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태양광발전

Search Result 2,386,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 study on solar-wind hybrid power generation system (태양광 및 풍력 하이브리드 발전 시스템에 관한 연구)

  • Oh, Jin-Seok;Jo, Kwan-Jun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33 no.8
    • /
    • pp.1226-1231
    • /
    • 2009
  • In this paper, a solar-wind hybrid system is decsribed for Stand-Alone(SA) power generation system. Mostly SA power generation system for ocean facilities composes a solar system. Normally, the output power of solar system is decreased with weather condition as cloudy and rainy. Solar-wind hybrid system can be operated as complement system each other. In this paper, the characteristic simulation of solar and wind is performed by LabVIEW. The hybrid power generation system is designed according to simulation results, and is tested for checking the complement characteristic.

A design of Hybrid power generation system for Ocean facilities (해양시설물용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 설계)

  • Jung, Sung-Young;Oh, Jin-Seok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3 no.6
    • /
    • pp.381-385
    • /
    • 2009
  • Generally power system of ocean facility composes a solar generation system.The power to be generated by the solar system is chang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sunlight of weather conditions. Output power of solar system is decreased with weather condition such as cloudy day and rainy day. And the power shortage of the ocean facility can occur due to the lack of solar energy. To solve this problem, this paper proposes the power control system for solar-wave hybrid system Wave generation system consists of wells turbine and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generator(PMSG). This propose system set the specific area and measures the solar generation power and wave generation power. As a result of experiment, the solar power is a more static source than wave power, but the wave power provides energy during periods of no sunshine. The power characteristic of propose hybrid system have been obtained high reliability than a solar generation system.

스트레처블 태양광전지 분야 특허기반 기술경쟁력 연구

  • Yu, So-Jin;Lee, Jae-Seung
    • Bulletin of the Korea Photovoltaic Society
    • /
    • v.7 no.1
    • /
    • pp.9-16
    • /
    • 2021
  • 최근 유무기 하이브리드 전자소자의 발전과 더불어 스트레처블 태양광전지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본 연구는 스트레처블 태양광전지에 대해 기술을 선도하는 국가나 기관을 파악하고 우리나라의 기술 수준은 어느 정도인지 분석하기 위하여, 특허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량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스트레처블 태양광전지 기술은 전체 특허건수 1,747건 중에 48%를 차지하는 중국이 양적으로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피인용도지수와 시장확보지수가 월등히 높은 미국이 질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위 주요출원인 1~2위로 선정된 일본 국적의 화학물질 제조기업이 재료분야에서 기술을 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는 양적인 면과 질적인 면에서 모두 두각을 나타내지 못하고 있으며, 기업체의 참여도 저조하여 상업화 단계로 발전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단, 스트레처블 태양광전지 기술의 성장단계가 성숙기 단계로 진입하고 있고 기술 독점 여부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선택과 집중을 통한 전략적인 연구개발 계획을 수립한다면 기회가 있다고 판단된다.

태양광 발전소내에서의 대용량 PCS의 발전 전력 품질에 관한 연구

  • Choe, Jong-Seon;Jeon, Tae-Wo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0.07a
    • /
    • pp.180-181
    • /
    • 2010
  • 현대중공업은 2009년 충북 음성에 500kW급 태양광 발전소를 건설하여 태양광 인버터 개발품에 대한 실증시험을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태양광 발전소내에서의 실제 발전 전력을 분석하여 고품질의 전력을 발전하는 제품을 만들고자 하는 데 있다. 전력의 품질은 태양광 인버터의 제어특성 뿐만 아니라 일사량이나, 구름의 움직임, 온도 그리고, 계통의 부하에 따라 변화하므로 발전량 전영역에서 고품질의 전력을 생산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전력의 품질을 확인하기 위하여 역률 및 고조파를 측정하여 나타내었다. 연구 결과 저전력에서의 역률 및 고조파의 큰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 PDF

태양광발전 실용화 방안

  • 엄영창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1993.05a
    • /
    • pp.42-46
    • /
    • 1993
  • 1970년대의 오일쇼크이후 대체에너지개발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점차 확산되어 가는 추세에 있다. 대체에너지가운데 특히 태양광발전은 연료가 필요 없는 무공해 Clean 에너지원으로서 미래 전원공급원의 한 부분으로 그 역할이 주목되고 있다. 더욱이 자원이 빈약한 국내실정 하에서 태양광발전의 기술개발은 필연적이므로 향후 보급촉진을 위한 실용화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olar Hybrid Generating System for Ship (기술논문 - 태양광을 이용한 선박용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 개발(II))

