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타당도연구

검색결과 1,031건 처리시간 0.032초

수학교육 평가에서 고사 타당도의 측정에 관한 연구

  • 홍석강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641-653
    • /
    • 2002
  • 수학 교육평가에서 고사 타당도의 측정은 매우 중요하다. 그것은 평가자가 목적하는 바의 준거에 따라 수험자들의 문제해결력 변별을 위한 고사들 간의 타당도 크기 측정과 또는 고사 문항의 선정, 배치를 통하여 한 고사의 타당도를 높이기 위한 문항별 타당도 계수를 측정 계산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이 두 가지 고사 타당도의 크기 측정법을 이용하여 수학교육 평가 현장에서 직접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고사 타당도의 제고에 유효한 연구 결과를 제시한다.

  • PDF

2, 3세 유아의 사회 정서 문제 조기발견: ASQ:SE 선별 평가서의 표준화 연구 (Early Identification of 2- and 3-Year-Old Children for Social and Emotional Problems: A Preliminary Study of the Ages and Stages Questionnaires: Social-Emotional (ASQ:SE))

  • 허계형
    • 아동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23-141
    • /
    • 2000
  • 본 연구 논문은 영 유아를 대상으로 한 사회 정서 문제의 선별 평가서인 Ages and Stages Questionnaire: Social-Emotional (ASQ:SE)의 표준화(신뢰도 및 타당도)연구이다. 특히, ASQ:SE 질문지 가운데에서도 24개월과 36개월용을 이용하여 ASQ:SE 의 내적 일치도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재검사 신뢰도 (test-retest reliability), 절선 점수 (cutoff points), 공인 타당도 (concurrent validity)에 대해 연구하였다. 전체 447명의 부모가 참여한 가운데, 237명은 24개월용 질문지를 작성했고, 210명은 36개월용 질문지를 작성했다. 내적 일치도는 24개월 질문지에서 71, 36개월 질문지에서는 .73이었다. 재검사 신뢰도는 24 개월 질문지에서 100%, 36개월 질문지에서 97%이었다. 마지막으로 공인 타당도는 24개월과 36개월 설문지에서 95%이었다. 끝으로, 추후 다양한 대상으로 연구될 것이 추천되며 또한 이 연구에서 제외되어졌던 연령의 ASQ:SE 질문지의 내적 일치도, 신뢰도 및 타당도가 연구되어져야 할 것이다.

  • PDF

문헌정보학 연구에 있어서 타당도 및 신뢰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in the Research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김성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75-189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문헌정보학의 과학적인 연구결과를 얻는데 있어서 중요한 요소인 타당도와 신뢰도에 대해서 검토하고 있다. 먼저 연구의 타당도와 신뢰도에 대한 개요 및 유형을 살펴본 뒤 질문지 또는 다양한 검사문항을 작성하는데 있어서 타당도와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과거의 선행연구를 통해 분석하고 있다. 이런 연구결과는 미래의 문헌정보학과 관련된 문제들을 과학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써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수량 비교 과제의 형식에 따른 아동의 수 민감도 측정치의 구성 타당도 및 예측 타당도 비교 (Comparing Construct and Predictive Validities of the Measurement of Children's Approximate Number Acuity Depending on Numerosity Comparison Task Format)

  • 박윤지;조수현
    • 인지과학
    • /
    • 제25권2호
    • /
    • pp.159-187
    • /
    • 2014
  • 대략적 수 민감도(approximate number sense)란 수량에 대하여 대략적인 비교와 덧셈 등의 기본적인 조작을 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선행 연구들은 수 민감도를 측정하기 위해 두 개의 점 집합의 수량을 비교하는 과제를 사용하였다. 선행 연구들이 보고한 수 민감도 수치에는 상당한 편차가 존재하는데 이는 수량 과제 비교의 형식의 차이에 기인할 가능성이 크다. 본 연구는 아동의 수 민감도 측정에 더 적절한 수량 비교 과제의 형식에 대해 알아보았다. 선행 연구에서 가장 흔히 사용된 수량 비교 과제는 서로 다른 색깔의 두 점 집합이 서로 섞여서 제시되는 혼재형(intermixed) 형식과 두 점 집합이 나란히 제시되는 병렬형(side-by-side) 형식이었다. 혼재형 수량 비교 과제는 각 색깔 집합의 수량을 추정할 때, 억제 조절 능력, 선택적 주의 및 시공간 작업 기억 등이 추가적으로 요구될 수 있다. 수량 변별 외에 추가적인 인지 처리를 요구하는 과제는 수량 비교 수행의 개인차를 정확하게 측정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며(구성 타당도의 저하), 수량 변별 능력이 마땅히 예측할 것으로 기대되는 관련 변인과의 상관관계도 저조할 가능성이 있다(예측 타당도의 저하).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량 비교 과제의 형식에 따른 수 민감도 측정치의 차이를 관찰하고 수학 성취도와의 상관관계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혼재 형식 수량 비교 과제를 통한 수 민감도는 병렬 형식에서보다 현저하게 낮았으며, 선행 연구에서 예측한 수 민감도 발달 추이를 고려할 때 지나치게 과소 추정된 값이었다. 나아가 두 가지 제시 형식에 의해 측정된 수 민감도와 수학 성취도와의 상관관계를 비교하였는데, 혼재 형식 수량 비교 과제를 통해 산출된 수 민감도는 수학 성취도와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아 예측타당도 역시 낮다고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아동을 대상으로 하여 수 민감도 측정 시 혼재형식보다 병렬 형식 수량 비교 과제를 사용하는 것이 구성 타당도와 예측 타당도가 더 높다고 판단된다.

