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탄소섬유판

검색결과 177건 처리시간 0.022초

성능향상된 교량 바닥판의 확률론적 해석 및 수명연장 분석 (Analysis of Probability and Extended Life Cycle of Strengthened Bridge Deck)

  • 심종성;오홍섭;최장환;김언경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5권5호
    • /
    • pp.635-642
    • /
    • 2003
  • 최근들어 노후화된 교량의 증가에 따라 바닥판의 보강효과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대부분의 연구는 실험실 수준에 국한되어 있으며, 구조물의 피로거동은 이동하중이 아닌 고정반복하중에 의한 연구가 집중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동하중의 영향을 반영하기 위하여 국내에서 실측된 축하중으로 활하중 모델을 제시하였다. 확률론적 해석과 신뢰성 해석을 적용하여 탄소섬유쉬트와 격자형 탄소섬유로 성능향상된 바닥판의 보강효과 및 연장수명을 예측한 결과 성능향상 된 설계 2등급의 교량바닥판은 일반적인 증가 차량하중에 대하여 사용기간동안 충분한 내하력뿐만 아니라 충분한 피로거항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CFRP판으로 보강된 RC 보의 구조거동 해석모델 개발 (Development of the Nonlinear Analysis Model on Flexural Behavior of Reinforced Concrete Beams Strengthened with Prestressed Carbon Fiber-Reinforced Polymer Plates)

  • 우상균;남진원;김장호;변근주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2권4호
    • /
    • pp.87-97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CFRP판을 다양한 방법으로 보강한 RC보의 휨거동을 실험적으로 비교 분석하고, 프리스트레싱을 도입하여 보강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성능개선 효과와 구조거동을 예측할 수 있는 해석모델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프리스트레싱이 도입된 CFRP판의 부착 및 휨거동 특성을 분석하고, CFRP 및 Epoxy 수지의 거동특성을 규명하였다. 또한 CFRP판의 보강방법과 프리스트레싱 수준 등을 실험변수로 설정하여 콘크리트 보의 휨실험을 수행하고, 개발된 해석모델의 결과와 비교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본 해석기법은 충분한 신뢰도를 가지고 있으므로 CFRP를 사용한 보강설계에 효과적으로 적용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탄소섬유쉬트 보강 콘크리트용 무기계 폴리머 접착제의 내화 및 구조성능 (Structural Performance and Fire Resistance Capacity of Inorganic Polymer Composites for Carbon Sheets Exposed to High Temperature)

  • 정란;박현수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109-115
    • /
    • 1998
  •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이 과소설계되어 있거나 과다 하중이 작용하게 되면 그 구조물의 구조성능을 파악하여 보수.보강을 시행하게 된다. 최근에 가장 맣이 사용되는 보수.보강 재료로는 특히 휨내력을 보강하는데 탄소섬유를 들 수 있다. 탄소섬유쉬트는 내열성과 내호염성에 있어서 회재가 발생할 경우 보강재료로서 충분한 성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를 접착시키는데 사용되는 에폭시는 유기계 물질로서 화재시 유독가스가 발생하고 내열성능도 30$0^{\circ}C$정도에도 지탱하기 어려워 화재 발생이 가능한 구조물에 사용하기 어렵다. 이 연구에서는 무기계 폴리머 복합재료로 접착된 탄소섬유를 고온(약 800~100$0^{\circ}C$, 1시간)으로 가열한 후 가열된 섬유판의 인장, 휨 전단내력을 검토하여 내열성능을 파악하고 이 섬유쉬트로 보강한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휨 성능을 실험적으로 규명하여 화재의 위험이 있는 구조물에 구조적인 보강재료로 사용이 가능한가를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개발된 무기계 폴리머 복합체는 인장강도, 휨강도 및 접착강도가 유기계 접착제와 유사하게 나타났고 800~100$0^{\circ}C$ 정도로 1시간 가열한 이후에도 상온 시험체 휨내력과 전단내력의 63%, 33% 정도를 유지하여 화재의 위험이 있는 부위에도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바나듐 레독스 흐름 전지용 복합재료 분리판 개발 (Development of Composite Bipolar Plate for Vanadium Redox Flow Battery)

