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타당도 평가

검색결과 851건 처리시간 0.027초

수학교육 평가에서 고사 타당도의 측정에 관한 연구

  • 홍석강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641-653
    • /
    • 2002
  • 수학 교육평가에서 고사 타당도의 측정은 매우 중요하다. 그것은 평가자가 목적하는 바의 준거에 따라 수험자들의 문제해결력 변별을 위한 고사들 간의 타당도 크기 측정과 또는 고사 문항의 선정, 배치를 통하여 한 고사의 타당도를 높이기 위한 문항별 타당도 계수를 측정 계산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이 두 가지 고사 타당도의 크기 측정법을 이용하여 수학교육 평가 현장에서 직접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고사 타당도의 제고에 유효한 연구 결과를 제시한다.

  • PDF

간호학생의 임상실습평가와 측정에 관한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Issues in clinical evaluation tools to measure and evaluate nursing student clinical performance)

  • Kim, Hea-Sook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42-48
    • /
    • 1992
  • 이 연구는 현존해 있는 다양한 임상평가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에 관한 분석 서술 연구이다. Rines(1974)에 의하면 평가는 학습경험을 통하여 목적을 달성하는 지의 여부를 측정하는 것이라고 하였고 평가의 목적은 교육증진을 도모하며, 목표를 설정하고, 학생의 학습진행과정을 사정하여 학생들을 위한 프로그램을 사정, 개발시키는데 있다고 피력 하였다. 간호교육에는 실무교육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많은 간호교육자들은 실습평가에 있어 많은 어려움을 경첩하고 있다. 이러한 난해한 실습평가도구를 개발하기 위하여 선행된 우선순위로써 현존해 있는 다양한 평가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평가하는 것이 의의 있는 일이라 사료된다. 이 논문은 실습평가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에 관심을 가진 임상지도교수나 간호교육자들을 대상으로 한 서술적 연구이다. 우선 간호교육평가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평가도구에 대한 전문가(Authority)의 의견을 피력한 다음 저자의 의견을 서술하였다. 결론적으로 현재까지 개발된 완전한 임상실습평가의 방법은 없다. 그러므로 현존해 있는 평가방법을 서술평가하고 문제점을 지적하므로써 질적인 평가도구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앞으로 간호교육자들이 각 문제점들을 보완하여 교육목적을 달성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평가도구를 개발하는 것이 급선무이다.

  • PDF

수행기반 인지기능평가를 위한 예비연구 : 정상 노인을 대상으로 (A Preliminary Study on a Performance-Based Cognitive Function Test : With the Normal Elderly)

  • 곽호성;박지혁
    • 재활치료과학
    • /
    • 제8권3호
    • /
    • pp.43-55
    • /
    • 2019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수행기반 인지기능 평가를 위한 예비연구로써 노인의 인지기능 저하 선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수행기반 인지기능 평가도구를 분석하여 평가 문항을 구성하고 정상 노인을 대상으로 검사를 시행하여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수행기반 인지기능 평가항목을 선정한 후, 만 65세 이상 정상 노인 9명을 대상으로 평가를 시행하였다. 평가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수집된 자료를 대상으로 내적 일관성을 분석하였으며, 공인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기존 수행기반 인지기능 평가와 MMSE-K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Performance-Based Cognitive Function Test(PCFT)의 내적일치도 Cronbach's ${\alpha}$ 계수는 운동과제 .871 인지과제 .959 높은 신뢰도를 나타냈다. 공인타당도는 운동-인지 이중과제 평가를 이용하여 PCFT의 항목별 상관관계는 .755~.964으로 산출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5). 또한 인지평가도구인 MMSE와의 상관관계는 .849~.943(p<0.01)로 나타나 높은 타당도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수행기반 인지기능 평가의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추후 연구에서는 최종적으로 수정 보완된 인지기능저하 노인을 선별을 위한 수행기반 인지기능 평가도구를 대상으로 기타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지역사회 보건 융합에 활용 가능한 노인 운전자용 자가-보고식평가(SAFE-DR)의 타당도 연구 (Validity of the Self-report Assessment Forecasting Elderly Driving Risk (SAFE-DR) Applicable to Community Health Convergence)

  • 최성열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175-182
    • /
    • 2019
  • 본 연구는 노인운전자용 자가 보고식 평가 SAFE-DR 개발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운전위험성 선별을 위한 기준점수를 확인하고 평가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Driver 65 Plus평가를 통해 노인운전자 132명을 58명의 위험성 운전자와 74명의 안전성 운전자로 구분하고, 이를 기준으로 SAFE-DR 평가의 위험성 예측 기준을 분석하였다. 또한 SAFE-DR 평가의 구성 타당도, 내용 타당도, 예측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SAFE-DR 평가의 운전위험성 예측을 위한 기준점수는 74.5점으로 분석되었으며, 이 기준의 양성 예측도는 88.6%, 음성 예측도는 86.3%로 판별력은 훌륭한(excellent)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집중타당성, 법칙타당성, 내용타당성이 적절한 것으로 판정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SAFE-DR은 위험한 노인운전자를 선별하는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적절한 평가임을 확인하였다.

