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탄소

Search Result 11,833,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The Calculation of Carbon Footprint Embodied in International Trade: A Multi-Regional Input-Output Analysis (국제무역에 함유된 탄소이력(carbon footprint)의 측정과 분석: MRIO모형의 응용)

  • Shin, Dong Cheon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22 no.1
    • /
    • pp.31-52
    • /
    • 2013
  • The recent analyses of carbon emissions embodied in international trade are related with discussions on who is responsible for the carbon emissions causing global warming. Some authors insist that the countries importing carbon-intensive goods should share the responsibility with the suppliers of those goods. In order to determine which countries are net importers of carbon dioxide embodied in traded goods, we need to construct the multi-regional input-output (MRIO) model incorporating national input-output tables and data on bilateral trades. The paper calculates consumption-based as well as production-based inventories by using MRIO model whose global database is GTAP version 8 to get the picture of carbon footprints in international trades of Korea and other regions in the world.

2050 Carbon-neutrality scenario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in domestic building sector (2050년 국내 건물 부문의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탄소중립 시나리오 연구)

  • Jiwoo Choi;Hakgeun Jeong;Hyungjun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396-396
    • /
    • 2023
  • 기후 위기에 대한 대응으로 현재 많은 국가에서 2050년 탄소중립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선언하고 다양한 부문의 배출 절감 계획을 내세웠다. 현재 건물 부문에서는 2050년의 목표배출량을 6.2 백만톤 CO2eq으로 설정하고 관련 정책적 수단을 검토 중이지만 달성 방안 등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건물 부문의 이산화탄소의 배출량 산정 모델을 개발하여, 2050년까지 이산화탄소 배출 저감 시나리오를 시뮬레이션하였다. 이를 토대로 국내의 건물 부문 탄소중립 가능성을 검토한 통합 시나리오를 제시하고, 향후 정책 및 기술 개발의 방향성을 제시한다. 탄소배출량 산정모델은 연면적 예측 및 사용 에너지의 원단위 환산, 탄소배출계수 등을 고려해 개발하였고, 이를 활용하여 4가지 탄소배출 시나리오를 분석하였다. 먼저 현재 정책 기반 탄소 배출 시나리오는 탄소중립에 이르지 못하여 더 강화된 시나리오의 필요성을 보여준다. 신규 건물을 대상으로 한 제로 에너지화 제도 기반 시나리오는 전체 탄소배출량에 큰 기여를 하지 못하며, 기존 건물 대상의 그린 리모델링 제도 기반 시나리오에서는 10년 이상 건물에 50% 이상의 높은 에너지 효율 개선을 시행해야 한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또한 전기화 시나리오에서는 화석연료와 전력의 탄소배출계수를 비교하여 적절한 에너지 전환 시점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 건물 부문에서 2050년까지 탄소배출량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신축 건물의 에너지 자립율 100%, 에너지 전환 계획과 연동한 건물의 전기화, 그리고 그린리모델링을 통한 효율 개선 기준을 47% 이상 달성하는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는 결과를 얻었다. 이 연구는 도전적인 온실가스 감축 마련의 필요성을 제시하였으며, 탄소중립 가능성을 제시하여 실질적인 감축정책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Estimation of changes in watershed soil organic carbon using APEX model (APEX 모델을 활용한 유역토양유기탄소 변화량 산정)