  • 임준우
    • Composites Research
    • /
    • 제34권3호
    • /
    • pp.148-154
    • /
    • 2021
  • 탄소/에폭시 복합재료 분리판(BP)은 높은 기계적 특성과 생산성으로 인해 바나듐 레독스 흐름전지(VRFB)의 기존 흑연 분리판을 대체할 가능성이 있는 BP이다. 다기능 구조인 탄소/에폭시 복합재료 BP는 계면접촉저항(ICR)을 줄이기 위해 흑연 코팅 또는 추가 표면 처리가 필요하다. 그러나 팽창 흑연 코팅은 VRFB 작동 조건에서 낮은 내구성을 가지며 별도의 표면 처리는 추가 비용이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폴리에스테르 직물을 적용하여 탄소/에폭시 복합재료 BP 표면의 잉여 수지층을 균일하게 제거하여 탄소섬유를 노출시키는 잉여 수지 흡수법을 개발하였다. 이 방법은 BP 표면에 탄소섬유를 노출하여 ICR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탄소 펠트 전극을 효과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고유한 도랑 패턴을 형성한다. 잉여 수지 흡수법에 의해 제작된 복합재료 BP의 산성 환경 내구성, 기계적 특성 및 기체 투과도에 대해 실험적으로 검증하였다.

원공을 갖는 복합적층판 및 혼합적층판의 좌굴 및 진동해석 (Buckling and Vibration Analysis of Laminated Composite Plate and Hybrid Composite Plate with a Hole.)

  • 구경민;홍도관;김동영;안찬우;한근조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812-815
    • /
    • 2002
  • This paper deals with the buckling and vibration analysis of plate with a hole. We knew that in this paper, as aspect ratio rises in design parameter, the buckling strength and the natural frequency of laminated composite plate decrease and as diameter of hole for width of plate rises, the buckling strength decrease but the natural frequency increase. Also this paper compared the CFRP laminated composit plate with the hybrid composite plate, and proposed that the hybrid composite plate is stronger than the CFRP composite plate.

  • PDF

성능향상된 RC 바닥판의 계면파괴 해석 (Theoretical Analysis of Interface Debonding on the Strengthened RC Bridge Decks)

  • 오홍섭;심종성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4권5호
    • /
    • pp.668-676
    • /
    • 2002
  • 바닥판은 주형 또는 하부구조 등에 비하여 손상이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탄소섬유쉬트와 같은 섬유보강재를 사용하여 손상된 바닥판의 내하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성능향상 공법의 적용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섬유보강재와 콘크리트사이의 계면을 에폭시를 사용하여 일체화시키는 외부착공법의 특성상 하중위치 및 보강방법 등에 따라 보강재가 조기에 박리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이방향 균열의 성장에 의하여 손상이 진행되는 바닥판의 경우에는 보강된 보 구조물에서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단부박리현상보다는 균열폭의 증가에 의하여 발생하는 계면박리 현상이 많이 발생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성능향상된 바닥판의 계면박리를 해석하기 위하여 균열폭과 부착응력의 관계로부터 계면박리가 발생하는 임계부착응력과 임계 균열을 산정할 수 있는 이론적인 해석식을 제안하였다. 또한 보강된 바닥판 시험체에 대한 정적 시험결과와의 비교를 통하여 제안식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표면처리 탄소섬유가 PEMFC용 탄소/에폭시 복합재료 분리판의 기계적 강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urface-Modified Carbon Fiber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Carbon/Epoxy Composite for Bipolar Plate of PEMFC)

