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텍스트 데이터

Search Result 1,750,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텍스트 마이닝의 개념과 응용

  • Jo, Tae-Ho
    • Journal of Scientific & Technological Knowledge Infrastructure
    • /
    • s.5
    • /
    • pp.76-85
    • /
    • 2001
  • 정보검색시스템은 물론 텍스트 데이터를 대상으로하는 지식관리 시스템, 문서관리시스템, 그리고 전자도서관등에서 텍스트 마이닝에 대한 기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 글에서는 텍스트 마이닝의 개념을 소개하고, 텍스트 마이닝의 주요기능, 그리고, 응용사례등을 기술할것이다. 텍스트 마이닝은 텍스트 데이터를 대상으로 하여 그들간의 암묵적인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으로 정의할 수 있다. 데이터마이닝과 텍스트 마이닝의 차이는 대상이 텍스트 데이터와 수치 데이터하는 점에서 구분되고 텍스트 마이닝은 데이터 마이닝과 달리 이를 구조화시키는 과정이 필요하다. 텍스트마이닝에 있어서 구조화하는 과정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것은 문서색인이다.

  • PDF

A Text Classification System based on a Supervised Learning Algorithm (교사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한 텍스트 분류 시스템)

  • 김진상;성정호;김성주
    • Proceedings of the Korea Database Society Conference
    • /
    • 1998.09a
    • /
    • pp.421-430
    • /
    • 1998
  • 지식경영을 위한 다양한 대상 업무중에서 텍스트 데이터의 마이닝은 특히 중요하다. 그 이유는 텍스트 데이터가 양적인 면에서 가장 풍부하고, 또 발견할 수 있는 지식을 가장 많이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텍스트 데이터베이스에서 지식발견을 위한 한 과정으로 텍스트 데이터베이스 내의 텍스트들을 분류하는 기법을 기술한다. 특히 문서 분류 방법은 데이터베이스의 일부 데이터를 훈련, 예제로 간주하여 교사 학습 알고리즘을 통해 학습한 후 나머지 데이터를 이용해 분류 정확성을 검증 및 향상시킨다. 시험 데이터로는 인터넷의 뉴스그룹의 기사를 이용하였고, 시험 결과 분류의 정확성은 한글 및 영문 모두 최소 70% 이상으로 나타났다.

  • PDF

A Review on Expressive Materials and Approaches to Text Visualization (텍스트 데이터 시각화의 표현 재료와 접근 방식에 관한 고찰)

  • Kim, Hyoyoung;Park, Jin Wa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3 no.1
    • /
    • pp.64-72
    • /
    • 2013
  • In this study, we contemplated types, essence, characteristics of text data which is material for visual expression of text visualization part of data visualization research and also analysed the multidirectional means of expressive approach for it. Studies of text visualization are spread dramastically under the influence of computer development, open data, wide use of visualization tools, etc. For these reasons, text visualization works have been creating as art works or output of research through various inter-discipline convergent research with engineering, art, humanities, sociology, etc. Nevertheless the theoretical studies on text data itself and its visualization, and also systematic analysis of its approach are rarely made. Data is target of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and it has infinite information and possibility with process and approach for it. Considering the attainable status of data in future human society, text visualization which is convergent academic field of study starting with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of data needs further methodological research and theoretical accumulate.

Graph-to-Text Generation Using Relation Extraction Datasets (관계 추출 데이터를 이용한 그래프-투-텍스트 생성)

  • Yang, Kisu;Jang, Yoonna;Lee, Chanhee;Seo, Jaehyung;Jang, Hwanseok;Lim, Heuiseok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1.10a
    • /
    • pp.597-601
    • /
    • 2021
  • 주어진 정보를 자연어로 변환하는 작업은 대화 시스템의 핵심 모듈임에도 불구하고 학습 데이터의 제작 비용이 높아 공개된 데이터가 언어에 따라 부족하거나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텍스트-투-그래프(text-to-graph) 작업인 관계 추출에 쓰이는 데이터의 입출력을 반대로 지정하여 그래프-투-텍스트(graph-to-text) 생성 작업에 이용하는 역 관계 추출(reverse relation extraction, RevRE) 기법을 소개한다. 이 기법은 학습 데이터의 양을 늘려 영어 그래프-투-텍스트 작업의 성능을 높이고 지식 묘사 데이터가 부재한 한국어에선 데이터를 재생성한다.

