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태양전지모델

Search Result 90,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Development of the Dynamic Model of the Solar Cell Module by the Impedance Spectroscopy (임피던스 분광법을 이용한 태양전지 모듈의 동특성 모델 개발)

  • Kim, Wook;Choi, Woo-Ji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08.06a
    • /
    • pp.289-291
    • /
    • 2008
  • 태양전지에 관한 많은 모델이 제안되어 왔으나 대부분은 특정 일사량에서 측정된 태양전지의 I-V 특성커브를 기준으로 보간법을 사용하여 운전점을 구하는 모델링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며, 태양전지의 동특성 모델에 관한 연구는 매우 드물다. 효율적인 에너지 변환을 위한 고성능 전력변환기의 설계를 위해서는 태양전지의 정특성 및 동특성에 관한 정확한 정보가 요구된다. 태양전지의 정특성은 제조사에 의해 일반적으로 측정되어 공개되므로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으나 동특성은 그렇지 못하다. 본 논문에서는 임피던스 분광법(Impedance Spectroscopy)을 이용하여 태양전지 모듈의 동특성 모델을 개발하고, 개발된 모델의 유용함과 정밀함을 실험을 통해 검증 하였다. 개발된 동특성 모델은 정밀한 태양전지 시뮬레이션과 새로운 MPPT 알고리즘 개발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Study on Power Analysis and Test Verification for STSAT-2 Solar Array (과학기술위성 2호 태양전지 배열기의 전력 성능 분석 및 시험 검증 연구)

  • Park, Je-Hong;Chang, Young-Ke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8 no.5
    • /
    • pp.507-517
    • /
    • 2010
  • The KOREAN AIR - R&D Center has developed a solar array for STSAT-2 Flight Model, SaTReC-KAIST, using a fully localized technology and has verified the performance through a launch vibration test, orbit environment test and electrical performance test. The solar array will be launched at NARO Space Center by KSLV-I which is the first Korean launch vehicle, in May 2010. In this paper, a current-voltage curve that shows the power characteristics of solar arrays was derived by applying elements that affects the power performance of STSAT-2's solar arrays to the solar cell equivalent models. The result was compared to LAPSS test results, and accuracy of the solar cell equivalent model and the power performance simulation has been analyzed.

달착륙선의 전력시스템 개념설계와 지상시험모델용 추력기 밸브구동 전원장치 개발

  • Jang, Seong-Su;Ju, Gwang-Hyeok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7 no.2
    • /
    • pp.196.2-196.2
    • /
    • 2012
  • 본 논문은 달착륙선의 개념설계를 위하여 고려한 전력시스템의 설계와 달착륙선의 지상시험모델용 추력기 밸브구동 전원장치 개발에 대해 기술하였다. 달착륙선의 임무특성을 고려하여 전력시스템의 구조를 검토하고, 극한의 온도환경에서 달착륙선의 임무수행을 위하여 필요한 전력에너지를 충분히 공급할 수 있도록 태양전지 배열기와 배터리의 용량, 그리고 전장품의 용량을 설계하였다. 특히 경량의 달착륙선 개발을 위하여 고효율의 태양전지를 이용한 태양전지 배열기와 리튬-이온 배터리를 검토하였다. 극한의 우주환경에서 태양전지배열기의 동작특성을 검토하고 생성될 수 있는 최대 전력을 분석하여 최적의 태양전지 배열기의 면적을 분석하고, 장시간의 월식을 고려하여 배터리의 방전특성에 따른 배터리의 전압특성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달착륙선의 전력시스템 개념설계의 타당성 검토를 위하여 유럽에서 개념설계 중인 달착륙선의 전력시스템 사양과 용량에 대해 비교검토를 수행하였다. 현재 개발중인 지상검증모델용 달착륙선의 전력시스템 설계와 추력기 밸브구동 전원장치의 개발에 관해 기술하였다. 지상검증용 전력시스템은 태양전지배열기의 장착 없이 배터리의 전력만을 사용하여 지상검증모델용 달착륙선의 부하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달착륙선 지상시험모델의 비행시간과 임무에 따른 부하특성을 고려하여 상용 리튬-이온 배터리의 용량을 선정하였으며, 부하의 전력을 고려하여 간단한 보호회로를 설계하였다. 그리고 지상검증용 전원시스템은 추력기의 밸브구동을 위한 추력기 밸브구동 전원장치, DC/DC 컨버터 전원 모듈, 모니터링 모듈, 그리고 위급상황에서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Emergency STOP" 모듈로 구성되어 있다.

