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태아 애착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19초

태아애착에의 영향요인: 임부의 피로, 사회적지지, 태교실천 (The Contribution of Maternal-Fetal Attachment: Taegyo, Maternal Fatigue and Social Support during Pregnancy)

  • 유미;김미옥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0권4호
    • /
    • pp.247-254
    • /
    • 2014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산전 임부를 대상으로 태아애착, 태교실천, 피로 및 사회적 지지 정도를 확인하고 태아애착에의 영향 요인을 파악하는 데 있다. 방법 대상자는 월평균 분만 100건 이상의 여성전문병원에 산전관리를 위해 외래를 방문한 임부 중 임신합병증을 동반하지 않은 건강한 임부 211명이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태아애착의 차이를 비교하였으며 태아 애착을 평가하기 위한 Maternal-Fetal Attachment Scale, 태교실천은 Mun과 Choi (2002)의 도구, 피로를 측정하기 위해 Milligan 등(1997)이 개발한 Fatigue Symptom Checklist 및 Curry 등(1994)의 사회적지지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임부의 태아애착 정도는 $93.74{\pm}13.69$점(점수범위 25-125점)이었으며 산과력, 모유수유 경험 및 태교 경험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초임부, 모유수유 경험이 없는 경우, 태교 경험이 있는 경우 태아애착 정도가 유의하게 더 높았다. 임부의 태아애착은 태교실천(r=.71, p < .001), 피로(r=.15, p =.032), 사회적 지지(r=.38, p <.001)와 정적 상관관계에 있었고 태교 실천 정도는 사회적 지지 정도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r=.40, p <.001). 임부의 태아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태교실천(${\beta}=.67$), 피로(${\beta}=.21$), 사회적 지지(${\beta}=.13$) 순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55.2%였다. 결론 임부의 태아애착 증진을 위해 태교실천 및 태교실천 프로그램 효과를 입증하는 하나의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임부의 피로를 단순히 임신증상으로 인식하는 수준에서 벗어나 이를 태교실천을 통해 중재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사회적 지지를 통해 태교실천을 더욱 더 잘 실천함으로 태아애착이 증진될 수 있을 것이다.

임부의 자아존중감, 신체상 및 태아애착행위에 미치는 영향요인 (Self-Esteem, Body Image and Factors Influencing on Maternal Fetal Attachment Behavior of Pregnant Women)

  • 황란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9호
    • /
    • pp.197-206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임부의 자아존중감, 신체상 및 태아애착행위 정도를 측정하고 그 관계를 규명하며, 태아애착행위의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산전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188명의 임부를 대상으로 하여, 자료분석은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Regression Analysis를 이용하였다. 대상자의 자아존중감은 평균 $30.85{\pm}4.71$점으로, 종교 유무, 수입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신체상은 평균 $79.26{\pm}11.32$점으로, 계획된 임신 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태아애착행위는 평균 $74.09{\pm}11.62$점으로, 종교 유무, 계획된 임신 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태아애착행위는 자아존중감, 신체상과 유의한 수준의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아존중감은 신체상과는 유의한 수준의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태아애착행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신체상, 종교, 계획된 임신이었다. 독립변수들의 상대적인 영향력은 신체상, 종교, 계획된 임신 순이었다. 본 연구결과는 임부의 태아애착증진을 위한 산전교육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향후 임부의 태아애착행위증진을 위한 표준화된 간호중재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임부의 태아애착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Maternal-Fetal attachment among Pregnant Women)

  • 이승아;이성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2020-2028
    • /
    • 2015
  • 본 연구는 Mercer의 어머니되기 이론적 모델에서 제시한 태아애착행위의 영향 변수(임신스트레스, 자존감, 결혼적응도, 자아통제감, 산전우울)를 고려하여 임부의 태아애착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산전검사를 위해 산부인과와 보건소에 방문한 임부 140명을 대상으로 2014년 8월 23일에서 11월 25일에 걸쳐 자가보고식 형태의 설문조사를 하였다. 자료는 SPSS 20을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의 상관관계, 단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태아애착행위는 30세 이하 임부에서 31세 이상 임부보다 유의하게 높았고(t=2.79, p=.004), 초임부에서 경임부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F=3.27, p=.041). 태아애착행위는 임신스트레스(r=-0.22, p=.009)와 역상관관계를 보였고, 자존감(r=0.45, p<.001), 결혼적응도(r=0.42, p<.001), 자아통제감(r=0.24, p=.005)과는 정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임부의 태아애착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존감, 결혼적응도, 나이로 밝혀졌으며, 전체 모형의 26.1%를 설명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산전관리를 통해 임부의 자존감과 결혼적응도에 대한 이해 및 사정이 필요하고, 고령 임부의 태아애착행위 증진 중재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임산부의 스트레스 및 기질과 태아애착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pregnant woman's stress, temperament and maternal-fetal attachment)

  • 강수경;정미라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13-223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temperament and maternal-fetal attachment in pregnant women. The respondents in this research were 249 pregnant women who were participating in a Parent Education project. Data was collected by way of a questionnaire. A summary of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Among the pregnant women in this study, total stress level was below the average and maternal fetal attachment level was above the average. The group demonstrating high levels of stress exhibited low level of maternal-fetal attachment when compared to those with low levels stress. Pregnant woman's stress and maternal temperament demonstrat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maternal-fetal attachment.

