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탐색 범위

Search Result 654,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Behavior Control Algorithm of Swarm Robots for Space Search (공간 탐색을 위한 군집 로봇 행동 제어 알고리즘)

  • Tak, Myung-Hwan;Kim, Jin-Kyu;Joo, Young-Hoon;Shin, Sang-Keu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1894-1895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군집 로봇을 이용하여 주어진 공간을 효율적으로 탐색하기 위한 행동 제어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군집 로봇의 운동방정식을 이용하여 각 로봇의 이동 상태를 파악하고 로봇에 장착된 센서 범위를 이용하여 군집 로봇간의 이동 규칙을 계획한다. 계획된 이동 규칙은 초기의 밀집된 위치에서 로봇이 자율적으로 이동하여 로봇간의 충돌을 회피하고 최적의 거리를 유지하면서 공간을 효율적으로 탐색하기 위한 행동 제어 방법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그 응용 가능성을 증명한다.

  • PDF

FPGA Design of High-Speed Motion Estimator (고속 움직임 예측기의 FPGA 설계)

  • Lim, Jeong-Hun;Seo, Young-Ho;Choi, Hyun-Jun;Kim, Dong-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0.07a
    • /
    • pp.104-107
    • /
    • 2010
  • 본 논문은 H.264/AVC 디코더의 하드웨어 구현 시 가장 많은 시간을 소비하는 부분이 움직임 추정기를 하드웨어로 구현하였다. 움직임 추정을 함에 있어서 외부메모리 Access 량을 줄이고, SAD연산을 수행할 때 Clock의 손실 없이 계산을 하는 움직임 예측기를 제안한다. 제안한 구조는 재탐색 구간에서 이전 탐색 범위와 공통부분을 이루는 부분을 레지스터에 따로 저장해 두었다가, 재탐색시에 이전 Data를 사용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움직임 추정을 수행할 때의 SAD (Sum of absolute differences)연산 부분과 Adder-tree를 묶은 PU Array와 SAD 누적기, 선택기를 Pipelining을 통하여 Clock의 손실 없이 연속적으로 계산하는 움직임 예측기를 설계하였다. 구현한 하드웨어는 최대 446.43MHz의 주파수에서 동작할 수 있었고, 탐색영역 64${\times}$64, 참조 프레임 3, 그리고 영상크기 1920${\times}$1080 기준으로 구현한 결과 50 프레임을 처리할 수 있는 성능을 보였다.

  • PDF

Improved Constrained One-Bit Transform Using Adaptive Search Range (적응적 탐색 영역을 이용하여 개선한 제한된 1비트 변환 알고리즘)

  • Jang, Moon-Seok;Chung, Ki-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3.11a
    • /
    • pp.209-212
    • /
    • 2013
  • 본 논문에서 적응적 탐색 영역(Adaptive Search Range)을 이용하여 개선한 제한된 1비트 변환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이 변환은 전역 검색 알고리즘 (Full Search Algorithm)을 사용한다. 그러나 이것은 매우 많은 연산량과 복잡도를 가진다. 제안된 알고리즘에서는 각 블록의 탐색범위를 결정하기 위한 움직임 벡터 (Motion Vector)와 함께 제한된 1비트 변환 알고리즘의 제한된 마스크 (Constrained Mask)를 사용한다. 실험결과를 통해 제안된 알고리즘은 움직임 예측의 정확도에 대한 성능을 비슷하게 유지하면서 평균적으로 Search Point의 수를 84% 줄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

  • PDF

단계적 도면 인식을 통한 3차원 솔리드 모델의 복원

  • 이한민;한순흥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4.05a
    • /
    • pp.45-45
    • /
    • 2004
  • B-rep 기반의 솔리드 복원 기법은 비교적 복잡한 물체의 경우에도 복원이 잘 되지만, 후보면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탐색 공간 및 시간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단점이 있다. 빈번한 조합 탐색과 복잡한 기하 연산으로 인해 도면이 복잡해질수록 복원 효율성이 떨어지고, 모호성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이차 곡면을 포함하는 복잡한 물체에 대해서도 복원이 가능하므로 복원 대상 범위가 넓다고 할 수 있다. CSG 기반의 솔리드 복원 기법은 세 투영면에서 돌출 시킨 각각의 솔리드를 서로 교차시켜서 3차원 물체를 복원하는 방법으로, 복잡한 조합 탐색이나 기하 연산 작업을 하지 않게 때문에 비교적 효율적인 복원이 가능하다.(중략)

  • PDF

Experimental Study of Keyword-Based Exploratory Testing (키워드 기반 탐색적 테스트의 실험적 연구)

  • Hwang, Jun Sun;Choi, Eun Man
    • Journal of Software Engineering Society
    • /
    • v.29 no.2
    • /
    • pp.13-20
    • /
    • 2020
  • The exploratory test was introduced as a desirable test method due to its fast development cycle, but it is not actively adopted because documentation and analysis of the test range are required for application. On the other hand, keyword-based testing has been introduced as a way to save resources and facilitate maintenance, but it is difficult to plan tests in advance due to the large number of variables such as data, settings, interactions, sequence and timing. However, in keyword-based testing, you can create a test case based on keywords by presenting clear criteria and methods for creating keywords and applying the exploration testing process. In this paper, we propose a model that automates exploratory tests based on keyword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we compared the general keyword-based test(KBT) and keyword-based exploratory test(KBET), and compared with the exploratory normal test case(ETC) and keyword-based exploratory test(KBET).