노인의 지역사회 이동성을 측정하는 Life-Space Assessment(LSA)의 한국어 번역에 대한 적합성 검증연구 (A Study on Translation Process into Korean Version of the Life-Space Assessment to Assess Community Mobility for Elderly)

  • 김정희;장문영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49-57
    • /
    • 2017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지역사회 이동성을 측정하는 평가도구인 Life Space Assessment(LSA)를 한국어로 번역하여 이에 대한 적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내용 타당도와 이해도 검증을 실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원문 LSA을 번역-역번역한 최종 한글 번역본을 6명의 전문가 위원에게 내용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고, 신입 작업치료사 13명에게 문항에 대한 이해도를 검증을 조사하였다. 내용 타당도와 이해도 검증은 내용 타당도 지수(Contents Validity Index; CVI)를 사용하였다. 결과 : 내용 타당도에 대한 각 문항에 대한 CVI .93~1.00이었으며, 도구 전체 CVI는 .99로 매우 높은 수준의 내용 타당도를 보였다. 또한 내용 이해도 결과는 각 문항 CVI .92~1.00로 분포하였고, 도구 전체 CVI는 .97로 매우 높은 수준으로 검증되었다. 결론 : LSA의 한국어 번역 검증 결과 내용 타당도 및 이해도가 매우 높은 수준으로 검증되어 국내에서 노인의 지역사회 이동성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로 적용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LSA의 수렴타당도, 구성타당도, 신뢰도 검증 등의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어야할 것이다.

간호학생의 임상실습평가와 측정에 관한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Issues in clinical evaluation tools to measure and evaluate nursing student clinical performance)

  • Kim, Hea-Sook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42-48
    • /
    • 1992
  • 이 연구는 현존해 있는 다양한 임상평가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에 관한 분석 서술 연구이다. Rines(1974)에 의하면 평가는 학습경험을 통하여 목적을 달성하는 지의 여부를 측정하는 것이라고 하였고 평가의 목적은 교육증진을 도모하며, 목표를 설정하고, 학생의 학습진행과정을 사정하여 학생들을 위한 프로그램을 사정, 개발시키는데 있다고 피력 하였다. 간호교육에는 실무교육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많은 간호교육자들은 실습평가에 있어 많은 어려움을 경첩하고 있다. 이러한 난해한 실습평가도구를 개발하기 위하여 선행된 우선순위로써 현존해 있는 다양한 평가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평가하는 것이 의의 있는 일이라 사료된다. 이 논문은 실습평가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에 관심을 가진 임상지도교수나 간호교육자들을 대상으로 한 서술적 연구이다. 우선 간호교육평가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평가도구에 대한 전문가(Authority)의 의견을 피력한 다음 저자의 의견을 서술하였다. 결론적으로 현재까지 개발된 완전한 임상실습평가의 방법은 없다. 그러므로 현존해 있는 평가방법을 서술평가하고 문제점을 지적하므로써 질적인 평가도구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앞으로 간호교육자들이 각 문제점들을 보완하여 교육목적을 달성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평가도구를 개발하는 것이 급선무이다.

