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탐사기능

Search Result 233, Processing Time 0.02 seconds

Application Scheme of PostgreSQL-PostGIS Server Engine based on Open Source for GIS Portal Building (GIS 포털 구축을 위한 공개 소스 기반 PostgreSQL-PostGIS 서버 엔진의 응용 설계)

  • Han, Sun-Mook;Lee, Ki-Won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9.03a
    • /
    • pp.134-138
    • /
    • 2009
  • 최근 GIS 포털에 대한 수요자 요구 사항이 증가하고 있고 기존의 웹 GIS 응용 프로그램 개발 기법과의 연계와 통합이 중요한 연구 주제로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개 소스인 PostgreSQL - PostGIS를 이용하여 GIS 포털 구축을 위한 응용 설계 연구를 수행하였다. PostgreSQL를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으로 하여 공간 질의 및 분석 기능 등 GIS 기능을 연동시키는 PostGIS는 서버 GIS 엔진으로 점점 활용 가치가 증가하고 있으나 GIS 포털에서 이를 적용한 사례는 현재까지 보고된 바가 거의 없다. 본 응용 설계는 전체 시스템 설계 보다는 주로 포털에서의 인터페이스 부분을 주로 다루고자 하며 시험 구현 프로그램의 라이브러리는 PostGIS의 C Language Interface(LIBPQ)와 OGC library를 이용하여 공간 데이터에 대한 기본 기능을 구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구글, 다음, 네이버 등과 같은 일반 검색 엔진에서 경쟁적으로 제공하는 웹 맵핑 수준에서 위성영상정보와 지도정보 서비스가 보다 체계적으로 웹 GIS 기술과 연계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 PDF

Program Development and Field Application for the use of the Integration Map of Underground Spatial Information (지하공간통합지도 활용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현장 적용)

  • Kim, Sung Gil;Song, Seok Jin;Cho, Hae Yong;Heo, Hyun M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39 no.6
    • /
    • pp.483-490
    • /
    • 2021
  • Due to the recent increase in various problems from underground development in urbanized areas, accurate underground facility information management is highly needed. Therefore, in this study, in order to utilize the Integration Map of Underground Goespatial Information in real time on-site, the function of comparing the mutual location of the GPR (Ground Penetration Radar) sensing data and the Integration Map of Underground Goespatial Information, and function of analyze underground facilities, and function of converting surveying data into a shape file through position correction & attribute editing in a 3D space, and the function of submitting the shape file to the Integration Map of Underground Goespatial Information mobile center was defined and developed as a program. In addition, for the on-site application test of the development program, scenarios used at the underground facility real-time survey site and GPR exploration site were derived, and four sites in Seoul were tested to confirm that the use scenario worked properly. Through this, the on-site utilization of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could be confirmed, and it would contribute to the confirmation of the quality of Shape-file and the "update automation" of "Integration Map of Underground Goespatial Information".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e development program will be further applied to the Underground Facility Map's Accuracy Improvement Diffusion Project' promoted by the MOLIT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The Public Release System for Scientific Data from Korean Space Explorations (한국의 우주탐사 과학데이터 공개시스템)

  • Joo Hyeon Kim
    • Journal of Space Technology and Applications
    • /
    • v.3 no.4
    • /
    • pp.373-384
    • /
    • 2023
  • Initiated as Korea's inaugural space exploration endeavor, the lunar exploration development project has resulted not only the Danuri lunar orbiter but also payloads designed to achieve mission objectives and the associated Korea Pathfinder Lunar Orbiter (KPLO) Deep-space Ground System for the operation and control of the Danuri. Scientific data gathered by four scientific payloads, developed by domestic institutions and installed on board the Danuri, will be publicly available starting January 2024. To facilitate this, the first-ever Korean space exploration scientific data management and public release system, KARI Planetary Data System (KPDS), has been developed. This paper provides details on 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s of the established KPDS website.

