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테스트 도구

Search Result 393, Processing Time 0.02 seconds

Effects Of Environmental Factors And Individual Traits On Work Stress And Ethical Decision Making (간호사의 환경적 요소와 개인적 특성이 직무스트레스와 윤리적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 Kim, Sang Mi L.;Shake ketefian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
    • v.23 no.3
    • /
    • pp.417-430
    • /
    • 1993
  • 이 연구는 환경적 요소(간호사의 자율성, 조직의 표준화)와 개인의 특성(통제위, 나이, 경험. 간호역할개념, 도덕성), 직무 스트레스, 윤리적 의사결정 사이의 관계를 이론적 틀을 구성하여 테스트함으로써 그 인과관계를 탐구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개발된 모형은 1) Katz와 Kahn의 조직에 대한 개방체계 이론(open systems theory of organization) ; 2) Kahn. Wolfe, Quinn, Snoek의 스트레스 이론 (theory of stress) : 3) Kohlberg의 도덕발달 이론(theory of moral develop-ment): 그리고 4) 여러 문헌고찰을 기초로 하였다. 본 연구의 모형은 2가지의 주요 종속변수(직무 스트레스, 윤리적 간호행위), 2가지 매개변수(간호 역할개념, 도덕성 발달정도) 그리고 여러 독립변수들(조직의 표준화, 자율성, 통제위, 교육, 나이, 경험 등)로 구성되었다. 간단히 말해, 간호사의 스트레스와 윤리적 간호행위 를 개인 자신과 환경이라는 두 요소의 결과로 간주한 것이다. 미국(2개주)의 여러 건강관리기관에 근무하는 224명의 정규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였고. 가설 검증을 위하여 1) 변수간의 인과관계를 조사하기 위한 Linear Structural Relationships(LISREL)기법과 2) 나이, 경험, 교육이 변수간의 관계에 미치는 중간역할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이용하였다. LISREL결과를 보면 제시된 모델이 각 내재 변수에 상당한 설명력을 가지면서 자료에 잘 맞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 가장 뚜렷한 점으로 나타난 것은 개인의 특성보다 환경적 요소로서의 자율성이 직무스트레스와 윤리적 의사결정을 예견하는데 훨씬 중요한 변수로 부각되었다는 점이다. 또한 간호사의 전문적 역할개념과 봉사적 역할개념이 간호사의 윤리적 의사결정을 예견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로 나타났다. 중간영향(moderation effect)을 보면, 젊고 경험이 적은 간호사일수록 나이가 많고 경험있는 간호사보다 환경적 요소(자율성)에 더 큰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또한 4년제 대학 이상을 졸업한 간호사의 윤리 적 간호행 위 는 2, 3년제 를 졸업 한 간호사 보다 환경적 요소에 의해 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자율성의 부족은 2, 3년제 졸업 간호사보다 4년제 졸업 간호사에게 더 심한 스트레스가 되고 있음을 시사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로부터 적어도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실제적인 제언을 도출할 수 있다. 첫째, 이 연구는 환경적요소로서의 자율성이 다른 어떤 개인적인 요소보다 직무 스트레스를 예견하는 데 중요한 요소라는 것을 제시하였다. 이것은 간호행정가들에게,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해선 “자율성”이 아주 중요히 다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만일 간호사들의 직무스트레스가 그 개인의 복지에 큰 해가 되고 환자를 간호하는 데 직접적으로 관계된다면, 간호행정가는 그 조직의 직무체계를 다시 평가해서 일에 대한 새로운 설계가 필요한지를 파악해야 한다. 또한 이 연구는 직무를 다시 설계할 경우, 누구에게 먼저 촛점을 두고 시작해야 하는지를 밝혀주고 있다. 즉, 젊고 경험이 미숙한 간호사들에게 촛점을 두고 시작해야 하며, 작업환경의 가장 중요한 차원중의 하나인 사회적 지원(social support)을 조심스럽게 고려해 보아야 한다. 둘째, 간호사의 윤리적 간호행위를 높히기 위해 전문적 역할개념과 봉사적 역할개념이 재강조될 필요가 있다. 이 두 역할개념 들을 교육을 통하여 효과적으로 가르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이 두 개념들이 간호사의 바람직한 간호행 위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소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또한,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경험이 많을수록 일에 싫증을 느껴 바람직한 윤리적 간호행위가 감소되는 경향이 있었다. 따라서, 건강관리체제 (health care system) 안에서의 간호사의 역할이-전문직으로서의, 그리고 환자를 위한 옹호자로서의-학교와 임상에서 효과적으로 교육되어져야 한다고 본다. 간호사들의 역할에 대한 계속적인 교육이 학생은 물론 임상 간호사들에게도 실시되어져야 할 것이다. 미래연구의 방향을 제시해 보면 첫째로 연구의 일반화를 높히기 위해 더 많은 대상자를 포함시켜야 한다. 이는 여러 종류의 표본을 반드시 한번에 전부 포함시켜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특정한 여러 표본들을 연속적으로 연구함으로서 이 목표를 성취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둘째는 여러 construct들(윤리적 간호행위, 직무 스트레스, 간호 역할개념 등)에 대한 적절한 측정도구를 개발해야 한다. 측정도구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풍부하고 세세한 통찰력을 제공하는 질적인 정보를 얻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셋째, 윤리적 간호행위와 직무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를 증진시키기 위해 실험설계 및 종단적 연구(expel-imental, longitudinal design)가 시도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윤리적 간호행위와 직무 스트레스를 예견할 수 있는 이론적 탐구(theoretical exploration), 즉 이론정립을 위하여, 환경적 요소와 개인의 특성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는 질적 연구들이 요구된다.