교사 평정용 영아발달 평가도구 (The Development of Infants and Toddlers: A Rating Scale for Teachers)

  • 이영자;이종숙;신은수;곽향림;이정욱
    • 아동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55-275
    • /
    • 2001
  •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프로그램을 수행하면서 실시할 수 있는 1, 2세 학급 영아를 위한 교사 평정용 발달평가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 평가도구는 영아프로그램의 일과를 중심으로 대소근육운동, 자조기술, 사회의사소통, 사회정서, 인지영역의 발달을 평가할 수 있도록 총 201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전국적으로 어린이집에서 표집된 1245명의 1, 2세 학급 영아를 대상으로 평가문항의 양호도, 신뢰도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내용 타당도는 전문가 집단의 검토결과 타당하게 나타났으며, 신뢰도는 내적 일치도, 평정시간 일치도, 검사-재검사간 일치도가 높게 나타났다. Bayley와의 공인 타당도도 양호하였다. 구인 타당도 분석결과 영아의 발달은 영역별로 뚜렷이 구분되기보다는 통합적 특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평가도구의 표준화를 위하여 전국 규준이 원점수와 표준점수로 제시되었다.

  • PDF

초등 고학년 아동의 과일 및 채소 섭취 수준 평가를 위한 간단한 식품 섭취 빈도 조사지의 개발과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Brief Fruit and Vegetabl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or Higher-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 이승민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675-683
    • /
    • 2008
  • 본 연구는 초등 고학년 아동의 과일과 채소 섭취 수준 측정을 위한 간단한 식품 섭취 빈도 조사지를 개발 및 평가하고자 실시되었다. 2001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가한 만 $9{\sim}11$세 아동의 24-시간 회상 자료에 기초하여 식품섭취빈도 조사지의 항목 선정을 위한 기초 조사를 하였다. 각 과일과 채소 식품의 일일 평균 섭취량을 전체 아동 및 섭취량의 4분위 집단 별로 산출한 후, 이 자료를 바탕으로 전체 인구 집단의 섭취량을 대변할 수 있을 뿐만 아내라 고 섭취군과 저 섭취군 간의 차이도 나타낼 수 있는 항목을 선정하였다. 총 9개의 과일 항목과 11개의 채소 항목이 식품 섭취 빈도지에 포함되도록 선정되었으며, 섭취 빈도에 대한 응답 항목은 지난 7일 간의 섭취에 대하여 1개의 선택 범주가 제시되었다. 개발된 조사지의 신뢰도와 상대적 타당도에 대한 평가는 서울에 위치한 한 공립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153명의 $4{\sim}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한 달간의 간격을 두고 2회에 걸쳐 조사를 실시한 자료를 이용하여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평가하였으며, 두 번째 방문 시에 28개의 과일 및 채소 항목을 추가로 포함하고 있는 식품섭취빈도 조사지를 더불어 실시한 자료를 바탕으로 상대적 타당도를 평가하였다. 상관 분석과 항목 별 빈도 응답 및 섭취 수준에 따른 집단내 순위 분류의 일관성에 대한 분석을 실시한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된 20개 항목의 과일 채소 식품 섭취빈도 조사지의 신뢰도와 상대적 타당도가 적정 수준 이상으로 나타났다. 신뢰도를 살펴보기 위한 개별 항목 및 과일, 채소, 과일+채소 섭취 빈도에 대한 상관계수는 $0.22{\sim}0.64$(p<0.001)이었으며, 항목별 빈도 응답의 일관도는 평균 69.3%(<=1 빈도 응답차이)와 81.3%(<=2 빈도 응답 차이)로 나타났다. 상대적 타당도를 살펴보기 위한 과일, 채소, 과일+채소 섭취 빈도에 대한 상관계수는 $0.91{\sim}0.93$(p<0.0001)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개발된 식품섭취빈도 조사지는 초등고학년 아동의 과일채소 섭취 수준을 간단히 심사하거나 평가하는 도구로서 유용하리라 사료된다.

  • PDF

2, 3세 유아의 사회 정서 문제 조기발견: ASQ:SE 선별 평가서의 표준화 연구 (Early Identification of 2- and 3-Year-Old Children for Social and Emotional Problems: A Preliminary Study of the Ages and Stages Questionnaires: Social-Emotional (ASQ:SE))

  • 허계형
    • 아동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23-141
    • /
    • 2000
  • 본 연구 논문은 영 유아를 대상으로 한 사회 정서 문제의 선별 평가서인 Ages and Stages Questionnaire: Social-Emotional (ASQ:SE)의 표준화(신뢰도 및 타당도)연구이다. 특히, ASQ:SE 질문지 가운데에서도 24개월과 36개월용을 이용하여 ASQ:SE 의 내적 일치도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재검사 신뢰도 (test-retest reliability), 절선 점수 (cutoff points), 공인 타당도 (concurrent validity)에 대해 연구하였다. 전체 447명의 부모가 참여한 가운데, 237명은 24개월용 질문지를 작성했고, 210명은 36개월용 질문지를 작성했다. 내적 일치도는 24개월 질문지에서 71, 36개월 질문지에서는 .73이었다. 재검사 신뢰도는 24 개월 질문지에서 100%, 36개월 질문지에서 97%이었다. 마지막으로 공인 타당도는 24개월과 36개월 설문지에서 95%이었다. 끝으로, 추후 다양한 대상으로 연구될 것이 추천되며 또한 이 연구에서 제외되어졌던 연령의 ASQ:SE 질문지의 내적 일치도, 신뢰도 및 타당도가 연구되어져야 할 것이다.