Association Rule Discovery for Sequence Analysis (서열 분석을 위한 연관 규칙 탐사)

  • 김정자;이도헌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04b
    • /
    • pp.91-93
    • /
    • 2001
  • 최근 지놈(Genome) 프로젝트를 통해 핵산, 단백질 서열 정보가 밝혀짐에 따라 분자 수준의 유전자 정보를 다루는 기법들이 활발히 연구되면서 방대한 서열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화하고, 부족하기 위한 효과적인 도구와 컴퓨터 알고리즘의 개발을 필요로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여러 단백질에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서열 정보간에 존재하는 연관성을 탐사하기 위한 서열 연관 규칙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원자 항목을 취급하였던 기존 알고리즘과는 달리 중복을 반영해야 하는 서열 데이터의 특성을 고려하여야 한다. 실험을 단백질 서열 데이터를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먼저 여러 서열에 빈발하게 발생하는 부 서열 집합을 찾고, 부 서열 집합들간에 존재하는 관련성을 탐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탐사된 규칙으로부터 다른 단백질의 구조와 기능을 예측할 수 있고, 이 정보는 필요로 하는 생물학적 분석을 방향을 제시할 것이다. 이는 생물학적 실험 대상의 후부조합을 최소화함으로써 많은 시간과 노력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 PDF

Urban Land Use Change Detection over Daejon Metropolitan Area using Bi-temporal Landsat TM image with the Integration of GIS (원격탐사와 GIS를 이용한 대전광역시 토지이용 변화 검출)

  • Ahn, Seung-Mahn;Sin, Jin-Min;Sin, Dong-Hoon;Lee, Kyoo-Seock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11 no.4
    • /
    • pp.239-246
    • /
    • 2002
  • 지난 몇 십 년 동안 한국에서는 도시의 확장으로 인해 인구 밀집지역에서의 토지이용이 급속하게 변화되었으며, 그 결과 도시의 환경은 악화되었다. 도시화는 도시민에 필요한 녹지의 크기와 수를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서식처 파괴의 원인이 되며, 적절한 녹지의 배치 또는 배열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도시내 생태적 기능의 결핍을 초래한다. 경관변화의 증명과 분석은 토지이용변화의 환경 요소의 인과관계 파악에 중요하다. 원격탐사와 지형정보체계는 토지이용 변화의 경향과 영향을 이해할 수 있어 녹지공간변화 파악에 사용된다. 원격탐사는 동일대상지의 다른 시기에서의 영상자료를 이용해 토지이용의 경년변화를 파악하며 지형정보체계는 이를 저장, 분석에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원격탐사와 지형정보체계를 이용하여, 1989년부터 1998년 동안, 대전광역시의 토지이용 변화를 파악하며 그 원인을 살펴보는데 있다.

Image Processing of GPR Detection Data (GPR 탐사 데이터의 이미지 처리)

  • Lee, Hyun-Ho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20 no.4
    • /
    • pp.104-110
    • /
    • 2016
  • To get the empirical data of GPR detection and to develop the image prosessing program of GPR detection data, GPR detection were proceed by the underground pipes and cavities buried in the Chamber. In the case of non pavement and asphalt pavement, water filled cavity that was buried in 0.7m depth was able to detection. But in the case of 1.0 m and 1.3 m buring depth, water filled cavity was not able to detection. In the case of non-reinforced and reinforced concrete pavement, it was difficult to detect the cavity caused by signal interference. GPRiPP programs was developed for image processing of the GPR detection data. The major processing algorithm were background removal, stacking and gain function. With proper image processing of gain function and background removal in GPRiPP program, it was showed that similar results can be obtained with conventional image processing program.

Experimental Implementation of a Cableless Seismic Data Acquisition Module Using Arduino (아두이노를 활용한 무선 탄성파 자료취득 모듈 구현 실험)

  • Chanil Kim;Sangin Cho;Sukjoon Pyun
    • Geophysics and Geophysical Exploration
    • /
    • v.26 no.3
    • /
    • pp.103-113
    • /
    • 2023
  • In the oil and gas exploration market, various cableless seismic systems have been developed as an alternative to improve data acquisition efficiency. However, developing such equipment at a small scale for academic research is not available owing to highly priced commercial products. Fortunately, building and experimenting with open-source hardware enable the academic utilization of cableless seismic equipment with relatively low cost.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cableless seismic acquisition module using Arduino. A cableless seismic system requires the combination of signal sensing, simple pre-processing, and data storage in a single device. A conventional geophone is used as the sensor that detects the seismic wave signal. In addition, it is connected to an Arduino circuit that plays a role in implementing the processing and storing module for the detected signals. Three main functions are implemented in the Arduino module: preprocessing, A/D conversion, and data storage. The developed single-channel module can acquire a common receiver gather from multiple source experiments.

