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태양광 셀

Search Result 116,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Enhanced Method of Photovoltaic (PV) Cell Model Computation for Power Hardware-in-the-Loop Simulation (PHILS) of PV power Generation (태양광 발전의 Power Hardware-in-the-Loop Simulation (PHILS)을 위한 태양광 셀 모델의 연산 성능 향상기법)

  • Kwak, Sang Kyu;Kim, Ye-Rin;Jung, Jee Hoo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7.07a
    • /
    • pp.296-297
    • /
    • 2017
  • 태양광 발전에 있어서 실제 태양광 셀 특성은 날씨와 같은 환경 요인에 의존적이기 때문에 다양한 동작 조건에 대한 태양광 셀의 특성을 전력변환장치를 통해 테스트하기 위해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Power Hardware-In-the-Loop Simulation (PHILS) 기술을 이용해 태양광 발전용 전력변환장치 시제품의 테스트 시간 및 비용을 단축할 수 있다. PHILS는 실시간 모의시험장치와 외부 입력이 가능한 전력변환장치로 구성되며, 해당 장치에서 모델의 동특성을 실시간으로 연산하기 때문에 모델이 복잡할수록 고성능 모의시험장치가 요구된다. 태양광 셀 모델의 출력 전압은 수치해석 기법을 통해 계산되고, 수치해석 기법의 종류와 초기 값에 따라 연산 시간 등의 성능이 변화하므로 적절한 기법을 선정하여 모델의 연산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수치 해법 분석을 통한 태양광 발전의 PHILS를 위한 태양광 셀 모델의 연산 성능향상 기법을 제시하고, 실제 태양광 발전용 PHILS를 구현하여 실험적으로 제안하는 기법의 성능을 검증한다.

  • PDF

The Detection of Heat Emission to Solar Cell using UAV-based Thermal Infrared Sensor (UAV 기반 열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태양광 셀의 발열 검출)

  • Lee, Geun Sang;Lee, Jong Jo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25 no.1
    • /
    • pp.71-78
    • /
    • 2017
  • Many studies have been implemented to manage solar plant being supplied widely in recent years. This study analyzed heat emission of solar cell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UAV)-based thermal infrared sensor, and major conclusions are as belows. Firstly, orthomosaic image and digital surface model(DSM) data were acquired using UAV-based RGB sensor, and solar light module layer necessary to analyze the heat emission of solar cell was constructed by these data. Also as a result of horizontal error into validation points using virtual reference service(VRS) survey for evaluating the location accuracy of solar light module layer, higher location accuracy could be acquired like standard error of $dx={\pm}2.4cm$ and $dy={\pm}3.2cm$. And this study installed rubber patch to test the heat emission of solar cell and could analyzed efficiently the location of rubber patch being emitted heat using UAV-based thermal infrared sensor. Also standard error showd as ${\pm}3.5%$ in analysis between calculated cell ratio by rubber patch and analyzed cell ratio by UAV-based thermal infrared sensor. Therefore, it could be efficiently analyzed to heat emission of solar cell using UAV-based thermal infrared sensor. Also efficient maintenance of solar plant could be possible through extracting the code of solar light module being emitted of heat automatically.

Image Processing method for photovoltaic module defect analysis system (태양광 모듈 결함 분석 시스템 개발을 위한 Image Processing 방법)

  • Kang, Jong-Min;HwangBo, Seu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5.07a
    • /
    • pp.1310-1310
    • /
    • 2015
  • 대단위 태양광 발전소 또는 고층건물에 설치된 태양광 모듈의 결함을 분석하는데 있어 열화상 카메라를 통한 온도로써 태양광 모듈의 결함을 검출하는 방식이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열화상 카메라로 얻은 영상을 온도로 표현하는데 필요한 영상처리를 각각의 태양광 모듈들을 셀 단위로 분류하고 해당 셀을 기준으로 행 이미지를 ROI로 잡은 후 이미지 저장을 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 PDF

PV MPPT with Battery Charger & Inductive Load Using Single Current Sensor (단일전류센서를 이용한 태양광 최대전력추종 및 배터리 충전과 모터 제어기법)

  • Kim, Seung-Min;Choy, Ick;Choi, Ju-Yeop;Lee, Sang-Cheol;Lee, Dong-Ha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3.07a
    • /
    • pp.417-418
    • /
    • 2013
  • 태양광 발전설비에서 태양광 셀의 출력전력을 최대로 부하에 전달하기 위해 태양광 최대전력추종제어를 한다. 일반적인 태양광 최대전력 추종제어는 태양광 셀의 전압과 전류의 곱인 전력값을 비교하여 최대전력추종제어를 한다. 본 논문에서는 MPPT 컨버터의 출력 파라미터 중 전류만을 센싱하여 태양광 최대전력추종제어를 한다. 또한 태양광 최대 전력추종제어를 통해 최대 출력으로 배터리를 충전하고 허용전류를 초과했을 때에는 전류제어로 충전하도록 설계한다. 이를 통해 Solar Car등과 같은 모터 부하에 적용해 보고자 한다.