  • PDF

Analysis of New Solar Cell Model for the Virtual Implemented Solar Cell System (가상구현 태양전지 시스템을 위한 태양전지의 새로운 모델링)

  • Jeong, Byung-Hwan;Kang, Byoung-Hee;Lee, Myung-Un;Choe, Gyu-Ha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Power Electronics
    • /
    • v.11 no.1
    • /
    • pp.79-89
    • /
    • 2006
  • Particularly the photovoltaic systems are preferred because the output is extracted to the useful electric energy. However, the output characteristics of photovoltaic(PV) systems using solar cell or array depend on the weather conditions. The assistant equipment which emulates the solar cell characteristics that can be controlled arbitrarily by researcher is required to the researchers for reliable experimental data. To solve these problems, it is necessary to research a solar cell model of which output characteristics varied by setting the weather conditions such as insolation levels and temperatures. Therefore, this paper was presented that improved model which is based on interpolation model. To verified the improved model, it is confirmed using the simulation of MATLAB. Also,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by the characteristics of virtual implemented solar cell(VISC) system with the proposed solar cell model. It could be confirmed that there exists actual ewer within 5% between actual solar cell and VISC system.

힌지 및 스트럿을 갖는 인공위성 태양전지판 상세 전개해석

  • Kim, Gyeong-Won;Im, Jae-Hyeok;Kim, Seon-Won;Lee, Ju-Hun;Hwang, Do-Sun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2009.10a
    • /
    • pp.27.3-27.3
    • /
    • 2009
  • 인공위성이 발사체로부터 분리되면, 인공위성은 가장 먼저 태양 전지판을 전개한 후 전력을 생산한다. 전력은 인공위성의 운영에 반드시 필요하므로, 태양전지판의 성공적인 전개는 인공위성의 성공적 임무 수행의 필수 요소이다. 따라서, 태양전지판 또는 태양전지판의 전개장치 개발시에는 태양전지판이 이상없이 전개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태양전지판 전개해석을 반드시 필요로 한다. 현재 개발중인 저궤도 지구관측위성의 경우, 3장의 태양전지판이 사용이 되며, 각 태양전지판의 전개 및 고정은 힌지 및 스트럿으로 이루어진 태양전지판 전개장치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이 논문에서는 다물체 동역학 해석프로그램인 Recurdyn을 이용하여, 상세 태양전지판 전개해석을 수행하고자 한다. 이전 연구에서는 기본적인 전개해석 모델을 수립하여, 태양전지판의 기본 전개거동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태양전지판이 완전히 전개된 이후에 고정되는 부분의 모델링이 복잡하여, 단순하게 가정하여 전개해석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가정은 태양전지판의 전개 입장에서는 좀 더 극한상황이 되었으며, 이러한 환경하에서도 충분히 태양전지판이 잘 전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논문에서는 간략화된 태양전지판 고정장치 및 기타 다른 부분들을 좀 더 상세모델링 하여, 전개 거동이 좀 더 실제에 가깝도록 하였다.