A Study on Developing GIS-based Marine Exploration Data Management System using XML (GIS 기반의 XML을 이용한 해양탐사 데이터 관리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 Song, Hyun-Oh;Kim, Kye-Hyun;Kim, Mu-Jun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8 no.4
    • /
    • pp.65-73
    • /
    • 2010
  • Recently, the importance of the ocean has been increasing internationally as the new source for mineral resources following the exhausted land resources that arc becoming scarce. On a long-term aspect, growth of nations by gaining competitiveness on marine resources was considered a paradigm. Because dominating the development right of marine resources came up as the main concern. South Korea has also been interested in marine resources and this is the reason why massive amounts of marine exploration data arc annually created through surveying and drilling around the Korean Peninsula. but the data has not been systematically managed very well because of its economic costs. Therefore, this research is mainly focused on systematical data managing methods. For Systematical data management. the exploration data is integrated and organized by using XML tables. This can be a systematical data management. because the methods release dependency between data and system, and it also enables to update existing data and renew the data. In the future, the constructed database from this study could definitely contribute to enhancing data management. As well, the developed system in this research can provide various spatial analysis and searching techniques to enable easier data provision of various exploration areas. Furthermore. this will be very useful to extend functions of the system and to adopt other types of DBMS. In addition, the spatial analysis and search function of location based service can be utilized through GIS. and it can support sustainable and systematic management in a long term.

A Study on the Generation of Draft Map using Kompsat-1 Satellite Image (아리랑 1호 위성영상을 이용한 도화원도 제작에 관한 연구)

  • Jeong, Soo;Kim, Youn-Soo;Lee, Ho-Nam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1.03a
    • /
    • pp.15-18
    • /
    • 2001
  • 아리랑 1호 위성은 EOC 센서를 이용하여 지도제작에 활용될 수 있는 고해상도의 입체영상을 제공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사진측량 도화장비나 대부분의 수치사진측량 시스템에서 아리랑 1호 위성영상을 이용한 도화기능이 제공되고 있지 않으므로, 아리랑 1호 위성영상을 이용한 지도제작은 정사영상에 의한 영상지도 제작으로 국한되어 이루어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상용 수치사진측량 시스템 상에서 아리랑 1호의 입체위성영상을 DLT 모델에 적용하여 입체표정을 수행한 후에 도화작업을 시범적으로 실시하였다. 또한 그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아리랑 1호 입체영상에 의한 도화원도 제작의 범위와 타당성을 분석하였다.

  • PDF

A study on settlement of neighboring relation of segmented objects based on segmentation of LIDAR point cloud utilizing scan line characteristics (스캔라인을 이용한 LIDAR 포인트 cloud 의 분리에 기반한 분리된 개체간 인접관계의 정립에 관한 연구)

  • Han, Soo-Hee;Lee, Jeong-Ho;Yu, Ki-Yun;Kim, Yong-Il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7.03a
    • /
    • pp.142-147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스캔라인을 이용한 LIDAR 포인트 cloud의 분리과정 중 분리된 포인트 군집간 인접 관계를 인식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하였다. 군집간 인접관계는,포인트 cloud 분리 과정 중에 분리된 건물 요소를 재결합하거나 지면 포인트를 인식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실험 결과 포인트 cloud 분리 과정에 군집간 인접 관계 인식 기능을 추가하더라도 처리 성능이 저하되지 않았으며 후처리를 통하여 건물 요소를 결합하여 온전한 형태의 건물 포인트 군집을 형성함과 더불어 지면 포인트 군집도 인식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