  • PDF

SNS Analysis Related to Presidential Election Using Text Mining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대선 관련 SNS 분석)

  • Kwon, Young-Woo;Jung, Deok-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7.05a
    • /
    • pp.361-363
    • /
    • 2017
  • 최근 소셜 미디어의 이용률이 폭발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방대한 데이터가 네트워크로 쏟아져 나오고 있다. 이들 데이터는 기존의 정형 데이터뿐만 아니라 이미지, 동영상 등의 비정형 데이터가 있으며, 이들을 포괄하여 빅데이터라고 불린다. 이러한 빅데이터는 오피니언 마이닝, 테스트 마이닝 등의 기술적인 분석 기법과 빅데이터 요약 및 효과적인 표현방법에 대한 시각화 기법에 대하여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 논문은 인기 있는 사회연결망 서비스인 Twitter의 트윗을 수집하고, 빅데이터 분석 기법인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하여 2017년 대선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분석된 자료의 효과적인 전달을 위해 워드 클라우드 진행하였다. 이 논문을 위하여 인기 있는 SNS인 Twitter의 최근 7일간 트윗(tweet)을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 PDF

Multi-Dimensional Keyword Search and Analysis of Hotel Review Data Using Multi-Dimensional Text Cubes (다차원 텍스트 큐브를 이용한 호텔 리뷰 데이터의 다차원 키워드 검색 및 분석)

  • Kim, Namsoo;Lee, Suan;Jo, Sunhwa;Kim, Jinho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Architecture
    • /
    • v.11 no.1
    • /
    • pp.63-73
    • /
    • 2014
  • As the advance of WWW, unstructured data including texts are taking users' interests more and more. These unstructured data created by WWW users represent users' subjective opinions thus we can get very useful information such as users' personal tastes or perspectives from them if we analyze appropriately. In this paper, we provide various analysis efficiently for unstructured text documents by taking advantage of OLAP (On-Line Analytical Processing) multidimensional cube technology. OLAP cubes have been widely used for the multidimensional analysis for structured data such as simple alphabetic and numberic data but they didn't have used for unstructured data consisting of long texts. In order to provide multidimensional analysis for unstructured text data, however, Text Cube model has been proposed precently. It incorporates term frequency and inverted index as measurements to search and analyze text databases which play key roles in information retrieval. The primary goal of this paper is to apply this text cube model to a real data set from in an Internet site sharing hotel information and to provide multidimensional analysis for users' reviews on hotels written in texts. To achieve this goal, we first build text cubes for the hotel review data. By using the text cubes, we design and implement the system which provides multidimensional keyword search features to search and to analyze review texts on various dimensions. This system will be able to help users to get valuable guest-subjective summary information easily. Furthermore, this paper evaluats the proposed systems through various experiments and it reveals the effectiveness of the system.

Development of ChatGPT-based Medical Text Augmentation Tool for Synthetic Text Generation (합성 텍스트 생성을 위한 ChatGPT 기반 의료 텍스트 증강 도구 개발)