체험중심 산전 프로그램이 초임부의 스트레스, 상태불안, 분만자신감 및 태아애착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n Experience-focused Prenatal Program on Stress, Anxiety, Childbirth Confidence, and Maternal-Fetal Attachment on Women in Their First Pregnancy)

  • 박미라;이선옥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26-137
    • /
    • 2018
  • Purpose: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n experience-focused prenatal program on stress, anxiety, childbirth confidence, and maternal-fetal attachment for women in their first pregnancy.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57 pregnant women at 32 weeks or more of a first pregnancy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x^2$ test, and Fisher's exact test using the SPSS 21.0 program.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ress, anxiety, childbirth confidence, and maternal-fetal attachment from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four-week experience-focused prenatal program can be used for women in their first pregnancy to reduce their stress and anxiety and to increase their childbirth confidence and maternal-fetal attachment.

임신기 부부의 부부관계 질과 태아애착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Quality and Parent-Fetal Attachment by Pregnant Couples)

  • 정미라;강수경;이혜진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51-61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quality and parent-fetal attachment. The sample included 395 pregnant women and 251 spouses who participated in Pregnant Education Programs. We analyzed the data which were collected by means of a questionnaire from September to November, 2011.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total marital quality level of pregnant couples was above the average and parent- fetal attachment levels were very high. Result indicated a difference in pregnant women and spouses regarding marital quality and parent-fetal attachment. The pregnant woman's marital quality and parent characteristics (planned pregnant, pregnancy period, birth order)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arent-fetal attachment. The higher effective communication and conflict resolution regarding marital quality were, the higher parent-fetal attachment was.

태담과 촉각 자극의 모-태아 상호작용 증진 프로그램이 모-태아 애착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Mother-fetus Interaction Promotion Program of Talking and Tactile Stimulation on Maternal-fetal Attachment)

  • 김정순;조결자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0권2호
    • /
    • pp.153-164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mother-fetus attachment through mother-fetus interaction promotion program of talking and tactual stimulation aimed at enhancing sensitivity of primipar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osttest design was used. Fifty primiparas (26 mothers for intervention group and 24 mothers for control group) were recruited from three general hospital and an OBGY clinic located in Gang Nung city. Data was collected from January 30th to December 20th in 2001. For the intervention group, programed education which focused on mother-fetus interaction promotion of talking and tactile stimulation in the 1st trimester. Telephone counselling was provided with interval of two weeks. For two groups, home visiting for data collection of mother-fetus attachment was conducted at 36 to 38 weeks of gestational ag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chi-square test and Fisher' Exact test to test the equivalence of two groups, and the effect of intervention program was determined with t- test. The result was as follow: The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mother-fetus attachment between two groups(t= 2.772, P= 0.0079). It indicated that intervention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mother-fetus attachment. In conclusion, this study has shown that the applied nursing intervention aimed at enhancing sensitivity of primiparas to fetus's movement promoted mother-fetus attachment.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this nursing intervention to increase maternal sensitivity to the fetus's movement should be broadly applied to primiparas, which can be beneficial for formation of mother-infant relationship, and for promotion of the social, affective, and cognitive developments of their children.

  • PDF

임부를 위한 자비명상 기반 중재의 가능성 탐색: 예비연구 (An Examination of the Possibility of Loving-Kindness and Compassion Meditation for Pregnant Women: A Preliminary Study)

  • 김민정;허정문;김완석
    • 스트레스연구
    • /
    • 제25권2호
    • /
    • pp.145-154
    • /
    • 2017
  • 임부들의 심리적 안정과 태아와의 건강한 관계는 주산기 적응에 중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신건강과 대인관계 개선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는 자비명상을 임부용으로 개발하기 위하여 탐색적 예비연구를 진행하였다. 효과성과 개선점을 파악하기 위해 4주 자비명상 프로그램 참가자(n=8)들의 스트레스, 우울, 태아애착, 마음챙김 및 자기자비를 기저선과 사후에 측정하였으며,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바탕으로 현상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는 자비명상이 임부의 심리적 안정과 태아와의 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가능성이 나타났으며, 회기구성 및 가정수련 보강방안 등의 보완점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가 임부용 자비명상 개발을 위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추후 연구들을 촉진할 것이라 기대한다.

임신기 부부의 태아 관련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The variables affecting married couples' fetus-related stress during pregnancy)

  • 강수경;박수경;정미라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1017-1028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fetus-related pregnancy stress and temperament, parenting attitude, parent-fetal attachment, and marital quality. Respondents were 285 pregnant women and their spouses who participated in Pregnant Education Programs. Data was collected by means of questionnaire.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total fetus-related pregnancy stress level of pregnant couples demonstrated a higher relationship while parent-fetal attachment level demonstrated a very significant relationshi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pouses with regard to fetus-related pregnancy stress, parenting attitude, parent-fetal attachment, and marital qu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