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태연

검색결과 688건 처리시간 0.025초

이용자 로그데이터 기반 대학도서관 일반열람실 활용도 및 선호요인 분석 - J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Utilization Status and Preference Factors of Reading Room in University Library based on User Log Data: Focusing on the Case of "J" University)

  • 손은정;박태연;오효정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375-398
    • /
    • 2020
  • 도서관 공간 중 일반열람실의 당초 목적은 이용자가 도서관 장서를 자유롭게 열람·이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데 있었으나 현실적으로는 개인 학습 공간으로의 활용이 많아짐에 따라 이에 대한 재고 논의가 일고 있다. 특히 대학의 경우 도서관을 구성하는 다양한 공간 중 주로 학생들의 학습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존재하는 일반열람실의 비중이 큰 편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도서관 내 일반열람실의 활용 현황을 분석하고, 열람실별 공간적 특성에 따른 선호요인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립 J대학교를 선정, 지난 1년간 다양한 규모의 일반열람실을 실제 이용한 로그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총 40,753명의 이용자로부터 수집된 218,939건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기간별, 공간별 이용 패턴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일반열람실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도출하였으며 나아가 공간 활용도 제고를 위한 고려사항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대학도서관 일반열람실의 공간 배치 및 공간 활용도 향상을 위해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시뮬레이션 기반 5G 통신 환경에서 성능향상을 위한 스몰셀 기술 적용 분석 (Analysis of Small Cell Technology Application for Performance Improvement in Simulation-based 5G Communication Environment)

  • 김윤환;김태연;이대영;배상현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9권2호
    • /
    • pp.16-21
    • /
    • 2020
  • 최근 스마트 폰의 보급과 컨텐츠 이용에 있어서 주요 트래픽이 IoT 데이터 및 실시간 미디어 데이터로 옮겨감에 따라 모바일 트래픽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 중이다. 기존 LTE 시스템에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5세대 이동통신기술(5G)은 4G LTE 시스템 대비 1000배의 데이터 트래픽 수용률, 연결 디바이스의 수용, 저지연, 고 에너지 효율, 비용을 충족하는 기술이나 높은 주파수 영역의 사용에 따른 경로손실이 매우 높아 기존 4G LTE 시스템에 비하여 서비스 제공이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스몰셀이나 단말간통신(D2D)등 여러 가지 기술들이 연구중에 있다. 본 논문에서는 5세대 이동통신시스템의 시스템 성능향상을 위한 기술로 스몰셀 기술을 소개한다. 이후 스몰셀 기술 적용 분석과 매크로 통신과 스몰셀 통신에 대한 결정, 전력제어에 대한 제안하는 알고리즘 적용의 결과의 비교로 성능을 분석한다. 분석결과를 통하여 5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스몰셀 기술을 이용하면 음영지역 개선 및 밀리미터파의 경로손실 문제를 크게 감소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보인다.

FISH 기법을 이용한 방사선에 의한 소핵과 이수성 분석 (Analysis of radiation-induced micronuclei and aneuploidy involving chromosome 1 and 4 by FISH technique)

  • 정해원;김태연;조윤희;김수영;강창모;하성환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9권4호
    • /
    • pp.243-249
    • /
    • 2004
  • 본 연구는 소핵분석과 염색체 1번 및 4번의 DNA probe를 이용한 FISH 기법을 병행하여 방사선에 의한 소핵과 이수성에 관여하는 각 염색체의 감수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사선 선량에 따라 소핵의 빈도는 증가하였으며 염색체 1번과 4번의 이수성도 대조군, 1 Gy 및 2 Gy 에서 각각 2000개의 BN세포 당 9개, 47개 및 71개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염색체 1번의 이수성 빈도는 4번에 비해 높게 관찰되었다. 염색체 1번 및 4번을 포함하는 소핵도 방사선의 선량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소핵내 염색체 1번의 포함빈도가 4번보다 높게 관찰되었다. 또한 방사선에 의한 소핵 중 낮은 빈도의 염색체 signal를 포함하는 소핵이 관찰됨으로써 방사선에 의한 소핵은 대부분 절단에 의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방사선은 이수성을 유도하며 이에 염색체가 다르게 관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하악 정중선의 편위와 하악골의 높이차가 저작근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andibular Midline Shift and Difference of Mandibular Height on the Masticatory Muscle Activity)