A Comparison of the Search Based Testing Algorithm with Metrics (메트릭에 따른 탐색 기반 테스팅 알고리즘 비교)

  • Choi, HyunJae;Chae, HeungSeok
    • Journal of KIISE
    • /
    • v.43 no.4
    • /
    • pp.480-488
    • /
    • 2016
  • Search-Based Software Testing (SBST) is an effective technique for test data generation on large domain size. Although the performance of SBST seems to be affected by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Software Under Test (SUT), studies for the comparison of SBST techniques considering structural characteristics are rare. In addition to the comparison study for SBST, we analyzed the best algorithm with different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SUT. For the generalization of experimental results, we automatically generated 19,800 SUTs by combining four metrics, which are expected to affect the performance of SBST. According to the experiment results, Genetic algorithm showed the best performance for SUTs with high complexity and test data evaluation with count ${\leq}20,000$. On the other hand, the genetic simulated annealing and the simulated annealing showed relatively better performance for SUTs with high complexity and test data evaluation with count ${\geq}50,000$. Genetic simulated annealing, simulated annealing and hill climbing showed better performance for SUTs with low complexity.

Efficient Execution of Range $Top-\kappa$ Queries using a Hierarchical Max R-Tree (계층 최대 R-트리를 이용한 범위 상위-$\kappa$ 질의의 효율적인 수행)

  • 홍석진;이상준;이석호
    • Journal of KIISE:Databases
    • /
    • v.31 no.2
    • /
    • pp.132-139
    • /
    • 2004
  • A range $Top-\kappa$ query returns top k records in order of a measure attribute within a specified region on multi-dimensional data, and it is a powerful tool for analysis in spatial databases and data warehouse environments.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lgorithm for answering the query via selective traverse of a Hierarchical Max R-Tree(HMR-tree). It is possible to execute the query by accessing only a small part of the leaf nodes in the query region, and the query performance is nearly constant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query region. The algorithm manages the priority queue efficiently to reduce cost of handling the queue and the proposed HMR-tree can guarantee the same fan-out as the original R-tree.

신경망이론에 의한 시계열자료의 분석

  • 윤여창;허문열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v.4 no.1
    • /
    • pp.91-99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신경망이론을 이용하여 시계열자료를 분석할 때 문제가 되고 있는 초기 가중값을 선정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기존의 연구에서 학습을 위한 초기 가중값의 결정은 난수에 의존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신경망학습의 효율적인 초기값을 선택하기 위하여 제어상자를 이용한다. 그리고 학습과정에서 가중값의 변화를 추적하고 적절한 가중값의 범위를 탐색하면서 새로운 초기값을 제어상자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재설정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 PDF

기획 - Text Mining을 이용한 영문 특허텍스트 DB의 텍스트 경제성 및 피검색성을 평가하는 기법에 관한 연구

  • Kim, Hyeon-Tae
    • Patent21
    • /
    • s.89
    • /
    • pp.2-15
    • /
    • 2010
  • 본 연구보고서는 Text Mining 가법을 기반으로 영문 특허텍스트 DB를 구성하는 텍스트 (Text) 부분의 경제성 및 피검색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모델을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2차 가공된 영문 특허텍스트 DB의 성능을 일정범위 내에서 관리하는 품질관리모델의 개발 가능성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PDF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Multitree Pattern Recognition Algorithm (Multitree 형상 인식 기법의 성능 개선에 관한 연구)

  • 김태성;이정희;김성대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14 no.4
    • /
    • pp.348-359
    • /
    • 1989
  • The multitree pattern recognition algorithm proposed by [1] and [2] is modified in order to improve its performance. The basic idea of the multitree pattern classification algorithm is that the binary dceision tree used to classify an unknow pattern is constructed for each feature and that at each stage, classification rule decides whether to classify the unknown pattern or to extract the feature value according to the feature ordet. So the feature ordering needed in the calssification procedure is simple and the number of features used in the classification procedure is small compared with other classification algorithms. Thus the algorithm can be easily applied to real pattern recognition problems even when the number of features and that of the classes are very large. In this paper, the wighting factor assignment scheme in the decision procedure is modified and various classification rules are proposed by means of the weighting factor. And the branch and bound method is applied to feature subset selection and feature ordering. Several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erformance of the multitree pattern classification algorithm is improved by the proposed schem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