  • PDF

태양광발전소 현장 진단평가 기술: 발전량 시뮬레이션과 다채널 I-V 장치를 통한 고장진단

  • Go, Seok-Hwan;Sin, U-Gyun;Sin, Ju-Yeong;Choe, Ui-Seong
    • Bulletin of the Korea Photovoltaic Society
    • /
    • v.7 no.2
    • /
    • pp.7-15
    • /
    • 2021
  • 태양광 발전소에 대한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IEC 61724-1에 적합한 계측장치를 설치하고 데이터를 수집하여 평가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태양광발전소 현장에서 DC 어레이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측정 일사량과 같은 환경정보 값과 태양광 DC 어레이 전압-전류 특성 곡선을 이용해 일사량에 따른 출력모델 식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모델 식은 태양전지 셀의 종류나 버스바에 따라서 차이가 발생되므로 기존의 태양전지 셀 등가회로 수식을 반영한 시뮬레이션 모델식이 적절히 변경되어야 함을 실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주기적인 진단 평가를 실시하지 않는 국내외 태양광 발전소는 성능저하가 발생된 상태로 운전되는 경우가 다수 일 것이다. 대부분의 관제모니터링을 시스템은 미쓰매칭 손실 평가분석이 불가능하며 운전상태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이 대부분이다. 이에 태양광 발전소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서는 현장진단 장치를 이용한 주기적 성능진단 평가나 발전소 데이터의 손실평가 분석 기술의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A Study to Recover Si from End-of-Life Solar Cells using Ultrasonic Cleaning Method (초음파 세척법을 이용한 사용 후 태양광 셀로부터 Si 회수 연구)

  • Lee, Dong-Hun;Go, Min-Seok;Wang, Jei-Pil
    • Resources Recycling
    • /
    • v.30 no.5
    • /
    • pp.38-48
    • /
    • 2021
  • In this study, we determine the optimal process conditions for selectively recovering Si from a solar cell surface by removal of impurities (Al, Zn, Ag, etc.). To selectively recover Si from solar cells, leaching is performed using HCl solution and an ultrasonic cleaner. After leaching, the solar cells are washed using distilled water and dried in an oven. Decompression filtration is performed on the HCl solution, and ICP-OES (Inductively Coupled Plasma Optical Emission spectroscopy) full scan analysis is performed on the filtered solution. Furthermore, XRD (X-ray powder diffraction), XRF (X-ray fluorescence), and ICP-OES are performed on the dried solar cells after crushing, and the purity and recovery rate of Si are obtained. In this experiment, the concentration of acid solution, reaction temperature, reaction time, and ultrasonic intensity are considered as variables. The results show that the optimal process conditions for the selective recovery of Si from the solar cells are as follows: the concentration of acid solution = 3 M HCl, reaction temperature = 60℃, reaction time = 120 min, and ultrasonic intensity = 150 W. Further, the Si purity and recovery rate are 99.85 and 99.24%, respectively.

Effects of Heat Treatment in $N_2$ and Se Atmosphere on the Densification of Nanoparticle Derived Cu(In, Ga)$Se_2$ Absorber Layer (질소 및 셀레늄 분위기 열처리가 나노 입자 Cu(In, Ga) $Se_2$ 광흡수층의 치밀화에 미치는 영향)