  • 정대연;한경수;현태연;곽동곤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6권1호
    • /
    • pp.75-85
    • /
    • 2001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andibular midline shift and difference of mandibular height between both sides on the electromyo- graphic(EMG) activity of the masticatory muscles on clenching or gum chewing movement. For this study, 105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TMD) were selected and panoramic radiograph were taken. Amount and side of the midline shift and height of the mandible from antegonial notch to the top of the condylar head were measured on panoramic view. $BioEMG^{(R)}$ (Bioresearch Inc., Milwaukee, USA) was used for recording of EMG activity(${\mu}V$) of the anterior temporalis and the superficial masseter on clenching or gum chewing movement. EMG activity on clenching during 533msec period were measured for activity of the starting point and the one second-after activity as the early EMG and the maximum EMG, respectively. EMG activity on gum chewing movement were measured for activity of the first and the second chewing stroke.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sed by SPSS windows program,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Height of the mandible was 8.06cm on right side and 8.03cm on left side, and showed no difference by age, but significantly differed by sex with higher in male subjects. 2. Mean value of the midline shift was 0.1mm with range of 0~5mm on both sides. The amount and side of the midline shift did not related with height difference of the mandible and/or the EMG activity of the masticatory muscles on clenching. 3. Prevalence of higher right side and higher left side of the mandible were almost same, and the EMG activity of higher side was not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side. 4. In the subjects with height difference of more than 5mm between both sides of the mandible, the early EMG activity on clenching were differed for the anterior temporalis, but the maximum activity were differed for the superficial masseter. 5. In the subjects with height difference of more than 5mm between both sides of the mandible, EMG activity of the anterior temporalis of the gum chewing side was not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side when chewing on the side of lower height, but in the subjects with height difference of less than 5mm, the EMG activity was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side.

