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탈질처리

Search Result 208,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나노크기 미세철입자를 이용한 지하수중의 NO3-고속탈질처리에 관한 연구

  • 최승희;장윤영;김지형;황경엽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1998.11a
    • /
    • pp.52-56
    • /
    • 1998
  • 최근 들어 국외에서는 오염된 지하수의 정화기술로써 0가 금속을 이용한 방법이 높은 잠재력을 가진 신기술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0가 금속중 나노크기(1-100nm)를 가진 0가 철입자를 이용하여 수중의 NO$_3$ ̄를 탈질처리하는 실험을 행하였다. 본 실험에서 제조한 나노크기 0가 철입자는 상온상압의 환원적 조건에서 50, 100, 200, 400mg/$\ell$의 NO$_3$ ̄와 반응하여 반응시간 30분안에 95%이상 제거되는 높은 반응성을 보여주었다. 기존의 상업용 철입자(10-100$\mu\textrm{m}$)를 이용한 NO$_3$ ̄의 제거결과에서 보여주는 다량의 철사용, 낮은 적용 오염농도, 그리고 낮은 반응속도등의 문제점에 비하여 나노크기 철 입자는 높은 오염농도범위에서도 적은 철 주입량과 짧은 반응시간 내에 매우 높은 제거효율(10-100배)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 수중의 NO$_3$ ̄의 고속 탈질반응속도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변수는 반응에 참여하는 철 입자의 비표면적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얻은 batch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NO$_3$ ̄로 오염된 지하수의 정화를 위한 현장 적용을 목표로 연속처리 공정의 설계를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PDF

A Study on Denitrification by Sulfur-Oxidizing Bacteria for the Industrial Wastewater Contain Fluoride and Nitrogen (불소.질소 함유 폐수의 황산화탈질에 관한 연구)

  • Cho, Nam-Chan;Moon, Jong-Ha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3 no.10
    • /
    • pp.774-781
    • /
    • 2011
  • Nitric acid and hydrofluoric acid are used for acid pickling in zirconium alloy tubing manufacturing process. Nitrate and fluoride in the wastewater were treated by chemical coagulation and SOD (Sulfur Oxidation Denitrification) process. This study is investigated the effect of fluoride concentration and the optimal condition for SOD process. The limited fluoride concentration for SOD process was below 20 mg F-/L. The adjusted pH and alkalinity by NaOH and $NaHCO_3$ was shown to be more effective for removal of nitrate compared with using NaOH. Furthermore, the microbial activator mixed trace elements and ingredient for alkalinity did not only supplement with alkalinity but also enhance the growth and proliferation for sulfur-oxidizing bacteria. As a result, the inorganic industrial wastewater was successfully treated by the microbial activator in SOD process without continuous addition of seed sludge. Finally, SOD process was shown to remove nitrate in industrial wastewater and to contribute the microbial activator for activation of sulfur-oxidizing bacteria.

플라즈마 동시처리 장치를 이용한 조건별 탈황$\cdot$탈질 특성

  • 심재구;박태성;장경룡;엄희문;석동찬;한영욱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1.05a
    • /
    • pp.98-99
    • /
    • 2001
  • B화력발전소 3호기의 배가스를 플라즈마를 이용한 탈황/탈질 동시처리기술에 적용하기 위하여 pilot-plant를 설치하고 실 배가스를 이용한 동시처리 실험을 시행하여 배가스 인입온도 $90^{\circ}C$에서 $NH_3$$SO_2$와 NOx에 대하여 0.65당량, $C_2$$H_4$를 NOx에 대하여 0.6 당량 주입하고 비전력량을 3~4 Whr/N㎥로 배가스에 인가하면, 탈황율 90%, 탈질율 70% 이상이 얻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Biological Denitrification Process using Sulfur for the Wastewater Containing Low BOD (저농도 BOD함유 폐수의 황(S)을 이용한 생물학적 탈질공정 개발 (SPAD 공정))

  • 광주과학기술원, 한국과학기술원;한국과학기술원;동명산업
    • Environmental engineer
    • /
    • v.19 s.186
    • /
    • pp.66-73
    • /
    • 2002
  • 우리나라 하수의 특성이 유기물 농도가 질소 농도에 비하여 매우 낮기 때문에 외국의 종속영양 탈질 공법을 그대로 적용하기가 힘들며 적용한다 할지라도 외부탄소원을 넣어야 하므로 경제적인 처리는 불가능하다. 산업폐수의 경우에 있어서도 유기물농도가 질소농도에 비하여 낮은 폐수의 경우는 값비싼 외부탄소원을 넣어주어야 한다. 따라서 폐수 특성에 맞는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질소화합물 제거 기술의 개발은 불가피하다. 따라서 종속영양탈질공정의 경제성 문제 및 기존의 황탈