  • Choo, Inkyo;Seong, Yeonjeong;Choi, Doohoung;Lee, Jun-Hwa;Jung, You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82-82
    • /
    • 2022
  • 최근 지구온난화로 인한 전 세계적 기후변화가 일어나고 있으며, 이러한 지구온난화 방지 대책으로 탄소의 중요성과 탄소중립을 선언하는 국가가 증가하고 있다. 탄소의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유역 내의 탄소 중립이 중요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유역 내 탄소 저장원으로는 숲, 하천, 토양 등이 존재하나 하천의 경우 탄소의 저장이 곧 수질 오염과 연결이 되기에 바람직한 방안이 될 수 없다. 그러나 토양의 경우 방대한 양의 탄소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능을 하기에 다른 저장원들에 비해 중요한 저장원으로 대두되고 있다. 토양탄소의 경우 일반적으로 유기물과 무기물의 형태로 토양에 저장된다. 이중 토양유기탄소는 장기간 토양 속에서 대기와의 탄소 조절 역할을 하기에 중요 요인으로 대두되고 있다. 하지만 기후변화로 인한 국지성 호우 및 무분별한 개발 등이 증가함에 따라 유역 내 토양 생태계의 변화가 일어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유역 내 토양유기탄소 또한 손실이 일어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토양의 특성과 모델을 활용하여 유역단위 토양유기탄소량의 변화량을 산정하여 비교 및 분석을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토양유기탄소의 모의가 가능한 APEX 모델을 활용하였으며, 선정된 연구 대상 지역의 토양 특성 자료를 활용하여 입력자료 전처리를 진행 후 모의를 진행하였다. 이후 선행연구 및 보고서를 통한 실측자료를 기반으로 모델 매개변수 보정을 진행하였으며, 보정된 결과를 통해 유역에 대한 토양유기탄소를 산정을 진행하였고 기간별 변화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해당 연구를 통해 유역 내 잠재되어있는 토양유기탄소량 정량화 등의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Growth of Carbon Nanotube by Chemical Vapor Deposition (화학기상증착법에 의한 탄소 나노튜브의 성장)

  • 은광용;이광렬;백영준;이재갑;정민재;박종완
    • Proceedings of the Korean Powder Metallurgy Institute Conference
    • /
    • 2001.04a
    • /
    • pp.34-34
    • /
    • 2001
  • 열CVD법에 의하여 아세틸렌 가스를 탄소 원으로 사용한 탄소 나노튜브의 성장거동을 조사하였다. 닉켈 분말의 직경을 15nm 내지 90nm 범위로 조정하여 기판 에 촉매로 배열하였다. 탄소 나노튜브는 질소, 수소, 알곤, 암모니아 등 여러가지의 가스 분위기에서 증착되었으며 이들 가스의 혼합 분위기가 탄소나 노튜브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증착은 대기압 압력하에서 85$0^{\circ}C$ 의 온도에서 이루어졌다. 순수한 질소 분위기에서는 탄소 나노튜브의 성장이 이루어지지 않고 두꺼운 탄소 층이 기판 위에 중착되었다. 이 조건에서는 탄소로 뒤덮혀진 닉켈 입자가 탄소 나노튜브 형성의 촉매 역할을 담당하지 못했다. 그러나 질소와 수소의 혼합분위기에서는 수소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탄소 나노튜브의 성장이 증진되었다. 순수한 수소 분위기에서는 일정한 방향이 없이 꼬여진 탄소 나노튜브가 성장되었다. 탄소 나노튜브의 성장은 분위기 가스로 암모니아를 사용하였을 때 훨씬 더 증진되었다. 수직으로 배열된 탄소 나노튜료를 암모니아 분위기에서는 성장시킬 수 있었으나 암모니아와 같은 비율의 수소와 질소 가스의 혼합 분위기 하에서 는 탄소 나노튜브의 성장을 얻을 수 없었다. 이러한 결과를 여기에서는 닉켈 촉매의 표면에 과도하게 석출된 탄소의 촉매 passivation으로 설명하였다. 탄소 나노튜브의 증착을 위해서는 아세틸렌 가스의 분해율이 너무 과도하지 않게 즉 촉매의 표면이 과도한 탄소의 증착으로 수동태화 되지않도록 조절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연구결과는 분위기 가스의 조성이 탄소 나노튜브의 성장에 있어서 그 반웅 kinetics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잘 보여주고 있다. 또한 암모니아 분위기에서는 촉매 닉켈입자 표면에 질화물층이 형성되어 탄소 나노튜브의 성장에 영향을 미쳤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며 실제 가공업체에서도 터짐 문제가 발견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표면층의 인장강도가 패션/구부림에 가장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며 어떠 한 형태로 표면층의 인장강도를 향상시킬 경우 침엽수 펄프는 재생펄프로 대체가 가능 할 것으로 판단된다.하는 통계기법 중의 하나인 주성분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성분 분석은 여러 개의 반응변수에 대하여 얻어진 다변량 자료의 다차원적인 변 수들을 축소, 요약하는 차원의 단순화와 더불어 서로 상관되어있는 반응변수들 상호간 의 복잡한 구조를 분석하는 기법이다. 본 발표에서는 공정 자료를 활용하여 인공신경망 과 주성분분석을 통해 공정 트러블의 발생에 영향 하는 인자들을 보다 현실적으로 추 정하고, 그 대책을 모색함으로써 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소개하고자 한다.금 빛 용사 둥과 같은 표면처리를 할 경우임의 소재 표면에 도금 및 용 사에 용이한 재료를 오버레이용접시킨 후 표면처리를 함으로써 보다 고품질의 표면층을 얻기위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국내, 외의 오버레이 용접기술의 적용현황 및 대표적인 적용사례, 오버레이 용접기술 및 용접재료의 개발현황 둥을 중심으로 살펴봄으로서 아직 국내에서는 널리 알려지지 않은 본 기 술의 활용을 넓이고자 한다. within minimum time from beginning of the shutdown.및 12.36%, $101{\sim}200$일의 경우 12.78% 및 12.44%, 201일 이상의 경우 13.17% 및 11.30%로 201일 이상의 유기의 경우에만 대조구와 삭제 구간에 유의적인(p<0.05) 차이를 나타내었다.는 담수(淡水)에서 10%o의 해수(海水)로 이주된지 14일(日) 이후에 신장(腎臟)에서 수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30%o의 해수(海水)에 적응(適應)된 틸라피아의 평균 신사구체(腎絲球體)의 면적은 담수(淡水)에