  • Choi, Han-Kyu;Kim, Hee-Je;Lee, Kyung-Jun
    • Journal of Korea Ship Safrty Technology Authority
    • /
    • s.32
    • /
    • pp.12-29
    • /
    • 2012
  • 본 연구는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선박에 설치하고, 동 시스템과 연계한 선박 발전시스템에 대한 해상 실증 실험을 통하여 발전 시스템의 작동, 신뢰성과 선박 복원성능 및 경제성을 평가하고, 육상으로 송전하는 계통연계형 시스템에 대한 실험을 동시에 수행하였다. 독립형 발전시스템 선내 부하에 안정적인 전원 공급이 가능하고, 태양광 발전과 선내 발전시스템간의 하이브리드 운전이 안전하여 상용화에 문제가 없으며, 계통연계형 태양광 발전 수익모델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 시스템 설치선박은 단기간 투자비용 회수가 가능하고, 경제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태양광 관련 설비에 대한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안전기준(안)을 제시하였으며, 앞으로 다양한 용량의 발전시스템 선박에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 PDF

A Modeling and Analysis of a Grid Connected Photovoltaic Generation System (계통 연계형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모델링 및 해석)

  • Jeon, Jin-Hong;Kim, Seul-Ki;Ahn, Jong-Bo;Kim, Eung-Sa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5.07b
    • /
    • pp.1768-1770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계통 연계를 위한 실증 시스템 개발 연구의 일부로 진행되고 있는 태양 전지 어레이의 모델링과 해석 결과에 대한 내용을 제시하고자 한다.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를 변화하여 주는 태양 전지판과 발전된 전기 에너지를 전력 계통에 연계하여 주는 전력변환 장치(PCS)로 구성되어 있다. 모델링에 사용된 주요 파라미터는 현재 연구원에서 보유하고 있는 실제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기준으로 하였다. 개발된 모델을 이용하여 시스템의 주요 특성 곡선을 추출하였으며 기존의 연구 결과와 비교하여 제안된 모델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된 태양광 시스템 모델은 향후 전체 시스템의 동적 응답에 대한 해석 및 계통 연계 운전 검토를 위한 연구에 적용될 계획이다.

  • PDF

기획특집_1 - 국내.외 태양광발전 현황 및 전망

  • Kim, Jun-Ho
    • Bulletin of Korea Environmental Preservation Association
    • /
    • s.385
    • /
    • pp.13-15
    • /
    • 2010
  • 세계 태양광 시장은 2000년부터 꾸준히 상승세를 거듭해 오다 2007년부터 급성장하기 시작했다. 향후 온실가스 감축은 불가피하기에 태양광 발전은 대체에너지의 핵심으로 큰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선진국에서는 이미 지상을 넘어선 우주태양광발전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금까지 태양광산업은 에너지원에 비해 높은 발전단가 때문에 다른 산업들과 경쟁에 치중해 왔었다. 앞으로는 원가 절감 관련 기술개발과 함께 효율 등 성능개선을 위한 기술개발도 균형있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

Status of the Global Photovoltaic Market (2005년 세계 태양광발전산업 현황)

  • Yu, Gwon-Jong;Kang, Gi-Hwa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6.07b
    • /
    • pp.1163-1164
    • /
    • 2006
  • 청정하고 무한한 신재생에너지원에 대한 연구가 전 세계적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태양광발전(Photovoltaic ; PV) 분야는 일본, 독일을 위시한 유럽, 그리고 미국을 중심으로 활발한 공급과 수요가 이루어지고 있다. 실제로 태양광발전시장을 분석한 결과, 2005년 태양전지의 생산은 전년대비 45%이상의 증가율을 나타내었고,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설치 부분에서 있어서도 전년대비 약 34%의 증가율을 나타내었다.

  • PDF

양면수광형 태양전지 성능평가를 위한 이중광원활용 측정 방법

  • Kim, Su-Min;Jeong, Sang-Hun;Kim, Yong-Bae;Choe, Gyu-Seok
    • Bulletin of the Korea Photovoltaic Society
    • /
    • v.4 no.2
    • /
    • pp.6-13
    • /
    • 2018
  • 최근 산업용 태양광 발전시장에서 주목 받고 있는 양면수광형 태양전지의 경우 지면 반사광(Albedo)의 영향으로 추가적인 광생성(Photogeneration)이 발생하여 태양전지의 전환효율(Conversion efficiency)을 증가시켜 주기 때문에 시장에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몇 가지 문제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양면수광형 태양전지의 효율을 정의하는 부분이다. 양면수광형 태양전지의 효율을 정의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현재까지 국제적인 기준이 제정되지 않아 정확한 효율의 정의가 어려운 상황이다. 양면수광형 태양전지의 성능 확인을 위한 측정 방식은 단일광원(Single light source) 조사 방식, 단일광원 분할(Single light splitter) 조사 방식, 이중광원(Double light source) 조사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중광원 조사 방식을 이용하여 후면 반사광의 광원을 개별적으로 정의함으로써 실제 발전 환경과 동일한 조건의 광량 정의를 통하여 다양한 지면 반사 조건에 대하여 정확한 태양전지의 전환효율을 측정하고 이를 통하여 다이오드 특성을 추출할 수 있는 측정 방식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