  • PDF

Development of Biological Denitrification Process Using Sulfur for the Wastewater Containing Low BOD (저농도 BOD함유 폐수의 황(S)을 이용한 생물학적 탈질공정 개발 (SPAD 공정))

  • 김인수;오상은;범민수;이성택;이창수;김민수
    • Environmental engineer
    • /
    • s.183
    • /
    • pp.70-77
    • /
    • 2001
  • 우리나라 하수의 특성이 유기물 농도가 질소농도에 비하여 매우 낮기 때문에 외국의 종속영양 탈질 공법을 그대로 적용하기가 힘들며 적용한다 할지라도 외부탄소원을 넣어야 하므로 경제적인 처리는 불가능하다. 산업폐수의 경우에 있어서도 유기물농도가 질소농도에 비하여 낮은 폐수의 경우는 값비싼 외부탄소원을 넣어주어야 한다. 따라서 폐수 특성에 맞는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질소 화합물 제거 기술의 개발은 불가피하다. 따라서 종속영양탈질공정의 경제성 문제 및 기존의 황탈

  • PDF

토양컬럼을 이용한 도금공장 유출수의 고도처리

  • Jeong, Gyeong-Hun;Kim, Se-Yeong;Im, Byeong-Gap;Choe, Hyeong-Il;Park, Sang-Il;Kim, Yeong-Ju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6.11a
    • /
    • pp.377-381
    • /
    • 2006
  • 실험실 규모의 토양컬럼을 사용하여 도금폐수처리장의 유출수를 대상으로 처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유입수 $NH_4-N$의 대부분은 질산화 토양컬럼에서 질산화 되었으며 HRT가 단축되면 제거율이 낮아졌다. 2) 질산화 토양컬럼에서 생성된 $NO_3-N$은 탈질 토양컬럼에서 탄소원이 없으면 탈질이 이루어지지 않지만 탄소원으로 메탄올을 주입하면 대부분의 $NO_3-N$는 탈질되었다. 3) 탈질 토양컬럼에서 HRT 72시간일때 T-N 제거율은 81.5%이었고 HRT 48시간일 때는 77.8%이었다. 4) 유입수 평균 T-P농도는 13.06 mg/L이고 탈질 토양컬럼에서의 유출수 평균 T-P는 0.83 mg/L로 제거율은 96.83% 이었다. 5) 실험기간 동안의 COD변화는 탄소원으로 메탄올 주입했 때와 HRT 변화시를 제외하고는 25 mg/L이하로 처리되었으며, 질산화 토양컬럼에는 폐굴껍질을 충진한 결과 $NO_3-N$의 생성에도 불구하고 pH 8.5정도를 유지할 수 있었다.

  • PDF

Study for biological denitrification of high strength nitrogen industrial wastewater (고농도 질소 함유 폐수의 생물학적 탈질에 관한 연구)

  • Han, Hyung-Suk;Won, Ki-Yeon;Song, Jin-Ho;Lee, Eun-Sil;Kim, Ho;Choi, Cha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51-251
    • /
    • 2011
  • 해양 투기가 금지되면서 혐기소화를 통해 최종적으로 발생되는 폐기물 양을 줄이고 메탄 등의 바이오 가스를 얻어 이를 에너지로 얻기 위한 많은 공정들이 현장에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혐기 소화 과정을 마친 후 유출되는 유출액은 고농도의 유기물질 및 암모니아성 질소, 인산염 등을 다량으로 함유하고 있어 적은 양이라도 하천이나 호수 등에 유입되면 수질 악화와 부영양화를 초래할 위험성이 크다. 이번 연구에서는 음식물류 폐기물로부터 바이오가스를 생산하기 위한 혐기소화 공정에서 발생하는 유출액의 방류수 수질기준 확보와 경제성을 만족시킬 수 있는 처리공정의 상용화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생물학적 처리, 물리 화학적 처리를 통합한 공정을 적용하였다. P건설사 혐기소화 유출액 pilot plant(1 ton/day) 운전 결과 50~70% 로 $NO_2$-N 이 약 1,000 mg/$\ell$정도로 축적되는 현상을 보였으며 상대적으로 $COD_{Cr}$의 농도는 400~600 mg/$\ell$로 C/N 비가 낮아 탈질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에 실험실 규모에서의 실험을 진행하였다. $NO_2$-N와 $NO_3$-N을 기준으로 McCarty 양론비 기준 80% 에서 300%까지 메탄올을 주입해 제조 폐수와 실제폐수로 실험을 진행하였고 제조폐수로 실행된 실험에서 아질산 탈질의 효율을 확인하였다. 미생물이 메탄올에 순응 후 완전 탈질에 걸리는 시간은 약 2.5 일로 확인 되었으며 메탄올이 추가로 주입되지 않은 반응조의 $NO_2$-N의 탈질량은 메탄올이 이론값 100% 주입 된 반응조에 비해 30% 이하의 처리 효율을 나타냈다. 이론값을 기준으로 메탄올이 100% 주입된 반응조는 약 96.1%의 탈질 효율을 보였으며 메탄올 순응 후에 약 1.5 일의 HRT가 단축되었기 때문에 메탄올에 장시간 순응 시 탈질 효율이 더 좋아질 것으로 보인다. 아질산탈질에 대한 실험실 규모 연구결과를 토대로 pilot plant에서 재현성 검토를 목적으로 운전을 수행하였다. 무산소조의 HRT는 2.7 일 이었으며 호기조의 HRT는 4.1 일 이었다. 유입수의 평균 $COD_{Cr}$ 농도는 2,878 mg/L, T - N 농도는 2,723 mg/L로 나타났으며 $NO_2$-N 기준 C/N비 1.2-1.8의 메탄올을 주입하였을 때 96% 이상의 탈질율을 보였다.