  • PDF

Application of Unburned Carbon Produced from Seochun Power Plant (서천화력발전소 매립 석탄재에서 분리한 미연탄소의 재활용 방안)

  • Lee, Sujeong;Cho, Seho;Lee, Young-Seak;An, Eung-Mo;Cho, Sung-Baek
    • Resources Recycling
    • /
    • v.23 no.1
    • /
    • pp.40-47
    • /
    • 2014
  • Feasibility of utilizing unburned carbon residue in coal ash as a potential precursor for the production of activated carbon was assessed to seek for solution to recycle unburned carbon residue. The unburned carbon concentrate generated from the 4 stages of cleaner flotation has a grade of 87% carbon. The crystalline impurities in the concentrate included quartz and mullite. Unburned carbon had a low specific surface area of $10m^2/g$, which might be related to a high degree of coalification of domestic anthracite coal. Carbon particles were mostly porous and have a turbostratic structure. When 1g of carbon was activated with 6g of KOH powder, the highest specific surface area value of $670m^2/g$ was achieved. Low wettability of unburned carbon particles, which was resulted from high temperature combustion in a boiler, might cause poor pore formation when they were activated by KOH solution. The activated carbon produced in this study developed micropores, with an equivalent quality of general-purpose activated carbon made from coal. Hence, it is concluded that chemically treated unburned carbon can be used for water purification or an alternative to carbon black as it is.

Mechanical Properties of Carbon Fiber/Si/SiC and Carbon Fiber/C/SiC Composites (탄소섬유/Si/SiC 및 탄소섬유/탄소/SiC 복합재의 기계적 물성)

  • 신동우;박삼식;김경도;오세민
    • Composites Research
    • /
    • v.12 no.3
    • /
    • pp.8-16
    • /
    • 1999
  • Carbon woven fabric/C/SiC composites were fabricated by multiple impregnations of carbon woven fabric/carbon preform with the polymer precursor of SiC, i.e., polycarbosilane. In addition, two kinds of low density carbon/carbon preforms which had different fiber volume fraction and fiber orientation, i.e., a carbon woven fabric(${\thickapprox}$55 vol%)/carbon and a chopped carbon fiber${\thickapprox}$40 vol%)/carbon composites, were reaction-bonded with a silicon melt at 1$700^{\circ}C$ in a vacuum to fabricate dense carbon fiber/Si/SiC composites. The reaction-bonding process increased the density to ~2.1 g/$cm^3$ from 1.6 g/$cm^3$ and 1.15 g/$cm^3$ of a carbon woven and a chopped carbon preforms, respectively. All of the composites fractured with extensive fiber pull-out. The higher the density the higher the stiffness and proportional limit stress. The mechanical properties obtained from a three-point bend and tension tests were compared. The ratios of the peak tensile stresses to the bending strengths of a carbon woven and a chopped carbon composites were about one-third, respectively. The carbon woven fabric/Si/SiC composites with density of 2.06 g/$cm^3$ showed ~120 MPa of ultimate strength and ~80 MPa of proportional limit in bend testing.