  • 이홍기;한경식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31권1호
    • /
    • pp.49-56
    • /
    • 2020
  • Epoxy/carbon composite was used to prepare a bipolar plate for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PEMFC). Phenol novolac-type epoxy and diglycidyl ether of bisphenol A (DGEBA)-type epoxy mixture was used as a matrix and graphite powder, carbon fiber (CF) and graphite fiber (GF) were used as carbon materials. In order to improve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bipolar plate, surface-modified CF was incorporated into the epoxy/carbon composite. To determine the cure temperature of the epoxy mixture,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analysis was performed and the data were introduced to Kissinger equation in order to get reaction activation energy and pre-exponential factor. Tensile and flexural strength was obtained by using universal testing machine (UTM). The surface morphology of the fractured specimen and the interfacial morphology between epoxy matrix and CF or GF were observed by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탄소섬유복합재료의 충격 손상에 따른 파괴 인성과 AE 특성 (Fracture Toughness and AE Behavior of Impact-Damaged CFRP)

  • 이상국;남기우;오세규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81-88
    • /
    • 1997
  • 탄소섬유강화복합재료(CFRP) 적층판에 비교적 낮은 에너지의 충격을 주어, 충격에 의해서 손상된 적층판을 사용하여 인장강도, 파괴 인성 및 AE 신호 특성에 미치는 충격 손상의 영향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충격손상재의 인장강도, 파괴 인성 및 AE-event count는 충격 속도와 박리 면적의 증가에 따라서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충격시험시에 발생한 박리 면적은 충격 속도와 비례하였다. 또한 적층 방법에 따른 손상재의 강도비와 파괴 인성비가 달라짐이 확인되어 복합재료의 내충격 설계시 손상량과 손상재의 파괴 인성 및 강도에 대한 정량적 평가를 AE 신호로부터 해석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 PDF

부직포를 삽입한 탄소섬유강화 복합적층판의 인장특성 평가 (Evaluation of Tensile Properties of Carbon Fiber Reinforced Composite Laminates with Non-Woven Carbon Mat)

  • 정성균
    • 한국생산제조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96-100
    • /
    • 1997
  • Tensile properties of carbon fiber reinforce composite laminates with non-woven carbon mat are evaluated in this paper. Composite laminates are made by inserting non-wovon carbon mat between layers, The specimens were cut and polished according to ASTM standard . Longitudinal and Transverse Young's modulus are obtained by tensile test. Young's moduli without non-woven carbon mat are compared with those with non-woven carbon mat. Longitudinal and Transverse tensile strength are also investigated.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transverse Young's modulus of composite materials with non-woven carbon mat is about 10% higher than that of composite materials without non-woven carbon mat. Longitudinal tensile strength of composite materials with non-woven carbon mat is about 24% higher than that of composite materials without non-woven carbon mat. Transverse tensile strength and torughness also increase by inserting non-woven carbon mat between layers.

  • PDF

탄소판가새를 이용한 농촌 저층건물의 내진보강 (Seismic Reinforcement of Rural Low-rise Building using Carbon Fiver Plate)

  • 정동조;최성대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1-8
    • /
    • 2014
  • In the past, Korea was classified as a region not affected by earthquakes. However, recent increase of earthquakes has forced to strengthen standards of earthquake resistant designs of structures to minimize seismic damage. In addition, it was thought that masonry infill walls in buildings are only acting as partitions, so these walls are not considered in analyzing building structures. But it was found that when seismic loads are applied to a structure with masonry infill walls, the walls affect the structure. Accordingly, this study conducted nonlinear static analyses for a structure constructed before applying earthquake resistant designs in two cases: when considering masonry walls and when not. The result showed that the seismic performance of the structure is insufficient. Thus, the structural resistance of the structure was also studied in two cases: when reinforcing with steel plate braces and when using carbon fiber braces. In the two cases reinforcing two different stiffeners, it was appeared that the behaviors of the structure were similar, though the cross-section area of a carbon fiber brace used to reinforcing the structure is only 12.6% of a steel plate brace, and its weight is only 2.8%. Thus, the reinforcing effect of the thin, light-weighted carbon fiber brace is much larger than that of the steel plate brace, when considering usability and constructability of both materi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