구대상지역은 충북제천시 봉양읍 공전리 일대에 위치하고 있으며, 2009년 7월 시간최대강우량 64mm, 누적강우량 455m의 집중호우로 인해 토석류가 발생하였고, 하류부에 위치한 민가와 비닐하우스, 농경지등에 피해가 발생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상LiDAR를 활용하여 고정밀도 DEM(Digital Elevation Model)을 구축하였다. 그리고 토석류 수치모형 중 미연방재난관리청(FEMA)에서 토석류 해석에 권장하고 있는 프로그램 FLO-2D모형과 일본에서 개발된 Kanako-2D모형을 적용하여 실측된 토석류 확산범위와 유출토사량을 수치모형의 결과와 비교분석하여 모형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 PDF

Nearshore Sediment Transport in Vicinity of Anmok Harbor, East Coast of Korea. (동해 안목항 주변 연안 토사이동)

  • 김인호;이정렬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16 no.2
    • /
    • pp.108-119
    • /
    • 2004
  • The breakwater extension at Anmok Harbor has resulted in erosional stresses along the wide range of shorelines immediately south of the harbor. In this study, therefore, the downdrift affects caused by the breakwater extension are investigated through both analytical and numerical approaches. In addition, this study stresses the need of monitoring and analysis system for the effective integrated coastal zone management and shows through the case study of Anmok Harbor how the numerical experiments are accomplished for the coastal zone management. The numerical model system, which predicts the seabed changes obtained from the difference between the rates of sediment pickup and settling due to gravity, is combined with the wave, wave-induced currents, and suspended sediment transport models. A new relationship between the near-bed concentration and the depth-mean concentration, which is required in estimating the settling rates. is presented by analyzing the vertical structure of concentration.

Effects of Monsoon Rainfalls on Surface Water Quality in a Mountainous Watershed under Mixed Land Use (토지이용이 다변화된 산림 유역의 수질에 미치는 몬순 강우의 영향)

  • Jo, Kyeong-Won;Lee, Hyun-Ju;Park, Ji-Hyung;Owen, Jeffrey S.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12 no.3
    • /
    • pp.197-206
    • /
    • 2010
  • To provide baseline information essential for assessing environmental impacts of monsoon rainfalls in a mountainous watershed under mixed land use, we investigated spatiotemporal variations in water quality using a combined approach of seasonal water quality survey and intensive storm samplings. Biannual water sampling at nine locations encompassing major land use types showed generally lower electrical conductivity and Cl- concentrations during the typical wet period compared to the dry period, indicating rainfall-induced dilution of dissolved ions. Total metal concentrations, however, were significantly higher during the monsoon period, probably associated with rainfall-induced increases in suspended sediments. Intensive storm sampling during a small monsoon rainfall event (18 mm) and an extreme event (452 mm) showed rapid changes in both suspended sediments and dissolved solutes in an agricultural stream draining the Haean Basin where arable lands have expanded rapidly over the recent decades. By contrast, a nearby forest stream derived from North Korea showed little responses to the small event compared to larges changes during the extreme event. In the agricultural stream total Pb concentration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with suspended sediments. Although limited sampling frequency and locations require a cautious interpretation, the overall results suggest that expansion of agricultural fields in steep mountainous watersheds can increase the susceptibility of soil erosion and its off-site environmental impacts under increasing rainfall variability and extremes.

Non-point Reduction Effect due to Mitigation of Slope in Highland Fields (고랭지밭 경사도 완화에 따른 비점 저감 효과)

  • Tae Hwan Lee;Dong Hyuk Kum;Jun Ho Kang;Jeong Ha Lim;Tae Seong K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69-469
    • /
    • 2023
  • 고랭지밭은 집중호우시 토사가 유실되고 고농도의 흙탕물이 하천으로 유입되면서 하류지역의 수질 악화로 사회적·환경적 문제를 초래하고 있다. 이에, 환경부는 비점오염원관리지역을 지정하고 비점오염저감시설을 보급하고 있으나, 저감 노력에도 불구하고 집중호우시 수질 악화는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발생원 관리 노력이 더욱 많이 필요한 실정인데, 최근 강원도와 환경부에서는 토사유실에 취약한 고랭지밭의 지형적 조건을 개선하여 토양유실을 저감하는 고랭지밭 경사도 완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고랭지밭 경사도 완화는 급경사지 및 경사장의 경작지를 계단식으로 조성하여 비점유출을 최소화시키는 발생원 관리방안이다. 그러나, 고랭지밭 경사도 완화에 따른 정량화된 비점유출 저감효과 분석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홍천군 광원리와 창촌리에 조성된 경사도 완화 경작지를 대상으로 강우유출수 모니터링을 수행하였으며, 비점저감효과 정량화를 위해 인근의 경사지 밭에서도 강우유출수 모니터링을 수행하여 대조구로 분석하였다. 강우유출수 모니터링은 2020년 8월에 총 3회(광원리 2회, 창촌리 1회) 수행되었으며, 분석 결과 광원리의 경사도 완화 경작지 평균 수질농도는 탁도 124.4 NTU, SS 111.5 mg/L, TOC 4.6 mg/L로 나타났으며, 대조구의 평균 수질농도는 탁도 1,741.7 NTU, SS 673.3 mg/L, TOC 30.6 mg/L로 나타났다. 광원리의 경사도 완화 경작지는 대조구 대비 수질항목별 83.4 ~ 92.9%의 비점저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촌리의 경사도 완화 경작지의 평균 수질농도는 탁도 598.1 NTU, SS 414.5 mg/L, TOC 8.5 mg/L로 나타났으며, 대조구 평균 수질농도는 탁도3,487.3 NTU, SS 3,081.2 mg/L, TOC 40.3 mg/L로 나타났다. 창촌리의 경사도 완화 경작지는 대조구 대비 수질항목별 78.9 ~ 86.5%의 수질저감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작지의 경사도 완화로 밭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 발생을 SS는 최대 86.5%, TOC는 최대 84.9%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본 연구 결과는 단년간 모니터링을 통해 도출된 결과이므로 정량화된 비점오염저감효과 도출을 위해서 다양한 강우조건 등을 고려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연구에서는 2022년도에 인제군 북면 월학리 신규 조성된 경사도 완화 경작지를 대상으로 강우유출수 모니터링을 수행할 계획이다.

