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토목건설

Search Result 2,463,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 Study on the Science and Technology Level in Korea (우리나라의 과학기술수준조사에 관한 연구)

  • 정근하;김인호;정한수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1999.11c
    • /
    • pp.219-236
    • /
    • 1999
  • This study is to acquire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S&T level of Korea to serve as an important basis for the government policy-making, and to make basic information available to effectively promote the National R&D Program by survey of the overall S&T level in Korea S&T level survey is a comparison to the highest levels in the world to the third 3digit of the technology tree table. And, survey of technological gaps by year, during which Korea is able to reach the current level of the advanced countries. The findings of the surveys should be applied to strategic technology Planning for solving or narrowing the technology gap, e the major criteria for resources allocation in National R&D programs. And, the findings of the surveys should be the fundamental information used to establish strategic S&T policy in government.

  • PDF

Analysis of bankfull discharge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generation of bankfull discharge for bed change simulation (만제유량 특성 분석 및 하상변동 모의를 위한 유량의 배분/생성)

  • Lee, Woong Hee;Choi, Heung 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70-70
    • /
    • 2015
  • 하천에서의 수문/수리적 특성은 주수로의 다양한 지형학적 형태로 나타난다. 특히 흐름과 수반된 유사량의 변화는 하천의 지형학적, 수리기하적 특성을 지배하며, 하도의 물리적 시스템을 변화시켜 동적 평형에 이르게 된다. 하천에서 하도 형성에 지배적인 역할을 하는 수리특성은 하도형성유량으로 지배유량이며, 보통 만제유량을 사용한다. Dunne and Leopold(1978)는 만제유량을 유사의 이송, 하천의 사행, 유선형의 변화 등 하천의 일반적인 형태를 변화시키며, 주수로의 특성을 형성하는 유량으로 정의하였다. 이와 같이 수리 지형학적 특성을 반영하는 만제유량은 하천의 특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강 수계 20개 하천, 27개 수위 관측소의 최소 10년 이상의 실측 자료를 기반으로 다년간의 연평균 실측유량을 산정하였으며, McCandless(2003)가 제시한 지형학적 만제지표를 이용하여 추정한 만제유량과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추정된 만제유량은 HEC-RAS model을 이용하여 만제하폭, 만제수심, 만제 시 평균유속을 산정하였다. 27개 지점의 실측유량과 만제유량의 상관성 분석결과 만제유량은 연평균 일유량의 7.7배로 나타났다. 따라서 만제유량을 7일 평균유량(1 week mean discharge)으로 정의하였으며, 수정된 7일 유량과 만제유량의 RMSE는 13.90 m/s, MAPE는 9.94 %로 상관성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또한 만제유량과 만제하폭, 만제수심, 평균유량, 구간경사와 상관성 분석결과 개별적으로의 상관성은 나타나지 않았으나, 만제하폭, 수심, 평균유량과 만제유량에 대한 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R^2$는 0.911로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구간경사를 추가하여 분석한 결과 $R^2$가 0.914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만제유량은 수리 기하학적 특성이 모두 반영된 하천 특성을 나타내는 복합적인 지표임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만제유량을 통해 추정된 연평균 유량($48{\cdot}Q_{bf}$)을 우리나라의 월간 유출량 분포 비율을 이용하여 일유량으로 배분/생성하였으며, 생성된 일유량을 통해 CCHE2D model을 이용하여 하상변동 모의를 수행하였다. 대상 구간은 병성천 최하류로부터 상류로 7 km 구간이며, 2013년 1월과 12월 측량 자료를 통한 1년간의 실제 하상 변동 자료와 2013년 실측 유량자료에 따른 하상변동 모의 결과 및 만제유량에 의해 배분/생성된 일유량에 따른 하상변동 모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비교 분석 결과 7일 평균 유량으로 정의된 만제유량을 통해 배분/생성된 유량의 수치모의 결과는 실제 측량자료 및 실측유량자료에 따른 하상변동 결과와 매우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Analysis of bankfull discharge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generation of bankfull discharge for bed change simulation (만제유량 특성 분석 및 하상변동 모의를 위한 유량의 배분/생성)