  • PDF

Study on characteristic analysis and simulation modeling of Thin film solar cell. (박막형 태양전지 특성 분석 및 시뮬레이션 모델 구축에 관한 연구)

  • Lee, Dai-Hee;Kim, Nam-Ju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1.11a
    • /
    • pp.255-256
    • /
    • 2011
  • 최근 박막형 태양전지에 관한 연구가 한국에서 활발이 이루어 지고 있다. 이에 박막형 태양전지에 대해서 알아보고 박막형 태양전지를 회로 시뮬레이터에 구현 가능한 등가 모델링을 수행하고 시뮬레이션으로부터 나온 결과를 실제 모델 데이터와 비교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PV cell performance analyzer (태양광전지 성능 분석기 개발)

  • Park, Hyeonah;Kim, Sungjun;Jang, Hyewon;Kim, Hyosung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3.07a
    • /
    • pp.66-67
    • /
    • 2013
  • 태양광전지는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에너지의 형태로 변환한다. 태양광전지는 부하조건에 따라 전류원 및 전압원의 특성을 모두 갖는 I-V 특성곡선을 나타낸다. 같은 회사에서 제조한 동일한 모델의 태양광전지라 하더라도 특성에 조금씩 편차가 발생한다. 태양광전지를 직렬접속하여 대규모의 태양광어레이를 구성하는 경우, 각 태양광전지의 특성편차는 전체 태양광어레이의 전력생산능력을 감소시키게 되므로 같은 특성을 갖는 태양광전지를 구별하여 어레이를 제작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태양광전지의 특성을 자동적으로 측정 분석하여 LabVIEW GUI화면을 통하여 결과를 출력하는 태양광전지 성능 분석기를 개발한다.

  • PDF

Detect Maximum Power Point in Solar Cell Panel Array (태양 전지 패널 어레이에서 최대전력점 검출)

  • Jeong, Ji-Won;Ahn, Tae-Cho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1390-1391
    • /
    • 2011
  •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서의 최대 전력점 추적(MPPT, Maximum Power Point Tracking)제어를 실험을 하기 위해 부분선형 다이오드 모델을 이용한 태블로 해석을 통해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태양전지 모듈의 특성을 시뮬레이션 하였다. 태양전지 모듈의 V-I 특성과 태양전지 패널을 직렬-병렬 어레이로 연결 시, 부분 그늘 문제(Partial Shading Problem)의 지역 최대 점(global peak)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확인하였다.

  • PDF

Optimal Design of a Composite Solar Panel for Vibration Suppression (진동 저감을 위한 복합재료 태양전지판의 최적설계)

  • Kim, Yongha;Kim, Hiyeop;Park, Jungsun
    • Journal of Aerospace System Engineering
    • /
    • v.12 no.6
    • /
    • pp.50-57
    • /
    • 2018
  • This paper proposes the use of supports as passive vibration absorber to a composite solar panel for a high-agility satellite. We further defined the dynamic model of the composite solar panel with the help of the Ritz method and verified vibration suppression performance of the support by performing vibration analysis. Finally, this research ensures optimal design of the composite solar panel with the support for maximizing vibration suppression performance in limited mass. The proposed results of the optimal design can be applied in actual structural design of satellites.

Study on Efficiency Optimization for Silicon Solar Cell (실리콘 태양전지의 효율 최적화를 위한 연구)

  • Han, Ji-Hyung;Jung, Hak-Kee;Jeong, Dong-Soo;Lee, Jong-In;Kwon, Oh-Sh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1.10a
    • /
    • pp.899-902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MicroTec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태양전지의 최적화 효율을 얻기 위한 연구를 하고자 한다. 효율은 태양전지의 성능을 나타내는 가장 중요한 인자로서 태양으로부터 입사된 에너지에 대한 출력에너지의 비로 정의된다. 효율은 입사되는 태양광 스펙트럼이나 세기, 그리고 전지의 온도에 영향을 받기도 하므로 태양전지의 변화효율은 정밀하게 조절된 조건에서 측정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온도(200K-300K)와 Trap(트랩) 에너지(0.1eV~1.0eV) 파라미터의 값을 변화하면서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동도 모델에 따른 전류-전압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른 곡선 인자(Fill factor를) 비교하여 태양전지의 효율을 최적화 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