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태양 흑점활동

Search Result 26,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Development of an Automatic Program to Analyze Sunspot Groups for Solar Flare Forecasting (태양 플레어 폭발 예보를 위한 흑점군 자동분석 프로그램 개발)

  • Park, Jongyeob;Moon, Yong-Jae;Choi, SeongHwan;Park, Young-Deuk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8 no.2
    • /
    • pp.98-98
    • /
    • 2013
  • 태양의 활동영역에서 관측할 수 있는 흑점은 주로 흑점군으로 관측되며, 태양폭발현상의 발생을 예보하기 위한 중요한 관측 대상 중 하나이다. 현재 태양 폭발을 예보하는 모델들은 McIntosh 흑점군 분류법을 사용하며 통계적 모델과 기계학습 모델로 나누어진다. 컴퓨터는 흑점군의 형태학적 특성을 연속적인 값으로 계산하지만 흑점군의 형태적 다양성으로 인해 McIntosh 분류법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컴퓨터가 계산한 흑점군의 형태학적인 특성을 예보에 직접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우리는 흑점군을 검출하기 위해 최소신장트리(Minimum spanning tree : MST)를 이용한 계층적 군집화 기법을 수행하였다. 그래프(Graph)이론에서 최소신장트리는 정점(Vertex)과 간선(Edge)으로 구성된 간선의 가중치의 합이 최소인 트리이다. 우리는 모든 흑점을 정점, 그들의 연결을 간선으로 적용하여 최소신장트리를 작성하였다. 또한 최소신장트리를 활용한 계층적 군집화기법은 초기값에 따른 군집화 결과의 차이가 없기 때문에 흑점군 검출에 있어서 가장 적합한 알고리즘이다. 이를 통해 흑점군의 기본적인 형태학적인 특성(개수, 면적, 면적비 등)을 계산하고 최소신장트리를 통해 가장 면적이 큰 흑점을 중심으로 트리의 깊이(Depth)와 차수(Degree)를 계산하였다. 이 방법을 2003년 SOHO/MDI의 태양 가시광 영상에 적용하여 구한 흑점군의 내부 흑점수와 면적은 NOAA에서 산출한 값들과 각각 90%, 99%의 좋은 상관관계를 가졌다. 우리는 이 연구를 통해 흑점군의 형태학적인 특성과 더불어 예보에 직접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논의하고자 한다.

  • PDF

Sun-Earth Connection in Korean Historic Observations

  • Kim, Rok-Soon;Yang, Hong-Jin;Cho, Kyung-Suk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6 no.1
    • /
    • pp.43.3-43.3
    • /
    • 2021
  • 10세기부터 18세기까지 한국 역사서에 기록된 38개 흑점과 이와 연관된 것으로 보이는 25개의 적색 오로라를 조사하여 고대 흑점의 지구 영향성을 분석하였다. 고대 관측 시기를 1300년을 기준으로 이전의 온난기와 이후의 냉한기로 나누어 보면, 흑점의 관측 빈도는 두 기간에서 비슷하지만, 오로라는 냉한기에 집중적으로 관측된다. 특이하게도, 크기가 큰 흑점의 경우는 냉한기보다 온난기에서 관측 빈도가 세 배 이상 높다. 또한, 흑점과 관련된 오로라의 강도를 분석해보면 크기가 큰 흑점은 작은 흑점보다 2~3배 이상 지구영향성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우리는 1185년에 관측된 흑점이 수개월에 걸쳐 여러 차례 관측되었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그 활동성 면에서 2003년 할로윈 이벤트와 유사했을 것으로 유추하였다. 향후 현대의 흑점 관측 스케치와 국제 흑점수의 관계를 정량화할 수 있다면, 유일하게 한국 역사서에만 찾아볼 수 있는 흑점의 크기 단위는 흑점수와 같이 태양활동의 지표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PDF

On the Relation Between the Sun and Climate Change with the Solar North-South Asymmetry (태양의 북-남 비대칭성을 고려한 태양활동과 기후변화와의 관계)

  • Cho, I.H.;Kwak, Y.S.;Cho, K.S.;Choi, H.S.;Chang, H.Y.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v.26 no.1
    • /
    • pp.25-30
    • /
    • 2009
  • We report the relation between the solar activity and terrestrial climate change with the solar north-south asymmetry. For this purpose, we calculate sliding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sunspot numbers and earth's mean annual temperature anomalies. Then, we compare the epoch that the sign of correlation changes with the epoch that the sign of the solar north-south asymmetry changes. We obtain that corresponding times are 1907 and 1985, respectively. Further more, these two epoches are well consistent with those of signs of the solar north-south asymmetry changes. We also obtain that the plot between sunspot numbers and temperature anomalies could be classified by 1907 and 1985. We conclude that temperature anomalies are shown to be negatively correlated with sunspot numbers when the southern solar hemisphere is more active: and vice versa.