  • Jin-Woo Kong;Gi-Youn Kim;Yu-Seop Kim;Byoung-Doo Oh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7a
    • /
    • pp.3-4
    • /
    • 2023
  • 자연어처리는 수많은 정보가 수집된 전자의무기록의 비정형 데이터에서 유의미한 정보나 패턴 등을 추출해 의료진의 의사결정을 지원하고, 환자에게 더 나은 진단이나 치료 등을 지원할 수 있어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전자의무기록은 개인정보와 같은 민감한 정보가 다수 포함되어 있어 접근하기 어렵고, 이로 인해 충분한 양의 데이터를 확보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신뢰할 수 있는 의료 합성 텍스트를 생성하기 위해 ChatGPT 기반 의료 텍스트 증강 도구를 개발하였다. 이는 사용자가 입력한 실제 의료 텍스트로 의료 합성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를 위해, 적합한 프롬프트와 의료 텍스트에 대한 전처리 방법을 탐색하였다. ChatGPT 기반 의료 텍스트 증강 도구는 입력 텍스트의 핵심 키워드를 잘 유지하였고, 사실에 기반한 의료 합성 텍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Construction Bid Data Analysis for Overseas Projects Based on Text Mining - Focusing on Overseas Construction Project's Bidder Inquiry (텍스트 마이닝을 통한 해외건설공사 입찰정보 분석 - 해외건설공사의 입찰자 질의(Bidder Inquiry) 정보를 대상으로 -)

  • Lee, JeeHee;Yi, June-Seong;Son, JeongWook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7 no.5
    • /
    • pp.89-96
    • /
    • 2016
  • Most data generated in construction projects is unstructured text data. Unstructured data analysis is very needed in order for effective analysis on large amounts of text-based documents, such as contracts, specifications, and RFI. This study analysed previously performed project's bid related documents (bidder inquiry) in overseas construction projects; as a results of the analysis frequent words in documents, association rules among the words, and various document topics were derived. This study suggests effective text analysis approach for massive documents with short time using text mining technique, and this approach is expected to extend the unstructured text data analysis in construction industry.

Text Style Transfer of Non-parallel Data using Transformer and Discriminator (트랜스포머와 판별기를 이용한 비병렬 데이터의 텍스트 스타일 변환)

  • Park, Da-Sol;Cha, Jeong-Wo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0.10a
    • /
    • pp.64-68
    • /
    • 2020
  • 텍스트 스타일 변환은 문장 내 컨텐츠는 유지하면서 문장의 스타일을 변경하는 것이다. 스타일의 정의가 모호하기 때문에 텍스트 스타일 변환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지도 학습으로 진행되어왔다. 본 논문에서는 병렬 데이터 구축이 되지 않은 데이터를 학습하기 위해 비병렬 데이터를 이용하여 스타일 변환을 시도한다. 트랜스포머 기반의 문장 생성기를 이용하여 문장을 생성하고, 해당 스타일을 분류하는 판별기로 이루어진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 모델을 통해, 감정 변환의 성능은 정확도(Accuracy) 56.9%, self-BLEU 0.393(긍정→부정), 0.366(부정→긍정), 유창성(fluency) 798.23(긍정→부정), 1381.05(부정→긍정)을 보였다. 본 연구는 비병렬 데이터에 대해 스타일 변환을 적용함으로써, 병렬 데이터가 없는 다양한 도메인에도 적용가능 할 것이다.

  • PDF

Image Generation from Korean Dialogue Text via Prompt-based Few-shot Learning (프롬프트 기반 퓨샷 러닝을 통한 한국어 대화형 텍스트 기반 이미지 생성)

  • Eunchan Lee;Sangtae Ah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2.10a
    • /
    • pp.447-451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가 대화 텍스트 방식의 입력을 주었을 때 이를 키워드 중심으로 변환하여 이미지를 생성해내는 방식을 제안한다. 대화 텍스트란 채팅 등에서 주로 사용하는 형식의 구어체를 말하며 이러한 텍스트 형식은 텍스트 기반 이미지 생성 모델이 적절한 아웃풋 이미지를 생성하기 어렵게 만든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대화 텍스트를 키워드 중심 텍스트로 바꾸어 텍스트 기반 이미지 생성 모델의 입력으로 변환하는 과정이 이미지 생성의 질을 높이는 좋은 방안이 될 수 있는데 이러한 태스크에 적합한 학습 데이터는 충분하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다루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사전학습된 초대형 언어모델인 KoGPT 모델을 활용하며, 퓨샷 러닝을 통해 적은 양의 직접 제작한 데이터만을 학습시켜 대화 텍스트 기반의 이미지 생성을 구현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