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탐사 인자

Search Result 245,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nalysis of Regional Potential Mapping Factors of Metal Deposits using Machine Learning (머신러닝을 이용한 광역 금속 광상 배태 잠재성 평가 인자 분석)

  • Park, Gyesoon
    • Geophysics and Geophysical Exploration
    • /
    • v.23 no.3
    • /
    • pp.149-156
    • /
    • 2020
  • The genesis of ore bodies is a very diverse and complex process, and the target depth of mineral exploration increases. These create a need for predictive mineral exploration, which may be facilitated by the advancement of machine learning and geological database. In this study, we confirm that the faults and igneous rocks distributions and magnetic data can be used as input data for potential mapping using deep neural networks. When the input data are constructed with faults, igneous rocks, and magnetic data, we can build a potential mapping model of the metal deposit that has a predictive accuracy greater than 0.9. If detailed geological and geophysical data are obtained, this approach can be applied to the potential mapping on a mine scale. In addition, we confirm that the magnetic data, which provide the distribution of the underground igneous rock, can supplement the limited information from the surface igneous rock distribution. Therefore, rather than simply integrating various data sets, it will be more important to integrate information considering the geological correlation to genesis of minerals.

Estimation Soil Moisture Using Remote Sensing: Nakdong River Hydrologic Survey (원격탐사를 이용한 토양수분 예측: 낙동강 유역조사 분석)

  • Hur, Yoo-Mi;Han, Seung-Jae;Lee, Jong-Jin;Choi, Min-H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119-121
    • /
    • 2012
  • 수문순환과정의 시공간적 거동의 해석 및 정량화는 효율적인 수자원 관리 및 계획을 위해서 반드시 선행되어야 하는 연구이다. 그러나 현재 국내의 수문순환과정을 분석하는 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특히 수문기상인자 중 토양수분은 지표와 대기에서 물과 에너지를 연결해주는 중요한 인자중 하나로 그 중요성 대두되고 있지만 관측시설의 제한과 큰 시공간 변동성을 가지고 있을 값을 추정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최근에는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선진국을 중심으로 연구되고 있는 원격탐사 기술을 도입하였다. 특히 원격탐사를 통해 산정된 Normi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 와 토양수분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NDVI는 토양수분에 직,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식생의 활동을 나타내는 인자이다. 이러한 이유로 많은 연구에서 NDVI와 토양수분과의 관계에 대해 규명해 왔으며, NDVI를 통한 토양수분의 추정 및 검증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MODIS) 에서 산정된 식생지수와 토양수분의 실측데이터를 이용하여 관측지에서의 식생지수와 토양수분의 관계를 규명한 후, 이 관계를 이용하여 관측 지역 이외의 장소의 토양수분 값을 추정 할 것이다.

  • PDF

A Selection of Atmospheric Correction Methods for Water Quality Factors Extraction from Landsat TM Image (Landsat TM 영상으로부터 수질인자 추출을 위한 대기 보정 방법의 선정)

  • Yang, In-Tae;Kim, Eung-Nam;Choi, Youn-Kwan;Kim, Uk-Nam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7 no.2 s.14
    • /
    • pp.101-110
    • /
    • 1999
  • Recently, there are a lot of studies to use a satellite image data in order to investigate a simultaneous change of a wide range area as a lake. However, in many cases of the water quality research there is one problem occured when extracting the water quality factors from the satellite image data because the atmosphere scattering exert a bad influence on a result of analysis. In this study, an attempt was made to select the relative atmospheric correction method, extract the water quality factors from the satellite image data. And also, the time-series analysis of the water quality factors was performed by using the multi-temporal image data.

  • PDF

Weighted Association Rule Discovery for Item Groups with Different Properties (상이한 특성을 갖는 아이템 그룹에 대한 가중 연관 규칙 탐사)

  • 김정자;정희택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8 no.6
    • /
    • pp.1284-1290
    • /
    • 2004
  • In market-basket analysis, weighted association rule(WAR) discovery can mine the rules which include more beneficial information by reflecting item importance for special products. However, when items are divided into more than one group and item importance for each group must be measured by different measurement or separately, we cannot directly apply traditional weighted association rule discovery. To solve this problem, we propose a novel methodology to discovery the weighted association rule in this paper In this methodology, the items should be first divided into sub-groups according to the properties of the items, and the item importance is defined or calculated only with the items enclosed to the sub-group. Our algorithm makes qualitative evaluation for network risk assessment possible by generating risk rule set for risk factor using network sorority data, and quantitative evaluation possible by calculating risk value using statistical factors such as weight applied in rule generation. And, It can be widely used for new model of more delicate analysis in market-basket database in which the data items are distinctly separated.