태양활동으로 인한 위성항법과 지상항법 신호영향 분석

  • Yang, Gil-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10a
    • /
    • pp.349-352
    • /
    • 2013
  • 최근 태양흑점 폭발로 인해 지구자기장이 교란되어 통신장애가 발생하는 등 GNSS을 이용하는 산업 기반에 크고 작은 피해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2012년 3월과 2013년 6월 중에 태양흑점 폭발로 우주전파경보 발령(3단계"주의) 됨에 따라 해양수산부 위성항법 중앙사무소에서 운영하고 있는 위성항법보정시스템(DGPS)과 지상 전파항법시스템(Loran-C) 데이타를 분석하였다. 비의도적인 전파 교란 등으로 인한 GNSS 취약성 대비 대체 항법 효율성 확보 방안에 대한 eLoran으로 지상 항법시스템 인프라 구축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 PDF

SUN TRANSIT OUTAGE CONSIDERING SOLOR ACTIVITY AND IT'S APPLICATION TO KOREASAT (태양활동을 고려한 태양간섭현상 연구와 무궁화 위성에의 응용)

  • 노경민;최규홍;배석희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v.16 no.1
    • /
    • pp.53-60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dict Sun Transit Outage phenomenon(Sunout). Sunout had been studied mainly for the case of Geostationary satellite and under the assumption of 'Quiet Sun'. In this paper, we predict sunout phenomenon more precisely for non-geostationary orbit as well as geostationary orbit and specially we considered the degree of solar activity. And we compare the result of the case of C-band and Ku-band. Also the result is applied to the two KoreaSat communication system through calculating the link budget.

  • PDF

짧은 주기의 근접쌍성 BD And의 측광 및 그 분석을 통하여 살펴 본 RS CVn형 쌍성의 성질과 그 천체물리학적 의미

  • Kim, Cheon-Hwi;Song, Mi-Hwa;Yun, Yo-Na;Han, Won-Yong;Choe, Yong-Jun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7 no.1
    • /
    • pp.55.1-55.1
    • /
    • 2012
  • 2010년과 2011년의 관측시즌에 총 23일의 BVR 측광 관측을 통하여 처음으로 얻은 2세트의 BVR 광도 곡선을 분석하였다. 새로운 두 세트의 BVR 광도곡선은 제1식과 제2식의 깊이가 거의 비슷하지만, 식바깥 부분에서 관측 시즌에 따라 서로 다른 모양의 잘 발달된 파형 모양을 보인다. 이는 BD And가 흑점이 활동이 매우 심한 짧은 주기의 RS CVn형 식쌍성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우리의 극심시각을 포함한 모든 극심시각을 분석하여 BD And의 공전주기가 규칙적으로 변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 변화를 보이지 않는 제3천체에 의한 광시간 효과로 가정하여, 궤도이심율이 0.83이며, 9.15년의 주기를 가진 광시간 궤도를 결정하였다. Wilson-Devinney 쌍성 모형을 이용하여 흑점과 제3광도를 고려한 두 세트의 광도곡선 해를 산출하였고, BD And의 절대량을 구하였다. 식바깥의 파형 모양의 변화는 주성의 표면에 매우 큰 두 개의 흑점과 그 위치와 이동으로 잘 설명되며, 전체 광도의 약 15%에 해당되는 제3광도가 검출되었다. 주기연구에서 구한 제3천체의 궤도요소와 제3광도의 결합으로 제3천체의 질량과 궤도경사각을 유추하였다. BD And의 성분별의 평균 나이가 등연령 곡선으로부터 태양과 비슷한 4.6${\times}$109년으로 산출되었다. BD And를 포함하여 현재까지 알려진 짧은 주기의 RS CVn형 쌍성들의 H-R도가 항성진화 경로와 함께 제시되며, 그 천체물리학적 의미를 살펴본다.