  • PDF

Removal of Nitrogen Using by SOD Process in the Industrial Wastewater Containing Fluoride and Nitrogen from the Zirconium Aolly Tubing Production Factory of the Nuclear Industry (원자력산업 지르코늄합금 튜브 생산공장에서 배출되는 불소.질소 함유 폐수의 황산화탈질을 이용한 질소처리)

  • Cho, Nam-Chan;Moon, Jong-Han;Ku, Sang-Hyun;Noh, Jae-So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3 no.11
    • /
    • pp.855-859
    • /
    • 2011
  • The main pollutants from zirconium alloy tubing manufacturing process in nuclear industry are nitrate ($NO_3-N$) and fluoride (F-)Nitric acid, and hydrofluoric acid is used for acid pickling. The process for the removal of nitrate and fluoride is composed of 1st chemical coagulation, SOD (Sulfur Oxidation Denitrification) process using sulfur-oxidizing denitrification, and 2nd chemical coagulation. The characteristic of the wastewater treatment is an application of SOD process. The SOD Process is highly received attention because it i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existing processes for sulfur denitrification. A JSC (JeonTech-Sulfur- Calcium) Pellet is unification of sulfur and alkalinity material. According to result of SOD process in wastewater treatment plant, the removal efficiency of T-N was over 91% and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T-N from influent was 147.55 mg T-N/L and that from effluent was 12.72 mg T-N/L. Therefore, SOD process is a useful to remove nitrogen from inorganic industrial wastewater and a new development of microbial activator was shown to be stable for activation of autotrophic bacteria.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Denitrification Bacteria (탈질 세균의 분리 및 특성)

  • 차월석;최형일;이동병;차진명
    • KSBB Journal
    • /
    • v.18 no.6
    • /
    • pp.461-465
    • /
    • 2003
  • Five denitrifying bacteria, which were identified as Pseudomonas sp., were isolated by the enrichment culture technique. The most effective denitrifying bacterium was named as Pseudomonas DWS, which was cultivated at anoxic condition. The optimal growth temperature and pH were 30$^{\circ}C$ and 7-8, respectively. Cell growth almost revealed a stationary phase at 18 hours after cultivation and nitrate was degrade 99.9% during this period.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Pseudomonas DWS could be effectively used for the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water containing nitrogen compounds.

A Study on the Denitrification Characteristics of Permeabilized Paracoccus denitrificans (Permeabilized Paracoccus denitrificans의 탈질 특성연구)

  • 송주영;황심연;김덕술
    • KSBB Journal
    • /
    • v.16 no.3
    • /
    • pp.290-294
    • /
    • 2001
  • The removal of nitrogen compounds from waste water is essential and is often accomplished by biological process. The denitrifying bacterium, Paracoccus denitrificans (KCTC 2530), was employed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and the denitrification differences of Permeabilized strains and untreated strains. The permeabilization rate increased with increasing toluene concentration, but some part of the toluene contributed to denaturing the datachment of proteins from the plasma membrane. Permeabilized Paracoccus denitrificans had long lag phase and high specific growth rate in cultivation, and showed excellent denitrification characteristic compared with untreated strains. But, in both cases, the denitrification ability was significantly reduced after 4 or 5 denitrifications. It seems that the strains fall into the death phase when the nutrient was exhausted. When the nutrient recovered to its initial level, the denitrification ability also recovered to the normal level. The results obtained were encouraging enough to apply to practical water treatment situ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