  • PDF

부식제에 인한 인두-식도 협착의 수술적 치료

  • 김재원;김영모;김태연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2003년도 제3차 추계학술대회
    • /
    • pp.111-111
    • /
    • 2003
  • 부식제 섭취로 인한 가장 흔한 합병증은 인두-식도 협착이며, 이로 인한 구강섭취 장애는 심각한 문제를 초래한다 이의 치료에 있어 기존의 수술적 치료가 소개되었으나 만족스럽지 못한 결과를 가져왔다. 부식제 섭취로 인한 인두-식도 협착에 있어 본원에서 시행한 수술적 치료 결과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향후 인두-식도 협착 치료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2001년 12월부터 2003년 8월까지 본원 이비인후과와 일반외과에서 부식제 섭취로 인한 인후두 및 식도의 완전협착으로 진단 받고 치료를 시행 받은 4예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통하여 술전 이학적 소견, 수술적 치료방법, 술후 합병증, 구강 섭취 시기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술전 내시경 검사로 인두-식도 접합부에 협착소견을 확인하였으며, 이중 경구 식이가 전혀 가능하지 못하였던 3명의 환자는 전후두인두식도 절제술 및 대장대체술 시행 하였으며, Levine- tube로 관급식이가 가능하였던 1명의 환자는 내시경적 확장술만 시행 받았다. 전 후두인두식도 절제술 및 대장대체술을 시행받은 3명의 환자 모두에서 문합부 유루, 출혈은 없었으나, 그 중 1명에서 술후 재협착으로 내시경적 확장술을 시행 받았고 이 환자를 제외한 2명의 환자에서 술후 10일과 13일에 경구섭취가 가능하였고 재협착이 있었던 환자는 술후 43일에 경구섭취가 가능하였다. 대장대체술을 시행 받았던 환자에서는 연식 이상의 식사가 가능하였으나, 내시경적 확장술을 시행 받은 환자는 관급식이만 가능하였다. 부식제 섭취에 인한 인후두 및 식도 협착에 있어 대장을 이용한 대장 대체술식을 이용하여 인두-식도 협착 치료에 좋은 결과를 얻었으며, 대장대체술은 합병증 및 구강 섭취에 있어 좋은 결과를 가져다 주는 술식으로 판단되었다.결과를 이용하여 향후 전개될 홈 네트워크 서비스 및 관련시장의 발전 방향을 전망해 보고 이에 따른 기업이나 정부차원의 대응전략을 파악하고자 한다.육구에서는 큰 변화를 나타내고 있지 않았다(p<0.05). 운동과 비운동시킨 참돔의 지질 함량의 변화는 운동시킨 참돔은 운동으로 인한 에너지 소비로 인하여 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했으며(r=-0.35), 비운동사육구에서는 절식으로 인하여 지질함량이 감소하였다(r=-0.38). 파괴강도와 가장 밀접한 영향을 가지는 콜라겐은 운동과 비운동 모두 사육기간동안 큰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초기의 파괴강도값은 1.45±0.02kg(운동사육구), 1.36±0.18kg(비운동사육구)이였으며 사육기간동안 운동사육구는 파괴강도값이 증가한 반면, 비운동수조에서는 참돔의 파괴강도는 사육기간동안 큰 유의차가 없었다. 각 성분간의 상관도를 살펴보면, 수분함량과 파괴강도는 상관성을 가졌으며, 지질함량과 파괴강도도 같은 경향은 나타내었다. 운동기간동안의 파괴강도와 콜라겐 사이에는 상관성의 거의 없었다. 이는 운동기간에 따른 파괴강도의 증가가 콜라겐의 함량의 증가보다는 지질함량의 감소와 수분함량의 증가와 같은 성분과의 상관성이 크다고 판단된다. 다음으로는, 운동횟수에 의한 영향으로써 운동시간을 1일 6시간으로 설정하여, 운동횟수를 결정하기 위하여 오전, 오후에 각 3시간씩 운동시키는 방법과 오전부터 6시간동안 운동시키는 두 방법을 이용하여 품질을 비교하였다. 각 조건에 따라 운동시킨 참돔의 수분함량을 나타낸 것으로, 2회(오전 3시간, 오후 3시간)에 나누어서 운동시키기 위한 육의 수분함량은 73.37±2.02%를 나타냈으며, 1회(6시간 운동)운동시키기 위한 육은 71.74±1.66%을 나타내었다. 각각의 운동조건에서 양식된 참돔은

  • PDF

횡적등방성 특성을 갖는 단양 석회암의 수평응력차비 고찰 (Differential Horizontal Stress Ratio for Danyang Limestone with Vertical Transversely Isotropy)

  • 장성형;황세호;신제현;김태연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20권4호
    • /
    • pp.207-215
    • /
    • 2017
  • 비전통 에너지 자원의 하나인 셰일가스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수평시추와 수압파쇄가 필요하고 이 작업들은 수평응력차비가 낮은 곳에서 실시한다. 수평응력차비는 일반적으로 최대 수평응력과 최소 수평응력을 측정하여 구하지만 동탄성계수와 이방성변수를 활용하여 구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단양 석회암 암석코어 시료실험을 통해 이방성 특성을 살펴보고 수평응력차비를 구하였다. 단양 석회암체에서 퇴적 층리면에 수직, 45도, 수평방향으로 된 암석코어 시료를 성형하고 P파 속도, S파 속도, 밀도를 측정한 후 동탄성계수, 컴플라이언스계수를 구하여 수평응력차비를 계산하였다. 시료분석결과 수평응력차비는 약 0.185로 제시하였다. 단양 석회암은 층리 대칭축에 따라서 P파, S파의 속도가 변화하여 Thomsen 매개변수 값도 이와 같은 특징을 잘 반영하고 있으며 수평응력차비는 포아송 비보다 컴플라이언스 값에 영향을 많이 받고 있다. 향후 SH파 속도를 측정할 경우 좀 더 정확한 암석물리 물성을 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경흉교감신경절부의 전기자극의 체표면 체열변화에 미치는 영향 (Influencing of Electrical Stimulation to Cervicothoracic Sympathetic Ganglion on the Temperature Change of Body Surface)