  • PDF

A Study on the Airborne Concentration of Heavy Metals by INAA at the Roadside (INAA를 이용한 도로변의 중금속 농도에 관한 연구)

  • 임종명;구부미;장미숙;이진홍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0.11a
    • /
    • pp.35-36
    • /
    • 2000
  • 교통수단의 발달과 경제활동이 활발해짐에 따라 많은 오염문제가 발생하였는데, 특히 대도시를 중심으로 증가한 차량과 경제활동에 필요한 에너지 소비의 증대로 대기오염의 심각성은 더욱 커지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대기중 부유 분진의 발생원은 토사의 재 비산이나 해염 입자, 화분 등과 같은 자연적인 발생원과 산업시설, 소각시설, 가정난방, 수송수단의 이용 등의 인간활동에 의한 인위적인 배출원으로 대별되며 인위적인 배출원의 영향은 자연적 발생원에 비해 그 영향이 보다 폭넓고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화석연료의 연소와 관련 있는 각종 산업시설의 증가 및 대형 디젤 자동차의 급격한 증가는 대기 중 부유분진의 농도를 증가시키는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중략)

  • PDF

Characteristics of Non-Point Pollution Discharge of Urban Area According to Land Use (토지이용도에 따른 도시하천의 비점오염원 유출특성)

  • Park, Sung-Chun;Oh, Chang-Ryol;Kim, Ju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1229-1233
    • /
    • 2005
  • 본 연구는 도시지역의 강우-유출로 인한 비점오염물질의 유출특성 및 배출부하량을 조사하기 위하여 영산강권역의 풍영정천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대상 유역의 토지이용별 구분은 논지역, 하류공단 및 논$\cdot$산지 복합 토지 이용특성, 공단 지역, 도시 분류식 지역, 소유역 출구지역으로 구분하였다. 시료의 채취는 강우시 4회에 걸쳐 조사하였으며, 매회 시료 채취 주기는 강우유출이 발생하기 전부터 시작하여 첨두유출량이 발생때까지 $1\~2$시간 간격으로 채취한 후 강우 종료 후 유출량 변화가 없을 때까지 $9\~12$단계로 세분하여 유출량과 pH, DO, BOD, COD, SS, T-N, T-P의 농도를 측정 하였다. 토지이용별 비점오염물질의 유량가중평균농도(EMC : Event Mean Concentration)를 살펴보면, BOD의 EMC는 $4.43\~14.22mg/{\ell}$의 분포를 보였으며, 도시 합류식 토지이용 특성을 지닌 P-4지점에서 가장 큰 농도를 보였을 뿐만 아니라 타 토지이용 특성에 비하여 두드러지게 초기 오염물질 유출 현상을 나타내었다. COD의 EMC는 $8.27\~18.81mg/{\ell}$의 분포를 보였으며, BOD 수질농도와 같이 P-4 지점에서 가장 큰 농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SS의 EMC는 $35.76\~358.86mg/{\ell}$의 분포를 보였으며, 소유역의 중간지점이면서 논$\cdot$산지$\cdot$공단지역의 토지이용 특성을 지닌 P-2 지점에서 가장 큰 농도를 나타내었다. 이는 조사기간(Event 1, Event2) 동안 상류의 자연형하천 제방공사로 인한 토사유출로 인하여 다소 높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대상유역 전반적으로 초기 오염물질 유출 현상을 보였으며, BOD와 COD 수질농도의 분포양상과는 다르게 강우량 및 강우강도에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T-N의 EMC는 $1.61\~7.13mg/{\ell}$의 분포를 보였으며, T-P는 $0.03\~0.46mg/{\ell}$의 분포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ntioxidant Effects of Herbal Wine containing Acanthopanax sessiliflorus, Lycium chinense, Schizandra chinensis, Cuscutae semen, Rubus coreanum and Plantaginis semen (오가피, 구기자, 오미자, 토사자, 복분자 및 차전자를 첨가한 한방 약술의 항산화 효과)

  • Oh, Sung-Cheon
    •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
    • v.33 no.4
    • /
    • pp.693-697
    • /
    • 2016
  • In this study, the electron donating ability(EDA) and total polyphenol content of herbal wine were examined. The herbal wine was obtained from extract concentration to evaluate its functional properties. The herbal wine were screened for their potential antioxidant activities using test such as electron donating ability(EDA) and total polyphenol content. The electron donating ability(EDA) were $21.81{\pm}0.56$ in herbal wine 15% and $40.45{\pm}1.60$ in herbal wine 35%. As the extract concentration was increased the electron donating ability(EDA) were significantly increased(p<0.05). The total polyphenol contents were measures $113.89{\pm}1.79{\mu}g\;GAE/m{\ell}$ in herbal wine 15%, $274.24{\pm}0.71{\mu}g\;GAE/m{\ell}$ in herbal wine 35%. As the extract concentration was increased the total polyphenol content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p<0.05). Also, the total polyphenol contents were measures $61.75{\mu}g\;GAE/m{\ell}$ in herbal wine, the high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