  • PDF

뇌졸중 영향 척도 3.0의 신뢰도와 타당도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troke Impact Scale 3.0)

  • 박은영;최유임;김은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293-302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Stroke Impact Scale 3.0(SIS 3.0)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조사하는 것이었다. 연구에서 SIS 3.0은 125명의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측정하였다(평균 = 62.7, 표준 편차 = 9.43). SIS 3.0 하위 영역들 간에 상관 분석을 통해 구성타당도를 확인하였고, MBI(Modified Barthel Index)와 K-MMSE(Mini-Mental State Examination-Korean)간의 상관을 분석하여 수렴타당도를 조사하였다. 각 항목의 특성은 고전적 문항 이론을 바탕으로 내적 합치도와 문항 변별도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SIS 3.0의 구성타당도와 수렴타당도가 확인되었다. 감정 영역에 포함된 i 항목은 문항 변별도가 낮았지만 이 항목을 제외하고는 모두 변별도가 높았다. 하위 영역의 문항내적합치도는 0.858~0.941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 현장에서 SIS 3.0 사용을 위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증강현실 기반 어휘 지도에서 동사 목록에 대한 기초 연구 (A Basic Study of Verbs List for Vocabulary Learning Based on Augmented Reality)

  • 황보명;권순복;김선종;신범주
    • 재활복지
    • /
    • 제21권2호
    • /
    • pp.233-246
    • /
    • 2017
  • 본 연구는 디지털 세계와 물리적 세계가 접목하는 증강현실을 언어치료에 적용하기 위한 기초 연구이다. 특히, 아동들에게 동사를 지도할 때 증강현실로 구현한 동사 목록이 해당 움직임을 정확하게 나타내고 있는지와 같은 동작 타당도, 그리고 해당 동사 목록이 어휘 지도 목표로 적절한 것인지에 대한 어휘 타당도를 살펴본 연구이다. 선행 연구들을 참고하여 45개의 동사를 어휘 지도 목록으로 선정하고 이 동사들에 대하여 1급 언어재활사 자격증을 소지한 언어치료학과 교수 3명으로 하여금 어휘 타당도를 평가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39개 동사에서 높은 어휘 타당도를 얻었다. 높은 어휘 타당도를 얻은 39개 동사에 대한 동작 타당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언어치료 전공 석사과정 대학원생들에게 각 동사를 증강현실로 구현하여 보여주고 생각나는 동사를 기록하게 하였다. 증강현실로 구현된 동작 애니메이션을 보고 난 후 50% 이상의 대학원생이 해당 동사로 기록한 동사는 32개였다. 이차적으로는 이 32개 동사만 증강현실로 구현하여 87명의 언어치료 전공 대학생들에게 보여주고 Likert 5점 척도로 각 동사와 구현된 동작의 일치도를 평가하게 하였다. 최종적으로 30개 동사가 증강현실로 구현하여 지도하기에 타당한 동사 목록으로 선정되었다.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공인 타당도 및 적용 타당화 연구를 지속하여 증강현실을 활용한 어휘 평가 및 지도가 언어치료 임상 현장에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한국판 무조건적 긍정적 자기존중 척도의 타당화 연구 (Validation of the Korean Unconditional Positive Self-Regard Scale)

  • 윤효정;주은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9호
    • /
    • pp.577-588
    • /
    • 2020
  • 본 연구는 로저스의 인간중심상담 이론을 바탕으로 Patterson과 Joseph이 개발한 '무조건적 긍정적 자기존중(Unconditional Positive Self-Regard; UPSR) 척도'를 한국어로 번안하고 타당화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원척도 번안 및 수정의 과정을 거쳤으며 신뢰도 및 타당도와 요인구조의 적합성을 검증하였다. 예비검사는 번안한 12개 문항의 척도를 남·녀 대학생 및 대학원생 131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신뢰도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되는 3개의 항목을 삭제하였다. 남은 9개의 문항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한 결과, 2개의 하위요인이 도출되었으며 최종 선정된 2요인 9개 문항의 내적 합치도는 .89로 나타났다. 본 검사에서는 성인 남·녀 419명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 및 구인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또한 수렴 및 변별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다른 5개의 척도들과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체로 선행 연구와 일치하였다.

한국 간호사의 피로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주은실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67-75
    • /
    • 2018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간호사들의 피로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본 연구는 4개의 대학병원 301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8.0과 AMOS 18.0을 이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시행하였다. 피로도구 개발을 위해 문헌고찰을 토대로 구성된 문항들은 내용 타당도를 거친 후 1차 확인요인분석, 2차 확인요인분석 결과 육체적 피로, 정신적 피로, 정서적 피로 세 영역, 23문항으로 수정되었다. 2차 확인요인분석 결과 적합도는 ${\chi}^2(p)=956.12$(p<.001), RMSEA= .08, GFI = .87, AGFI = .84, NFI = .91, and CFI = .93.로 비교적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피로측정도구는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되어 한국 간호사의 피로를 측정하는데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