  • PDF

Soil Organic Carbon Determination for Calcareous Soils (석회암 유래 토양의 토양유기탄소 분석법 연구)

  • Jung, Won-Kyo;Kim, Yoo-Hak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39 no.6
    • /
    • pp.396-402
    • /
    • 2006
  • Soil organic carbon has long been considered as the most critical factor to evaluate the soil quality, fertility, and fertilizer prescription. In addition, soil organic carbon may impact on greenhouse gas effects and global warming. Because of that, the management of soil organic carbon is increasingly important not only for improving soil quality but also for managing soil as a greenhouse gas source. Both wet and dry combustion have been used to determine soil organic carbon. Many benefits, such as automation and less labor, could the dry combustion method become more popular. Inorganic form of carbon could overestimate soil organic carbon when the dry combustion method was applied. Determination of soil inorganic carbon may contribute to the improved accuracy of soil organic carbon analysis using dry combustion method. Objectives of this research were 1) to develop soil inorganic carbon determination method using modified digital pressure calcimeter and 2) to evaluate soil organic carbon from calcareous soils using the dry and wet combustion method. Results showed that the significant linear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soil inorganic carbon content and pressure calcimeter output. Inorganic carbon ranged from 22% to 28% of total carbon in the calcareous soil samples. Soil organic carbon content by dry combustion for calcareous soil was determined by subtracting inorganic carbon measured by the digital pressure calcimeter from total carbon. Soil organic carbon determined by dry combustion method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at by wet combustion method. In conclusion, the digital pressure calcimeter may use to improve soil organic carbon determination for the calcareous soils by subtracting of soil inorganic carbon from total carbon determined by dry combustion method.

Hot Issue - ISO 14000s와 탄소성적표지

  • (사)한국포장협회
    • The monthly packaging world
    • /
    • s.268
    • /
    • pp.104-113
    • /
    • 2015
  •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이 2015년 탄소성적표지 주 개정사항을 비롯해 탄소성적표지 인증, 인증 업무 등에 관한 규정을 담은 탄소성적표지 인증안내서를 발행했다. 본 고에서는 ISO 14000s와 탄소성적표지와 관련해 표준규격, 전과정관련 표준규격 등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 PDF

The Analysis of Carbon Emission Efficiency and Affecting Factors in China (중국의 지역별 탄소배출 효율성 추정 및 영향요인 분석)

  • Pan, Chi;Min, Dongki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26 no.2
    • /
    • pp.205-227
    • /
    • 2017
  • Today, the global environment has so many serious problems such as global warming, ecological destruction and air pollution. Now China is the second largest carbon emissions country in the world. In this paper, we estimated the ratio of GDP per unit of carbon emissions for each of 30 provinces in China, and then also estimated the carbon emission efficiency of 30 provinces and analyzed the factors that affecting them. There are differences in carbon emission efficiency among different provinces, and carbon emission efficiency is relatively high in Hainan Province, Beijing, and Tianjin. In the regression results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carbon emission efficiency, when the proportion of service industries is higher, the efficiency is higher. Also, when the higher the proportion of heavy industry and the higher the proportion of coal consumption are estimated to be worse.

Preparation and Characteristic of Carbon/Carbon Composites with Coal-tar and Petroleum Binder Pitches (석탄계 및 석유계 피치가 함침된 탄소/탄소 복합재료 제조 및 특성)

  • Yang, Jae-Yeon;Park, Sang-Hee;Park, Soo-Jin;Seo, Min-Kang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 /
    • v.26 no.4
    • /
    • pp.406-412
    • /
    • 2015
  • Unidirectional carbon/carbon (C/C) composites were manufactured using phenolic resins as a precursor of the carbonized matrix throughout a one-step manufacturing process. Also, molybdenum oxide ($MoO_3$) and binder pitches were impregnated with phenolic resins to improve the bulk density and mechanical property of the C/C composites. In this study, the influence of $MoO_3$ and binder pitches on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C/C composites were investigated by measuring flexural strength (${\sigma}_f$) and interlaminar shear strength (ILSS). The results show that the enhancement of interfacial adhesions between the fibers and matrix resins of the C/C composites with $MoO_3$ and binder pitches which led to the improvement of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C/C composites. This indicates that the presence of $MoO_3$ and binder pitches in C/C composites can develop the graphite structure and increase the bulk den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