  • Kim, Ki-Hyun;Ahn, Se-Jin;Chun, Young-Gab;Park, Byun-Ok;Yoon, Kyung-Hoo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6a
    • /
    • pp.185-188
    • /
    • 2005
  • 나노 입자 분무 기법을 이용한 $Cu(In,\;Ga)Se_2$ (CIGS) 광흡수층 제조 기법은 고진공 장치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대면적 저가형 CIGS 태양전지 양산에 적합한 차세대 기술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스프레이 된 상태의 CIGS충 자체는 태양전지 제조에 적합하지 않은데 이는 스프레이 막의 다공성 구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나노입자 분무 기법을 이용하여 증착한 CIGS 광흡수층막을 질소 또는 셀레늄 분위기에서 열처리함으로써 태양전지 제조에 적합한 치밀한 구조의 CIGS 광흡수충을 제조하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 질소 분위기 $500^{\circ}C$의 온도에서 1시간 열처리하여도 CIGS 나노 입자의 성장은 거의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셀레늄 분위기 $500^{\circ}C$의 온도에서 30분 열처리시 입자 크기가 $1{\mu}m$이상인 치밀한 광흡수층을 얻을 수 있었다. 본 결과는 CIGS 나노 입자의 입자 성장 반응에서 열에너지 단독에 의한 표면 에너지 감소 효과는 미미하며 셀레늄 증기의 역할이 더욱 크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 PDF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 표면 그리드에 의한 반사율과 양자효율에 미치는 영향

  • Park, In-Gyu;Son, Chan-Hui;Yun, Myeong-Su;Yu, Ha-Jin;Han, Sang-Geun;Yu, Jin-Hyeok;Hyeon, Deok-Hwan;Kim, Jeong-Sik;Gwon, Gi-Ch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0.02a
    • /
    • pp.299-299
    • /
    • 2010
  • 태양전지 셀에서 표면 반사에 의한 태양광 손실을 보다 적게 하여 흡수량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태양전지에서 생성된 전자 정공 수집 향상을 위해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그리드 전극을 사용한다. 이때 금속 그리드에 입사되는 태양광은 대부분 반사되어 입사광의 손실로 이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에서 표면 그리드에 의한 광학적 손실을 반사율을 통해 확인하였고 양자효율을 측정하여 보았다.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 표면 반사율 측정은 적분구를 사용하였고, 측정에 사용된 태양전지 샘플은 일반적인 구조의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이다. 실험은 표면 그리드 공정 전 후의 샘플로 실험을 진행하였고, 셀의 표면 균일도에 의한 확인을 위하여 동일한 면적 비율의 입사광을 조사하여 반복 실험을 하였다. 양자효율 측정은 광학 초퍼를 통한 광원과 분광기 및 검출기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특성 분석 장치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특정 파장 대역에서 그리드의 유무에 따른 반사율의 변화와 이에 따른 양자효율의 변화를 통하여 그리드에 의한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의 특성변화에 대해 알아보았다.

  • PDF

Photo-Sensorless Solar Tracking System based on Modular Structure and IoT Technology (모듈화 구조와 IoT 기반의 광센서리스 태양광 추적 시스템)

  • Kim, Dae-Won;Kim, Jeong-Tae;Chung, Gyo-Bum
    • Journal of IKEEE
    • /
    • v.24 no.2
    • /
    • pp.392-402
    • /
    • 2020
  • This paper proposes a solar tracking system without photo-sensors. The system can be classified into four modules: Solar Tracking, MPPT, ESS, and Real-Time Monitoring. Nine solar panels, as a basic unit, are adopted with grid structures of different heights to reduce wind influence and to enable solar tracking without photo-sensors. The low-cost MCU implements MPPT method which generates PWM switching signal for boost converter. The unit of ESS consists of three-series and four-parallel lithium-ion batteries in order to enable monitoring for abnormalities in temperature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battery. Four MCUs used in the system consists of two AVR Atmega128, and two Raspberry PI, and they exchanges operation informations. Experimental results of the proposed system show the solar tracking performance, the possibility of on-site and remote monitoring and the convenience of maintenance based on IoT technology.

Study on PID Phenomenon Reduction for Output Recovery of Photovoltaic Module (태양광 모듈의 출력회복을 위한 PID 현상 저감에 관한 연구)

  • Sim, Woosik;Jo, Jongmin;Kim, Jichan;Cha, Hanju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8.07a
    • /
    • pp.366-367
    • /
    • 2018
  • 본 논문은 태양광발전 시스템에서 태양광 모듈의 출력 저하 특성을 야기하는 PID (Potential Induced Degradation) 현상의 발생원인 및 출력회복을 위한 PID 저감 기법을 연구하였다. 태양광 모듈의 프레임과 셀 간에 발생하는 전위차로 인한 PID 현상의 직접적인 원인인 분극현상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PID 현상이 태양광 모듈의 출력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I-V 특성곡선 변화를 통해 해석하였다. PID 현상의 발생 원인을 기반으로 태양광 모듈의 전극 출력단인 양극과 음극을 단락시키고 접지된 프레임을 기준으로 양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태양광모듈의 출력특성을 회복하는 PID 저감 기법을 제안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