  • Lee, Woong Hee;Choi, Heung 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580-580
    • /
    • 2015
  • 하천에서의 수문/수리적 특성은 주수로의 다양한 지형학적 형태로 나타난다. 특히 흐름과 수반된 유사량의 변화는 하천의 지형학적, 수리기하적 특성을 지배하며, 하도의 물리적 시스템을 변화시켜 동적 평형에 이르게 된다. 하천에서 하도 형성에 지배적인 역할을 하는 수리특성은 하도형성 유량으로 지배유량이며, 보통 만제유량을 사용한다. Dunne and Leopold(1978)는 만제유량을 유사의 이송, 하천의 사행, 유선형의 변화 등 하천의 일반적인 형태를 변화시키며, 주수로의 특성을 형성하는 유량으로 정의하였다. 이와 같이 수리 지형학적 특성을 반영하는 만제유량은 하천의 특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강 수계 20개 하천, 27개 수위 관측소의 최소 10년 이상의 실측 자료를 기반으로 다년간의 연평균 실측유량을 산정하였으며, McCandless(2003)가 제시한 지형학적 만제지표를 이용하여 추정한 만제유량과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추정된 만제유량은 HEC-RAS model을 이용하여 만제하폭, 만제수심, 만제 시 평균유속을 산정하였다. 27개 지점의 실측유량과 만제유량의 상관성 분석결과 만제유량은 연평균 일유량의 7.7배로 나타났다. 따라서 만제유량을 7일 평균유량(1 week mean discharge)으로 정의하였으며, 수정된 7일 유량과 만제유량의 RMSE는 13.90m/s, MAPE는 9.94 %로 상관성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또한 만제유량과 만제하폭, 만제수심, 평균유량, 구간경사와 상관성 분석결과 개별적으로의 상관성은 나타나지 않았으나, 만제하폭, 수심, 평균유량과 만제유량에 대한 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R^2$는 0.911로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구간경사를 추가하여 분석한 결과 $R^2$가 0.914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만제유량은 수리 기하학적 특성이 모두 반영된 하천 특성을 나타내는 복합적인 지표임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만제유량을 통해 추정된 연평균 유량($48{\cdot}Q_{bf}$)을 우리나라의 월간 유출량 분포 비율을 이용하여 일유량으로 배분/생성하였으며, 생성된 일유량을 통해 CCHE2D model을 이용하여 하상변동 모의를 수행하였다. 대상 구간은 병성천 최하류로부터 상류로 7 km 구간이며, 2013년 1월과 12월 측량 자료를 통한 1년간의 실제 하상 변동 자료와 2013년 실측 유량자료에 따른 하상변동모의 결과 및 만제유량에 의해 배분/생성된 일유량에 따른 하상변동 모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비교 분석 결과 7일 평균 유량으로 정의된 만제유량을 통해 배분/생성된 유량의 수치모의 결과는 실제 측량자료 및 실측유량자료에 따른 하상변동 결과와 매우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Application Examples of Daecheong Dam for Efficient Water Management Based on Integrated Water Management (통합물관리 기반 효율적 물관리를 위한 대청댐 실무적용 사례)

  • Kang, Kwon-Su;Heo, Jun-H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85-85
    • /
    • 2017
  • 효율적 물관리란 거대한 물순환 과정에서 인간이 편안한 삶을 사는데 필요한 물의 이용효율을 극대화하는 것이다. 과거의 물관리는 이원화된 수량과 수질관리, 수량중심에서는 용수공급과 홍수조절이 주요한 관심사였다. 현재는 과거의 물관리에 친수와 환경을 더한 복잡한 분야로 확대되고 있다. 통합물관리란 물을 최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물관리 이해당사자간의 소통과 물 기술의 고도화를 기반으로 기존에 분산된 물관리 구성요소들(시설 정보, 수량 수질 등)을 권역적으로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청댐 방류에 따른 금강 하류부의 홍수추적을 위해 수행한 댐하류 소유역별 강우량 빈도분석 과정, 용담댐 방류를 고려한 대청댐 홍수도달시간 검토, Poincare Section과 신경망기법을 이용한 수문자료 예측, 추계학적 다변량 해석과 다변량 신경망해석에 의한 대청댐 유입량 산정과정, 보조여수로 건설에 따른 주여수로와 보조여수로간의 연계운영방안, 단계(관심, 주의, 경계, 심각)를 고려한 대청댐 확보수위 산정, 저수지 중장기 운영계획 수립과 댐 운영 기준수위를 결정하기 위해 누가차분방식으로 적용되는 갈수기 유입량 빈도분석에 대한 실무적용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강우량 빈도분석 과정은 L-모멘트방법(Hosking과 Wallis, 1993)을 적용하였고, 홍수도달시간 검토는 평균유속, 하류 수위상승 기점 영향검토, 수리학적 모형(FLDWAV, Progressive lag method 등)을 활용하였다. 카오스 이론을 도입하여 대청댐 수문자료의 상관성 검토 및 추계학적 모형을 이용한 모의발생을 유도하여 수문자료 예측을 시행하였다. 추계학적 모형과 신경망모형 연구의 대상은 대청댐으로, 시계열 자료는 댐의 월강우량, 월유입량, 최고기온, 평균기온, 최소기온, 습도, 증발량 등의 자료를 기반으로 하였다. 적용기간은 1981~2009년의 자료를 이용하여 2010년 1월부터 12월까지 12개월 동안의 월유입량을 예측하였다. 수문자료 해석의 기본이 되는 약 30년간의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대청댐의 유입량 예측을 위해 적용된 모형으로는 추계학적 모형인 ARMA모형, TF모형, TFN 모형 등이 적용되었고, 또한 신경망 모형의 종류인 다층 퍼셉트론, PCA모형 등을 활용하여 실측치와 가장 가깝게 근사화시키는 방법론을 찾고자 하였다. 또한, 기존여수로와 보조여수로 연계운영을 위해 3차원 수치해석을 통한 댐하류 안정성 검토 및 확보수위 산정을 통해 단계(관심, 주의, 경계, 심각)별로 대처가 가능한 수위를 산정하였다.