Optimization of spatial zoning for topographical analysis of ecological characteristics in forest (산림생태계 특성의 지형학적 분석을 위한 공간구획의 최적화)

  • Kim, Tae-Min;Choi, Hyun-Ah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8.03a
    • /
    • pp.201-206
    • /
    • 2008
  • 방위, 경사, 고도 와 같은 지형인자는 생태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대표적인 환경인자로, 생태현상을 파악 및 예측하기 위해서는 이들 지형인자의 분석이 필요하다. 또한 지형인자 분석에 앞서 이용자료의 격자크기를 결정해야한다. 본 연구는 소나무의 공간분포와 출현패턴을 생태학적으로 잘 설명하기 위한 DEM의 최적 격자크기를 제안하고, 궁극적으로는 생태적으로 중요한 최적의 공간구획방법을 찾고자하였다. 그 결과, 200m의 격자크기를 갖는 DEM은 주능선에 의해 방위를 동, 서, 남으로만 구분한 반면, 1m 격자크기의 DEM은 작은 부능선들에 의해 방위를 동, 서, 남, 북으로 구분하였다. 일정규모 이하의 격자크기에서 소나무는 모든 방위에 나타났지만, 격자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북쪽과 남쪽 사면에서의 출현빈도는 점차 감소하였다. 또한, 200m 격자크기에서의 빈도분석은 육안분석에서처럼 소나무가 주로 서쪽과 동쪽 사면에 출현한다는 것을 보였다. 능선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른 소나무 출현빈도는 60m이상의 거리를 두고 분석하였을 때, 육안분석과 같이 소나무가 능선주변에 주로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태슬모자형 변환(Tasseled Cap)을 이용한 서울시 연무지수 산출 연구

  • Jung, Gang-Ho;Kim, Cheon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0.04a
    • /
    • pp.108-113
    • /
    • 2000
  • 1991년 5월 31일, 1996년 9월 1일 그리고 1997년 6월 17일의 Landsat TM 위성화상자료를 Tasseled Cap 변환을 통하여 추출되는 4번째 특징을 연무지수농도로 사용할 수 있는가를 알아보고 또한 이렇게 산출된 연무지수를 사용하여 각 일자별 대기오염측정인자와 기상측정인자와 비교하고 서울시 각 행정구별 연무현상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동일화상내에서 연무가 있는 삼림지역과 연무가 없는 삼림지역을 표본조사하여 검정한 결과 Tasseled Cap 변환의 4번째 특징이 연무지수와 관련되어 있음을 밝혔고 기상측정 인자의 시정거리와 연무지수사이의 역상관의 경향이 있음을 확인하엿다. 대기오염측정 인자의 경우 정확한 연관성을 파악하지는 못하였는데 이는 연무현상이 대기오염 물질의 2차 생성물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각 날자에서 1991년 5월 31일과 1997년 6월 17일 서울에 연무현상이 있음을 확인하였고 대체적으로 날짜에 상관 없이 중구, 종로구, 강남구, 서초구에서 높은 연무지수를 나타내었다.

  • PDF

New separation technique of regional-residual gravity anomaly using geostatistical spatial filtering (공간필터링을 이용한 중력이상의 광역-잔여 이상 효과 분리)

  • Rim, Hyoung-Rae;Park, Yeong-Sue;Lim, Mu-Teak;Koo, Sung-Bon;Lee, Young-Chal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6a
    • /
    • pp.155-160
    • /
    • 2006
  • In this paper, we propose a spatial filtering scheme using factorial kriging, one of geostatistical filtering methodin order to separate regional and residual gravity anomaly. This scheme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regional anomalies have longer distance relation and residual anomalies have effected on smaller range. We decomposed gravity anomalies intotwo variogram models with long and short effectiveranges by means of factorial kriging. And decomposed variogram models produced the regional and residual anomalies. This algorithm was examined using by a synthetic gravity data, and applied to a real microgravity data to figure out abandoned mineshaft.