  • 황태연;박래준;김태일;김용남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12권2호
    • /
    • pp.121-132
    • /
    • 200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influencing of electrical stimulation to cervicothoracic sympathetic ganglion(CTSG; stellate ganglion) u the sympathetic ton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stimulation was given to both the interferential current stimulation(ICS: AMF 100Hz) group consisting of 10 person(males 8, females 2) and the transcutaneous nerve electrical stimulation(TENS: 100 Hz) group of 10(males 7, females 3) in the right side of the trachea with probe electrodes. Then. the temperature changes on the surfaces of the forehead. cheek, neck and internal ear of cephalocervix, which is subject to the influence of the cervicothoracic sympathetic ganglion, and the palm. which is the end of the upper limbs. measured before. immediately alter. 10 minutes after and 20 minutes after experiment.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emergence of remarkable Horner's symptoms which appear due to the changes of the tone of cervicothoracic sympathetic ganglion was not seen. However, in the interferential current stimulation group there were two felt the sense of warmth in the facial region and one person who felt it in the upper limbs, and in the transcutaneous nerve electrical stimulation group there was each one person who felt the sense of warmth in the facial region and in the upper limbs, respectively. Both groups have each one person who felt the sense of oppression in the eyelids. Three persons of the interferential current stimulation group and two persons of the transcutaneous nerve electrical stimulation group have the sense of hoarse voice or numbness in the neck. These are the symptoms that appeared during stimulation, so it is difficult for them to be considered as the direct effects of the changes of the tone of cervicothoracic sympathetic ganglion. 2. The t-test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significance between the right, which is the experimental side, and the left, which is the non-experimental side. Significance between the right, which is the experimental side, and the left, which is the non-experimental side. Significant changes were seen in the necks of the interferential current stimulation group and in the cheeks and internal ears of the transcutaneous nerve electrical stimulation immediately after experiment(P<.05). And the interferential current stimulation group showed a very high significance in the cheeks immediately after experiment and in the necks ten minutes after experiment(p<.01). Therefore, it could be seen that the electrical stimulation had an influencing on the changes of body temperature of the cephalocervix. 3. In both the interferential current stimulation group and the transcutaneous nerve electrical stimulation group, the forecheads, checks and necks of the cephalocervix in the experimental side(right) rather than the non-experimental side(left) had mostly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ise in temperature immediately after experiment. The one-way ANOVA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temperature change of on the surface of the body with the lapse of time; before, immediately after, ten minutes after and tewenty minutes after experiment. But no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found from both the right and left sides.

  • PDF

제2형 당뇨병 환자 식생활습관 및 보건소 영양교육 후 혈당개선효과 (Older Adults with Type 2 Diabetes Improve Glycemic Control after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at the Public Health Center)

