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클로자핀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3초

클로자핀을 투여한 조현병 환자에서 혈소판 활성 증가에 관한 후향적 연구 (Clozapine Administration Potentiate Platelet Activation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 Retrospective Study)

  • 김현아;이종욱;김승준;오홍석;임우영;김지웅
    • 정신신체의학
    • /
    • 제26권2호
    • /
    • pp.188-193
    • /
    • 2018
  • 연구목적 클로자핀은 조현병 치료에 널리 처방되는 항정신병약물로, 대사성 부작용 등으로 인한 심뇌혈관질환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클로자핀이 심뇌혈관질환의 발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또 다른 요소인 혈소판 활성 정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본 연구에서는 클로자핀 투여 전후 평균혈소판요소 (mean platelet component, MPC) 값 비교를 통하여 조현병 환자에서 클로자핀이 혈소판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3년 9월 1일부터 2007년 4월 30일까지의 기간 동안 건양대학교 병원 정신건강의학과에서 클로자핀을 새롭게 투여 받기 시작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 하였다. 최종 통계 분석에는 14명이 포함되었다. 평균혈소판요소는 Bayer ADVIA $120^{(R)}$ system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 과 14명의 연구 대상자 중, 남성은 4명(28.60%), 여성은 10명(71.40%)이었으며, 평균 나이는 $37.50{\pm}11.64$세였다. 유병 기간은 평균 $91.00{\pm}93.96$개월 이었으며 피험자들이 마지막 혈액 검사를 한 시점에 복용하였던 클로자핀 용량의 평균은 $337.50{\pm}109.52mg$이었다. 클로자핀 투여 전과 투여 후의 평균혈소판요소 값은 각각 $26.12{\pm}2.22g/dL$$25.14{\pm}2.08g/dL$ 이었다.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에서 클로자핀 투여 후 MPC 값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V=16, p=0.024). 결 론 본 연구의 결과는 클로자핀 투여가 혈소판을 활성화하며, 이로 인해 혈전색전성 질환 등의 발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클로자핀 투여 시 혈소판 활성에 대한 평가를 포함하여 뇌혈관질환의 위험성에 대한 주의 깊은 모니터링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조현병/조현정동장애 환자에서 1년간의 Clozapine 투여가 혈소판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후향적 연구 (A Retrospective Study on the Effect of 1-Year Clozapine Administration on Platelet Activity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or Schizoaffective Disorder)

  • 장은자;이종욱;김승준;오홍석;이나현;임우영;김지웅
    • 정신신체의학
    • /
    • 제28권1호
    • /
    • pp.36-41
    • /
    • 2020
  • 연구목적 클로자핀은 뇌심혈관 질환의 발생가능성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혈소판의 활성화 정도는 뇌심혈관 질환의 발생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왔다. 저자들은 이전 연구에서 단기간의 클로자핀 투여 후 혈소판 활성도가 증가함을 관찰하였다. 본 연구는 이에 대한 후속 연구로 클로자핀을 1년의 기간 동안 장기간 지속 투여하였을 때, 혈소판 활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하였다. 방 법 조현병 혹은 조현정동장애의 치료를 위해 최소 1년의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클로자핀을 투여 받은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혈소판의 활성도는 평균혈소판요소 값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 과 총 2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연구 대상자 중 남성은 9명(37.5%), 여성은 15명(62.5%) 였다. 윌콕슨부호-순위검정에서 초기 및 1년 경과 시점에서의 평균혈소판요소 값 사이의 유의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 론 1년간의 지속적인 클로자핀 투여에도 평균혈소판요소의 유의한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단기간의 클로자핀 투여 시 평균혈소판요소 값에 현저한 저하를 관찰하였던 저자들의 이전의 연구 결과를 함께 고려해 볼 때, 본 연구의 결과는 클로자핀 투여 기간에 따라 혈소판의 활성도가 변화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상부위장관 출혈이 의심되는 클로자핀과 부스피론의 상호작용 (Suspected Upper Gastrointestinal Bleeding by Interaction of Clozapine and Buspirone)

