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태양화학

Search Result 571,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n Electrochemical Study on the New Black Chrome Bath Solution for the Electrodeposited Solar Selective Surface (흑크롬 태양광 선택흡수막 제조용 도금액의 개발 및 전기화학적 고찰)

  • Lee, Tai-Kyu;Cho, Suh-Hyun;Chea, Young-Hi;Auh, P.Chung-Moo
    • Solar Energy
    • /
    • v.10 no.1
    • /
    • pp.92-97
    • /
    • 1990
  • The electrochemical approach to the characteristics of black chrome solar selective coatings has been reviewed. Based on the formula of the ChromOnyx bath solution manufactured by Harshaw Company, the chromic acid-propionic acid bath solutions have been prepared by KIER. Comprehensive review of the black chrome electrodeposition mechanism also has been performed on the role played by constituents in the bath solution during electrodeposition. The optical properties such as absorption and emittance of electrodeposited black chrome coatings obtained from the new formula and their surface analysis will be reported in detail.

  • PDF

Electrochemical Preparation of Indidum Sulfide Thin Film as a Buffer Layer of CIGS Solar Cell (CIGS 태양전지 버퍼층으로의 활용을 위한 인듐설파이드의 전기화학적 합성)

  • Kim, Hyeon-Jin;Kim, Kyu-Won
    • Journal of the Korean Electrochemical Society
    • /
    • v.14 no.4
    • /
    • pp.225-230
    • /
    • 2011
  • CIGS solar cells are kind of thin film solar cells, which are studied several years. CdS buffer layer that makes heterojunction between window layer and absorbing layer was one of issue in the CIGS solar cell study. New types of buffer layer consisted of indium sulfide are being studied these days owing to high price and environmental harmful of CdS. In this study, we demonstrated electrochemical synthesis of indium sulfide film as a buffer layer, which is cheaper and faster than other methods. A uniform indium sulfide film was obtained by applying two different alternating potentials. The band gap of the film was optimized by controlling temperature during the electrochemical synthesis. Using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and diffraction method we confirmed that ${\beta}$-indium sulfide was formed on ITO electrode surface.

The Research Status and Prospects of CZT(S,Se) Solar Cells (CZT(S,Se) 태양전지 연구 현황 및 전망)

  • Kang, Jin-Kyu;Son, Dae-Ho;Sim, Jun-Hyoung;Hwang, Dae-Kue;Sung, Shi-Joon;Yang, Kee-Jeong;Kim, Dae-Hwan
    • Prospectives of Industrial Chemistry
    • /
    • v.20 no.2
    • /
    • pp.13-24
    • /
    • 2017
  • 태양전지는 온실 가스 감축에 효과가 큰 기후 변화 대응 기술이다. 현재 상업화에 성공한 실리콘 태양전지의 뒤를 이어 박막 태양전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등 차세대 태양전지가 가격과 효율 등을 극복하기 위하여 매우 많이 연구되고 있다. CZT(S,Se) 박막 태양전지는 차세대 태양전지의 유력 후보군인 CIGS, CdTe,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등에 비해 범용 무독성 원소를 광흡수층으로 사용한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이들보다 효율이 낮아 상용화하기에는 많은 문제를 가지고 있다. CZT(S,Se) 박막태양전지의 기본적인 물성, 공정 등을 알아보고 고효율을 달성하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RECENT PROGRESS IN LARGE AREA AMORPHOUS SILICON SOLAR CELL MEDULES (대면적 비정질 실리콘 태양전지 모듈 개발연구)

  • 정현종;윤경식;김대원;배상순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1996.10b
    • /
    • pp.161-166
    • /
    • 1996
  • 화학적 증착장치를 이용하여 크기 305mm$\times$915mm인 대면적 투명전도 유리기판 위에 비정질 실리콘 태양전지를 제작하였다. p층 제조 후 SiH4 세척과 수소 플라즈마 처리를 하여 I층에 도핑가스가 침투하는 것을 억제했으며 p-i 계면에 buffer층을 적용함으로써 소면적 단접합 태양전지에서 개발전압 0.825V, 충실도 0.73, 변환효율 9.5%인 셀을 제작하였다. 또한 a-Si/a-Si 이중접합 태양전지에서는 개방전압 1.50V, 충실도 0.77인 셀을 제작하였다.