  • 김태연;엄순희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10권2호
    • /
    • pp.205-217
    • /
    • 200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diabetic patients at the Guri City's Public Health Center.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1 persons(male 7, female 24) who attended all courses of "2002 Diabetes Education Class". They were indicated as the 'education group'(EG). Eating and living habits of EG were investigated before the education. EG's weight and blood glucose (post prandial 2 hours, PP2) were examined as well. EG's PP2 reduction was compared with a 'control group'(CG) who didn't join any course in that class. All of the subjects were non-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NIDDM) patients. EG's average age was 62.4$\pm$8.8. Before taking the course, EG's PP2 was 251.5$\pm$29.6mg/dl, and body mass index(BMI) was 26.3$\pm$2.3 on average. Most of them were stressed out from their daily lives and usually had no exercise. Most people of EG ate meals rapidly and liked sweet and fatty foods. After the course of training, EG's weight and BMI before the training were not decreased significantly. However, all of the EG's PP2s, which were measured 4 times(before the meal at the special lunch session, after 2 hours at this meal, after 2 weeks and 4 weeks dietary assembly), were decreased in comparison with the PP2 which was checked prior to joining the training. EG's average PP2 was more reduced than CG's one. In addition, all groups' PP2s were decreased for 8 weeks. After all, this nutritional education at the public health center was effective in glycemic control for diabetes mellitus patients. Especially, when the dietary assembly as practical training was included in the educational process, the patient's dietary intake and PP2 was improved more effectively.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nutrition work at public health centers is necessary for the Health Promotion Policy.

  • PDF

IgE 매개 RBL-2H3 세포 활성화에 대한 정향 에탄올 추출물의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s of Syzygium aromaticum Ethanol Extracts on IgE Mediated RBL-2H3 cell Activation)

  • 정준희;김용민;박종필;김태연;김이화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31권1호
    • /
    • pp.14-19
    • /
    • 2014
  •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정향 에탄올 추출물이 RBL-2H3 세포 매개 알레르기 반응에 대해 미치는 영향과 그 작용기전에 대해 연구했다. 방법 : 정향 에탄올 추출물의 RBL-2H3 세포에 대한 독성 여부는 MTT 분석을 통해 평가했다. 정향 에탄올 추출물의 항알러지 작용은 효소결합면역 분석방법(ELISA)을 이용해 ${\beta}$-Hexosaminidase과 Histamine의 분비량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정향 에탄올 추출물의 작용기전에 대해서는 유사 분열물질-활성화단백질인산화효소(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를 western blot 법을 이용하여 측정함으로써 평가하였다. 결과 : 정향의 에탄올 추출물은 RBL-2H3 세포에 대해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농도에서 RBL-2H3 세포의 탈과립과 히스타민 분비를 유의하게 억제하였으며, p38 MAPK의 활성을 차단하였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 정향의 에탄올 추출물은 비만세포에서 유래된 알러지 반응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그 작용기전은 p38 MAPK 인산화와 연계되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익모초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와 자외선으로 유도된 각질형성세포 손상에 대한 보호효과 (Antioxidant and Protective Effects of Leonurus sibiricus L. Extract on Ultraviolet B (UVB)-induced Damage in Human Keratinocytes)

  • 김태연;장선아;채용병;박종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1-19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익모초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자외선으로 유도된 각질형성세포 손상에 대한 보호효과를 확인하고자 익모초 열수 추출물의 생체 내 산화적 스트레스와 관련되어 있는 DPPH radical, hydroxyl radical, hydrogen peroxide, superoxide radical, lipid peroxidation에 대한 익모초 열수추출물의 소거효과 및 환원력 평가 시험을 진행하였으며, 사람 각질형성세포주인 HaCaT 세포주에서 UVB로 유도된 apoptosis에 대한 익모초의 억제 정도를 확인하였다. 그결과, 익모초 열수추출물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항산화 효과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UVB로 유도된 apoptosis에 발현 또한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현재 국내외적으로 천연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 이를 바탕으로 하는 피부 보호 효과에 대한 연구는 항노화 측면에서 그 효용가치가 높다고 여겨진다. 따라서 본 실험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식물종에 대해 단일 물질에 대한 분리 작업과 함께 항노화 실험 뿐만 아니라 항염증이나 항암 등의 실험이 더깊이 있게 진행된다면 새로운 천연물 유래 생리 활성 물질로서 효과적이면서도 안전한 화장품 소재로의 활용 또한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