  • PDF

Numerical Analysis on Effect of Stemming Condition in Mine Ventilation Shaft Blasting (광산 통기수갱발파에서 전색조건이 발파효율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수치해석적 연구)

  • Kim, Jun-ha;Kim, Jung-gyu;Jung, Seung-won;Ko, Young-hun;Baluch, Khaqan;Kim, Jong-gwan
    • Explosives and Blasting
    • /
    • v.39 no.3
    • /
    • pp.15-23
    • /
    • 2021
  • Ventilation shafts are pathways in mines and tunnels for the removal of dust or smoke during underground space construction and operation. In mines, blasting with long blast holes is preferred for the excavation of a ventilation shaft in the 10~20m long crown pillar section. In this case, the bottom part of the blast hole is completely drilled in order to determine the drilling error, and this causes a problem of lowering the explosive charge and blasting efficiency.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explosive loading and to increase the blast efficiency by covering the curb of the blasthole by using stemming material. In this study, simulations for the blasting of a ventilation shaft were performed with various stemming lengths and the blasthole diameters(45, 76mm) using AUTODYN 2D SPH(Smooth particle hydrodynamics) analysis technique. Also the optimal bottom stemming column was derived by checking the size of the boulder and burden line according to blasting. Analysis result, blasting efficiency is lessened in case of stemming length less than 30cm and the optimal length of the stemming material should be 30cm or higher to achieve high efficiency of blasting.

Waveform Decomposition of Airborne Bathymetric LiDAR by Estimating Potential Peaks (잠재적 피크 추정을 통한 항공수심라이다 웨이브폼 분해)

  • Kim, Hyejin;Lee, Jaebin;Kim, Yongil;Wie, Gwangjae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7 no.6_1
    • /
    • pp.1709-1718
    • /
    • 2021
  • The waveform data of the Airborne Bathymetric LiDAR (ABL; 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 system provides data with improved accuracy, resolution, and reliability compared to the discrete-return data, and increases the user's control over data processing. Furthermore, we are able to extract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the return signal. Waveform decomposition is a technique that separates each echo from the received waveform with a mixture of water surface and seabed reflections, waterbody backscattering, and various noises. In this study, a new waveform decomposition technique based on a Gaussian model was developed to improve the point extraction performance from the ABL waveform data. In the existing waveform decomposition techniques, the number of decomposed echoes and decomposition performance depend on the peak detection results because they use waveform peaks as initial values. However, in the study, we improved the approximation accuracy of the decomposition model by adding the estimated potential peak candidates to the initial peaks. As a result of an experiment using waveform data obtained from the East Coast from the Seahawk system, the precision of the decomposition model was improved by about 37% based on evaluating RMSE compared to the Gaussian decomposition method.

Improved Compressive·Flexural Performance of Hybrid Fiber-Reinforced Mortar Using Steel and Carbon Fibers (강 및 탄소 섬유를 사용한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모르타르의 압축·휨성능 향상)

  • Heo, Gwang-Hee;Park, Jong-Gun;Seo, Dong-Ju;Koh, Sung-Go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25 no.5
    • /
    • pp.48-59
    • /
    • 2021
  • In this study,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mpressive·flexural performances of single fiber-reinforced mortar (FRM) using only steel fiber or carbon fiber which has different material properties as well as hybrid FRM using a mixture of steel and carbon fibers. The mortar specimens incorporated steel and carbon fibers in the mix proportions of 1+0%, 0.75+0.25%, 0.5+0.5%, 0.25+0.75% and 0+1% by volume at a total volume fraction of 1.0%. Their mechanical performance was compared and examined with a plain mortar without fiber at 28 days of age. The experiments of mortar showed that the hybrid FRM using a mixture of 0.75% steel fibers + 0.25% carbon fibers had the highest compressive and flexural strength, confirming by thus the synergistic reinforcing effect of the hybrid FRM. On the contrast, in the case of hybrid FRM using a mixture of 0.5% steel fibers + 0.5% carbon fibers witnessed the highest flexural toughness, suggesting as a result the optimal fiber mixing ratio of hybrid FRM to improve the strength and flexural toughness at the same time. Moreover, the fracture surface was observed through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for image analysis of the FRM specimen. These results were of great help for images analysis of hybrid reinforcing fibers in cement matrix.