  • PDF

태양전지모듈용 EVA의 가속 열화 메카니즘

  • Jeong, Jae-Seong;U, Dong-Jin;Park, No-Chang;Han, Chang-Un;Hong, Won-Sik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1.05a
    • /
    • pp.49.1-49.1
    • /
    • 2011
  • 태양전지 모듈의 25년 이상 보증을 위해 태양전지 모듈을 구성하는 부품 소재의 신뢰성이 부각되고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태양전지 모듈용 에틸렌 아세테이트 비닐(ethylene Vinyl Acetate, EVA)의 주요 열화 메카니즘은 황변(yellowing)과 박리(delaminaation)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태양전지 모듈을 구성하는 재료 중 EVA 소재의 열화 메커니즘을 도출하기 위해 이미 알려진 스트레스 인자를 이용한 가속 열화시험을 설계한 후 가속열화시험을 실시하였으며, 이로부터 EVA의 열화 메카니즘을 규명하였다. 열화모드 재현을 위해 소형 태양광 모듈을 제작하였으며, Weather-Ometer를 이용하여 열화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조건은 4종 Phase가 1 사이클이 되도록 실험하였으며, Dark 조건 1 Phase 및 Light 조건 3 Phase 조건으로 실시하였다. 태양전지 모듈의 열화량은 매 500 사이클 마다 Light I-V 변화량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EVA의 물리 화학적 열화분석을 위해 단면분석, 적외선분광기(Fourier Transform-Infra Red, FT-IR) 및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열화 특성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고, 이를 근거로 EVA의 열화 메커니즘을 규명하였다.

  • PDF

스트레처블 태양광전지 분야 특허기반 기술경쟁력 연구

  • Yu, So-Jin;Lee, Jae-Seung
    • Bulletin of the Korea Photovoltaic Society
    • /
    • v.7 no.1
    • /
    • pp.9-16
    • /
    • 2021
  • 최근 유무기 하이브리드 전자소자의 발전과 더불어 스트레처블 태양광전지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본 연구는 스트레처블 태양광전지에 대해 기술을 선도하는 국가나 기관을 파악하고 우리나라의 기술 수준은 어느 정도인지 분석하기 위하여, 특허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량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스트레처블 태양광전지 기술은 전체 특허건수 1,747건 중에 48%를 차지하는 중국이 양적으로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피인용도지수와 시장확보지수가 월등히 높은 미국이 질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위 주요출원인 1~2위로 선정된 일본 국적의 화학물질 제조기업이 재료분야에서 기술을 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는 양적인 면과 질적인 면에서 모두 두각을 나타내지 못하고 있으며, 기업체의 참여도 저조하여 상업화 단계로 발전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단, 스트레처블 태양광전지 기술의 성장단계가 성숙기 단계로 진입하고 있고 기술 독점 여부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선택과 집중을 통한 전략적인 연구개발 계획을 수립한다면 기회가 있다고 판단된다.

Recent Research Trend in Ferroelectrics for Effective Photovoltaics (태양전지 효율향상을 위한 강유전체의 연구동향)

  • Bark, Chung Wung
    • Prospectives of Industrial Chemistry
    • /
    • v.24 no.1
    • /
    • pp.3-13
    • /
    • 2021
  • 강유전체는 특유의 높은 유전상수와 자발분극으로 인해 반도체 소자 및 센서 등에서 널리 활용되어 왔다. 강유전체의 특성을 활용하여 광전소자에서 형성된 전하를 원하는 방향으로 쉽게 이동시킬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광전소재와 결합 시 특성 향상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강유전체와 기존 태양전지와의 융합 연구들은 기초적인 단계의 연구가 산발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나, 아직 실용화 단계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본 서지에서는 최근에 활발히 연구되기 시작한 강유전 기반 광소자와 그 관련 연구를 소개하고자 한다. 특히 강유전체 자체를 활용한 태양전지와 유기태양전지, 실리콘 태양전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등 최근 가장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태양전지 소재와 강유전체를 결합한 새로운 태양전지의 연구동향을 다룰 고자 한다. 이와 같은 자발분극에 의한 캐리어 이동의 변화는 에너지 소자 전반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Cost-down Antireflection Coating using Anodization for Multicrystalline Silicon Solar Cells (양극산화과정으로 형성된 저가 고효율 다결정 실리콘 태양전지 반사 방지막에 대한 연구)

  • Kwon, J.H.;Kim, D.S.;Lee, S.H.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4.07b
    • /
    • pp.977-980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저가 고효율 태양전지를 제작하기 위하여 p형 다결정 실리콘 기판을 사용하여 수산화 칼륨(KOH)이 포함된 용액에 Saw damage 과정 후 불산이 함유된 용액에 전기화학적 양극산화 과정으로 실리콘 웨이퍼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여 다공성 실리콘을 형성 하였다. 본 논문은 전기화학적 에칭방법으로 기존의 진공장비로 제작된 반사방지막의 반사율만큼 감소된 다공성 실리콘 반사방지막을 형성하였다. 전자빔 증착기(e-beam evaporator)로 단층으로 형성된 $TiO_2$의 반사방지막은 400-1000 nm의 파장 범위에서 4.1 %의 평균 반사율을 가졌으며, 양극산화과정으로 형성된 다공성 실리콘은 400-1000 nm의 파장의 범위에서 4.4 %의 평균 반사율을 가졌다. 본 연구는 태양전지의 반사방지막 형성을 기존의 제작 방법보다 간단하고 저렴한 방법으로 접근하여 태양전지의 변환효율을 상승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