  • PDF

EOS 자료를 이용한 지구고층대기 연구

  • 최기혁;임효숙;이주희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1.03a
    • /
    • pp.91-91
    • /
    • 2001
  • 현재 진행되고 있다고 여겨지는 지구변화 (Global Change)의 연구는 환경/지구과학의 초미의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온실가스의 분출로 인한 지구 온난화 (Global Warming)는 지구환경에 부정적인 효과가 초래될 것으로 우려되는바, 여러 지구환경 인자들의 변화를 초래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가장 직접적인 인자는 대기온도이고 아울러 해수온도/해류, 바람속도/방향, 대기화학 조성, 식생분포, 구름량, 얼음분포 등이 간접적인 인자들이다. 본 연구에서는 EOS 위성군 중 고층대기 연구를 위한 UARS 위성의 HRDI 센서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HRDI는 대기성분 중 산소 $O_2$ 발광선의 도플러 변이를 측정하여 바람속도를 측정한다. 이 자료의 분석을 통하여 50~100 km 상공의 바람속도 변화를 지상에서의 OH 발광선 관측치와 비교하였다. 본 연구는 초기 연구로서 정략적이고 보편적인 결과 도출보다는 향후 연구를 위한 기반연구로서의 성격을 갖는다. 지구온난화는 대기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이는 대기 중 에너지의 증가를 불러와 필연적으로 고층대기의 교란 현상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앞으로 지구전체 대기의 풍속/풍향의 고도변화가 분석되면 지구온난화에 의한 고층대기 변화가 탐지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Factors Analysis of Landslide using GIS and Remote Sensing (GIS와 원격탐사를 이용한 산사태 영향인자 분석)

  • Kwon, Hye-Jin;Kim, Gyo-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10.06a
    • /
    • pp.231-237
    • /
    • 2010
  • 이상기후에 의한 집중호우나 태풍의 영향으로 예전에는 기록이 없었던 백두대간과 전국 국립공원의 자연사연에서 산사태가 많이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지형이 험준하고 고도가 높은 지리산의 경우, 다른 국립공원에 비해서 그 발생빈도가 높게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지리산 북쪽지역으로 경상남도 함양군 마천면과 전라북도 남원시 산내면에 걸쳐서 발생한 산사태를 중심으로 산사태를 발생시키는 영향인자를 GIS와 원격탐사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산사태 발생 지역의 지형특성을 분석하였고 산사태 발생과 산사태 발생에 영향을 끼친 인자들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 빈도비를 사용하였으며 가중치를 도출하기 위해서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 PDF

Prediction of rice growth parameters by X-band automatic scatterometer system (X-band 자동관측시스템을 이용한 벼 생육인자 추정)

  • Kim, Yi-Hyun;Hong, S.Young;Choe, Eun-Young;Lee, Hoon-Yol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9.03a
    • /
    • pp.40-45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기후 등의 영향을 받지 않고 레이더 산란 측정을 할 수 있는 X-band antenna 기반의 자동관측 시스템을 이용하여 벼 생육시기에 따른 후방산란계수와 벼 생육인자와의 관계를 분석하여 후방산란계수를 이용한 벼 생육인자를 추정한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2008년도 국립농업과학원 시험포장 ($37^{\circ}$15'28.0"N, $126^{\circ}$59'21.5"E)에서 추청벼를 대상으로 생육시기별 후방산란계수를 관측하였는데 모든 편파별 후방산란계수가 벼 유수형성기 (7월 말경)까지 증가하다가 그 후 감소하다가 수확기가 가까워지는 9월 중순이후 다시 증가하는 dual-peak 현상을 보였고 특히 W-편파의 경우 9월 초순부터 후방산란계수 증가가 다른 polarization에 비해 크게 나타났다. 후방산란계수와 작물생육인자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고주파수인 X-band는 상대적으로 바이오메스, 엽 면적지수와의 상관이 낮게 나타났지만 이삭 건물중은 VV-편파 후방산란계수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삭 건물중과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난 X-band의 W-편파 후방산란계수를 이용하여 수확기 이삭 건물중을 추정하였는데 VV-편파 후방산란계수와 이삭 건물중과는 결정계수 $(R^2)$가 0.85이었고, 이삭 건물중 실측값과 추정값을 비교해 본 결과 1:1 line에 근접하게 분포하였다 ($R^2$=0.85).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