A study on rationalized values of deoxygenation coefficient for stream quality modelling in the Hwangguji stream (수질모의시 적정 탈산소계수 선정을 위한 연구 - 황구지천을 대상으로 -)

  • Noh, Huiseong;Ahn, Taejin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21 no.1
    • /
    • pp.77-83
    • /
    • 2019
  • Stream water qualities have been predicted in the year 2002 and 2014 through providing the Hwangguji Stream Rectification Plan. However, the reliability of result for predicted water quality was relatively lower by applying conventional values of the parameters in model. In this study deoxygenation coefficients between Sema bridge(HGJ2) and Sujik bridge(HGJ3) have been evaluated based on the observed data of water quality and travelling time to compare with the applied value of coefficients in predicting water quality model. The values of deoxygenation coefficient $0.078day^{-1}{\sim}0.748day^{-1}$ for normal period and $0.053day^{-1}{\sim}0.505day^{-1}$ for drought period have been calculated based of observed data between Sema bridge and Sujik bridge. The values of coefficients $0.02day^{-1}{\sim}3.4day^{-1}$ have been applied in predicting water quality model in the year 2002 and $0.043day^{-1}$ 2014. Thus, the simulated results of stream water quality were better than the observed data in 2002, and worse in 2014. It has shown that values of deoxygenation coefficient should be properly estimated based on observed data to predict proper stream water quality by model.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Dynamic Pile Load Test to Check Integrity during Installation of Extension Plate Attached PHC Piles and Bolts Spliced PHC Piles and the Correct Proof Test of the Transformed-installation PHC Piles (확장판 선단부착 PHC말뚝 및 볼트 수직이음을 사용한 PHC말뚝의 시공 중 건전성 확인을 위한 동재하시험의 적용성 및 변형시공법 PHC말뚝들의 올바른 검증시험에 관한 연구)

  • Kim, Myunghak;Choi, Yongkyu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34 no.12
    • /
    • pp.115-131
    • /
    • 2018
  • Extension plate attached PHC piles and bolts spliced PHC piles were installed in field test site. Pile integrities were checked during installation with dynamic pile test and the actual pile conditions after installation were compared with integrity index (${\beta}$ index) by PDA test. Theoretically the break in near pile end or pile end (especially extension plate itself) was very difficult to access by integrity index (${\beta}$ index) and also require a high level of knowledge and field experience on PDA test. First actual wave equation of bolts spliced PHC piles due to bolts spliced equipment can be different with welding spliced. Second wave length of the stress wave from installing can be longer than the height of bolts spliced equipment (about 100 mm). Third Beta processing in PDA analysis function is very difficult to access without a high level of knowledge and field experience on wave equation. Above-mentioned three reasons can make conclusion that traditional PDA test in domestic site can not access the integrity of bolts spliced equipment in bolts spliced PHC piles.

Accuracy Assessment of the Satellite-based IMERG's Monthly Rainfall Data in the Inland Region of Korea (한반도 육상지역에서의 위성기반 IMERG 월 강수 관측 자료의 정확도 평가)

  • Ryu, Sumin;Hong, Sungwook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39 no.6
    • /
    • pp.533-544
    • /
    • 2018
  • Rainfall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meteorological variables in meteorology, agriculture, hydrology, natural disaster, construction, and architecture. Recently, satellite remote sensing is essential to the accurate detection, estimation, and prediction of rainfall. In this study, the accuracy of Integrated Multi-satellite Retrievals for GPM (IMERG) product, a composite rainfall information based on Global Precipitation Measurement (GPM) satellite was evaluated with ground observation data in the inland of Korea. The Automatic Weather Station (AWS)-based rainfall measurement data were used for validation. The IMERG and AWS rainfall data were collocated and compared during one year from January 1, 2016 to December 31, 2016. The coastal regions and islands were also evaluated irrespective of the well-known uncertainty of satellite-based rainfall data. Consequently, the IMERG data showed a high correlation (0.95) and low error statistics of Bias (15.08 mm/mon) and RMSE (30.32 mm/mon) in comparison to AWS observations. In coastal regions and islands, the IMERG data have a high correlation more than 0.7 as well as inland regions, and the reliability of IMERG data was verified as rainfall da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