  • PDF

양측 상지 기능 평가도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A Systematic Review on Measurement Instruments of Bilateral Upper Extremity Function)

  • 이주현;이예진;박지혁
    • 재활치료과학
    • /
    • 제5권1호
    • /
    • pp.7-22
    • /
    • 2016
  • 목적 : 본 연구는 양측상지기능 평가도구의 체계적 고찰을 통해, 대상자, 평가방법, 신뢰도, 타당도, 민감도 등을 분석하여 임상 및 연구에서의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4년 12월 한달 동안 PubMed 데이터베이스에서 'upper extremity'와 'motor actiity' 'activities of daily living'와 'assessment instrument' 'disability evaluations'의 키워드로 검색하여, 최종적으로 68개의 연구에서 44개의 상지기능 평가도구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평가도구에서 양측상지기능 평가도구의 비율, 대상자, 측정방법, 신뢰도, 타당도, 민감도를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 상지기능 평가도구 중 양측상지기능 평가도구는 2개로 가장 적었다. 모두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환자의 양측 상지수행을 통해 환측의 기능을 측정하는 평가도구였다. 평가도구의 신뢰도, 타당도, 민감도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양측상지기능 평가도구의 개발 및 연구가 필요하며, 이를 통해 양측상지기능 치료 효과를 보기 위한 평가도구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학업 성취도 평가도구의 내용 타당도 분석 - 수학과 3-가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Content Validity of Third-Grade Mathematics Achievement Tests)

  • 김은아;강완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77-196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교육과정평가원(KICE) 제작 학업 성취도 평가 도구와 교사 제작 학업 성취도 평가 도구의 내용타당도를 분석 비교하는데 있으며, 학교 현장에서 실시되는 학업 성취도 평가 도구의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학업 성취도 평가 도구의 내용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행동차원별, 내용차원별로 수업목표와 평가목표의 비율차 검증을 하였다. 그 결과 교사 제작 수학과 3-가 학업 성취도 평가도구와 한국교육과정평가원(KICE)에서 제작한 3학년 국가수준 기초진단 학업 성취도 평가도구는 행동차원과 내용차원에서 모두 내용타당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교사 제작 학업 성취도 평가도구는 내용타당도는 높으나 평가 문항이 지식, 이해력, 적용력을 평가하는데 집중된 경향을 보여 창의력 신장을 위한 고등정신기능을 기르는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평가 방법 개선 방안과 평가 도구 개발에 힘써야 할 것이며 각 학교간의 편차를 해소하기 위하여 많은 교사들의 상호 교류도 활발히 진행되어야 할 것임을 제언한다.

  • PDF

한국판 맬버른 저시력 일상생활지수(Melbourne Low-vision ADL Index: MLVAI)의 신뢰도 및 타당도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Melbourne Low-Vision ADL Index)

  • 유연환;박지혁;정민예;박혜연
    • 재활치료과학
    • /
    • 제7권2호
    • /
    • pp.51-61
    • /
    • 2018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호주에서 개발된 수행기반의 관찰평가도구인 Melbourne Low-Vision ADL Index(MLVAI)를 한국 문화에 적합하게 구성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자는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만 20세 이상의 저시력인 26명, 정안인 42명으로 총 68명이었다. 한국판 MLVAI는 번역 검증 및 도구 구성에 대한 전문가 검증을 통해 완성하였다. 한국판 MLVAI의 타당도는 내용타당도, 판별타당도, 수렴타당도 검증을 통해 수립하였고, 신뢰도는 항목에 대한 내적일치도, 검사-재검사 신뢰도, 검사자간 신뢰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 내용타당도 수립을 위해 저시력 관련 분야의 전문가들이 시행한 문항적합도 검증에서는 .78이상으로 타당성이 수립되었다. 판별타당도 검증은 저시력 집단의 평균점수가 통계적으로 낮았다(p<.05). 수렴타당도는 Low Vision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LVQOL)을 이용하여 한국판 MLVAL 총점과의 상관계수 .751을 산출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5). 전체 항목에 대한 Cronbach's ${\alpha}$값은 .983으로 높았으며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976(p<.05), 검사자간 신뢰도는 급간 내 상관계수(ICC2,1) .91로 모두 양호하였다(p<.05). 결론 : 본 연구 결과 국내 실정에 맞게 수정한 한국판 MLVAI는 신뢰도와 타당도를 모두 갖춘 일상생활 평가도구로 작업치료 중재 시 저시력인의 일상생활활동의 평가를 위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