  • PDF

Study on the Long-term Forecasting of Brown Planthopper Outbreaks (벼멸구 발생의 장기예찰을 위한 기초적 연구)

  • Paik Woon Hah;Paik Hyun Joon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 /
    • v.16 no.3 s.32
    • /
    • pp.171-179
    • /
    • 1977
  • Since the outbreak of the brown planthopper (Nilaparvata lugens) in 1915 caused tremendous losses in rice production, one of the more effective method of prevention of such a disaster could be the establishment of longterm forecasting system, In 1916 the author indicated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sunspot activities and brown planthopper and the white back planthopper outbreaks. However, the examples seem to be too small size to state a definite correla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revi~w the history of the brown planthopper outbreaks, and to establish a more effective forcasting system. The present forcasting methods are based on light trap catches of adults which already migrate into this country from mainland China. The regular cycle of 11.2 years of sunspot activity began in 1710, and was continued to present. To gather more records of brown planthopper, the author checked 'Joseon Wangjo Silrok' and analized the so-called 'Hwang' 'Hwang-chung' and 'Chung' which have multiple meanings, together with 'Samguk Sagi' 'Goryo Sa' and 'Munheon Bigo.' The results obtained by the about from review of these old literature citations revealed that ten species of insect and unknown species were involved: i. e., pine moth (Dendrolimus spectabilis), army worm (Mythimna separata), brown planthopper (Nilarvata lugens), white-back planthopper (Sogatella furcifera), migratory locust (Locutsa migratoria), rice stem borer (Chilo suppressalis,), mole cricket (Gryllotalpa africana), rice-plant weevil (Echinocnemus squameus), cut worm (Euxoa segetum), and mulberry pyralid Margaronia pyloalis) The suspected incidence of planthopper in old records expressed by 'Hwang' or 'Chung' revealed a total or 25 out of 37 in 'Samguk sagi,' 21 out of 49 in 'Goryo sa,' 9 of 73 in 'Wanjo-silrog,' and none of 8 in 'Munheon bigo' were planthoppers. Therefore, a total of 36 out of 167 records of insect incidence in the old literature can be possibly attributed to planthoppers. The brown planthopper and white-back planthopper migrate together to Korea every year from mainland China, However, the number of each species are differ by year. In 1975 outbreak the brown planthopper was dominant; and the white-back planthopper prevailed in 1946 and 1977 outbreaks, During the course of this study, the author was able to add a new record of outbreak of planthop per. In 1916 the white-back planthopper outbreak caused serious losses in Chungcheong-namdo and Jeonla-namdo, with losses estimated as high as 160 and 190 thousand seok (23.2 and 27.5 thousand M/T), in Naju and Secheon county, respectively. Since 1912, major outbreaks of brown planthopper or white-back planthopper have been recored 5 times. These occurrences coincide and well matched the period of minimum number of sunspots, With these authenticated records of planthoppers, the author believes there is a close correlation between brown planthopper and white-back planthopper outbreaks in Korea and sunspot activities. Therefore, in years of low number of sunspots, we should watch for and expect outbreaks of these. insects. At this time, it will be necessary to provide all possible prevention measures.

  • PDF

EFFECTS OF SOLAR ACTIVITY AND SPACE ENVIRONMENT IN 2003 OCT. (2003년 10월의 태양활동과 우주환경의 영향)

  • Cho, Kyung-Seok;Moon, Yong-Jae;Kim, Yeon-Han;Choi, Sung-Whan;Kim, Rok-Soon;Park, Jong-Uk;Kim, Hae-Dong;Lim, Mu-Taek;Park, Young-Deuk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v.21 no.4
    • /
    • pp.315-328
    • /
    • 2004
  • In this paper, we present a good example of extreme solar and geomagnetic activities from October to November, 2003. These activities are characterized by very large sunspot groups, X-class solar flares, strong particle events, and huge geomagnetic storms. We discuss ground-based and space-based data in terms of space weather scales. Especially, we present several solar and geomagnetic disturbance data produced in Korea : sunspots, geo-magnetograms, aurora, Ionogram, and Total Electron Content (TEC) map by GPS data. Finally, we introduce some examples of the satellite orbit and communication effects caused by these activities; e.g., the disturbances of the KOMPSAT-1 operational orbit and HF communication.

Performance Analysis of Artificial Neural Network for Expanding the Ionospheric Correction Coverage of GNSS (위성항법시스템의 전리층 보정 가능 영역 확장을 위한 인공 신경망의 성능 분석)

  • Ryu, Gyeong-don;So, Hyoungmin;Park, Heung-won
    • Journal of Advanced Navigation Technology
    • /
    • v.22 no.5
    • /
    • pp.409-414
    • /
    • 2018
  • Extrapolating the correction information of ionosphere is essential for expanding wide area differential GPS (WADGPS) service area beyond the reference station network. In this paper, design and analysis of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for expanding the ionospheric correction region will be proposed. First, analysis about influence of each input of neural network were performed. The inputs are the day/year periodic function, sunspot number, and geomagnetic index (Ap). Second, performance analysis with respect to the number of hidden layers and neurons in the neural network is shown. As a result, estimation of total electron contents (TEC) on the high/low latitude regions in solar max(2014) are display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