  • PDF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of Bakery Cafe Choice Attributes Perceived by Customers in Seoul (베이커리카페 선택속성의 중요도 및 수행도 분석: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 Choi, Mi-Kyung;Jung, Jae-Cha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35 no.4
    • /
    • pp.456-463
    • /
    • 2006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tract choice attributes of bakery cafe customers and to conduct important- performance analysis (IPA) of choice attributes perceived by bakery cafe customers.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focus group interview, and modified after pilot test. The questionnaires for main survey were distributed to 320 males and females aged 20 and over in Seoul. A total of 275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85.9%) and the statistical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SPSS Win (12.0) for descriptive analyse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es.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Products', 'convenience to use', 'services and price', 'interior environments' 'brand' and 'location' dimensions were extracted as choice attributes dimensions of bakery cafe customers and customers of bakery cafe regarded 'sanitation and cleanness', 'kindness of employees', 'quality of products', 'comfortable and pleasant facilities' and 'taste of bakery products' as more important than other attributes. In addition, the results of IPA showed that marketing managers of bakery cafes should focused on the dimension of 'services and price' in the reason that this dimension was low at performance although customers regarded it very important. Overall, researchers and managers of bakery cafes should understand unique choice attributes of bakery cafe customers, and make efforts to establish marketing strategies that meet bakery cafe customers' needs.

A Study on How Reading Comic Books Affects Creativity (만화 읽기가 창의력 향상에 미치는 연구)

  • Jang, Jin-Young;Park, Hye-Ri
    •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 /
    • s.36
    • /
    • pp.437-467
    • /
    • 2014
  • This study is intended to reveal reading comic books helps improve creativity. Though the long-lasting negative recognition towards comic books has positively changed these days, we need a ground upon which the social recognition needs improvement in that children's comic books have been used as a learning tool. Its introduction points out that there has been shortage of empirical researches on comic book reading, and as one of the empirical research methods, presents a method of comparative analysis on comic book reading, school study, and creativity tests via survey. The theoretical background in the 2nd chapter, first, puts emphasis on the significance of the creativity theory among all the other theories related to creativity, which focuses on problem-solving capacity. Second, it theoretically reviews the meaning which 'fun' and 'interest' have in development of creativity in the context of developmental process of the modern educational theories. Third, it empathizes that traits of reading comic books start off with 'fun' and 'interest', that awareness of reality gets expanded via the process of characters making their way through a strange world with empathy and absorption, and that comic book reading has to do with creativity. Fourth, it presents a model questionnaire with which to study relationship between comic books and creativity in an empirical way. The analysis on the survey outcome in the 3rd chapter shows, first, that smart students read many comic books, not to mention that studying helps improve creativity, which indicates above all, comic book reading and improvement of creativity are not negatively related, but are mutually complementary. Second, that creativity enhanced by reading comic books is higher than that enhanced by studying, which may mean comic book reading is more effective than studying in developing creativity. It has drawn a conclusion based upon these results, that reading comic books bears positive efficacy on both studying and developing creativity. Standing on this conclusion, it proposes it necessary to develop methods by grades of educating how to read comic books and to provide a recommended list of comic books to re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