  • 성유미;김수인;연규월;임원정
    • 정신신체의학
    • /
    • 제14권1호
    • /
    • pp.62-66
    • /
    • 2006
  • 서론: 치료저항성 환자 치료 시 선택될 수 있는 여러 약물들의 병용 투여에 의해 예측할 수 없는 심각한 부작용을 야기하는 약물 상호작용이 일어날 수 있다. 저자들은 만성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클로자핀(clozapine)과 부스피론(buspirone)을 병용 투여한 후 상부위장관 출혈이 의심되는 사례가 있어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 망상형 정신분열병으로 진단받은 69세 여자 환자로 입원 당시 혈색소가 약간 감소된 것을 제외하고는 신체검사와 검사실 검사 상 다른 특이 소견은 없었다. 불안 증상이 심하여 부스피론 15mg을 올란자핀(olnazapine) 30mg과 같이 투여하였다. 하지만, 병력상 약물에 반응이 좋지 않고 본원 입원 치료에서 치료 반응이 없어 올란자핀을 클로자핀으로 교체하였다 인원 11주째, 클로자핀으로 교체한 지 4주가 지난 후, 환자는 클로자핀 300mg과 부스피론 60mg을 복용하고 있었다. 이 시점에서 약 4일 동안 간헐적으로 복통, 발한, 저혈압, 구토, 발열과 함께 토혈, 흑색변 소견 보였지만, 위내시경과 위장조영촬영에서 상복부위장관 출혈 소견은 발견되지 않았다. 모든 약물을 중단한 후, 상부위장관 출혈 의심 증상은 사라졌다. 이후 클로자핀만 단독으로 투여한 후, 정신병적 증상 호전을 보였고 상부위장관 출혈 소견도 재발하지 않았다. 고찰: 상부위장관 출혈은 클로자핀과 부스피론 각각의 약리학적 작용 및 부작용의 측면에서는 예상할 수 없었던 부작용이었으나, 정신분열병 치료를 위해 투여하고 있던 클로자핀에 추가적으로 항불안 효과가 있는 부스피론을 복합 투여하는 동안 발생하였으며 부스피론을 중단한 이후에는 동일한 부작용이 재발하지 않았다. 따라서, 저자들은 상부위장관 출혈 부작용의 발생 원인을 클로자핀과 부스피론 두 약물의 상호작용에 의한 것으로 보고 참고 문헌에 기초하여 몇 가지 가능한 기전들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두 약물의 상호작용에 대한 명백한 기전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으나 상부위장관 출혈은 잠재적으로 생명에 치명적인 부작용이므로 클로자핀과 부스피론의 병용 투여 시 특별한 주의를 요한다.

  • PDF

클로자핀 투약시 나타나는 발열의 원인 (A Review on the Cause of Fever During Clozapine Treatment)

  • 송지혜;제성석;이재종;이승윤;이승훈;이은영;소형석;최하연;최진희
    • 정신신체의학
    • /
    • 제30권2호
    • /
    • pp.66-72
    • /
    • 2022
  • 클로자핀은 치료 저항성 조현병 약물치료의 "최적 표준(gold standard)"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클로자핀은 다른 항정신병약물에서 흔히 나타나는 추체외로 증후군, 지연이상 운동증을 거의 일으키지 않고 고프로락틴의 일시적인 상승만 보이는 한편, 발열 등의 약물 이상반응이 흔하게 나타난다. 치료 시작 시기에 드물게 무과립구증, 신경이완제 악성증후군과 같은 치명적인 부작용과 연관된 발열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클로자핀을 즉시 중단해야 한다. 그러나 발열의 양성 원인은 생명을 위협하는 부작용보다 훨씬 빈번하므로 치료 시작 시기에 발열을 보이는 경우 무조건 클로자핀을 중단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또한, 치료 유지 시기에도 언제든지 발열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폐렴의 위험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지 않으며, 클로자핀은 다른 항정신병약물 보다 폐렴의 위험이 높으므로 항상 이를 염두에 두고 치료제 모니터링을 통하여 약물 용량을 결정하는것이 권장된다.

부분 강박된 백서에서 클로자핀에 의해 유발된 간대성 근경련에 대한 단가아민계 작용 약물들의 영향 (Effects of Concomitant Treatment with Drugs Affecting Monoaminergic Systems on the Clozapine-induced Myoclonic Jerks in Partially Restrained Rats)

  • 이상경;김현;김선희;박철균;윤성환;김영훈
    • 생물정신의학
    • /
    • 제6권1호
    • /
    • pp.74-80
    • /
    • 1999
  • 본 연구는 항정신병약물의 하나인 클로자핀 사용에 따르는 중요한 부작용 중의 하나인 경련의 기전을 이해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기존의 클로자핀에 의하여 유발되는 경련모델은 실제 임상상황에 적용시키는데 난점이 있으므로 다른 연구자들의 모델을 변화시켜 본 연구에 이용하였다. 정신분열병의 병태 생리에 단가아민가설이 아직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을 뿐 아니라, 클로자핀에 의하여 유발되는 경련과 단가아민의 관련성을 시사하는 몇몇 증거에 준하여, 단가아민에 작용하는 약물들이 이 모델에서 어떤 영향을 주는가를 관찰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할로페리돌, 프로프라놀롤, 플루옥세틴의 1회 병합처치는 클로자핀에 의하여 유발되는 간대성 근경련을 감소시켰다. 리탄세린 1회 병합처치는 이 경련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2) 이미프라민 및 리탄세린의 장기 병합처치는 클로자핀에 의하여 유발되는 간대성 근경련을 증가시켰으며, 플루옥세틴 장기 병합처치는 이 경련을 감소시켰다. 할로페리돌 장기 병합처치는이 경련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클로자핀에 의하여 유발되는 간대성 근경련에 도파민, 세로토닌계가 관여되나 노르아드레날린계는 관여되지 않음을 시사한다. 향후 단가아민계 신경전달물질의 수용체 아형에 따른 경련에의 영향을 살펴보는 실험이 보완될 필요가 있다. 이런 실험들을 바탕으로 클로자핀에 의하여 유발되는 경련에 대한 기전이 구체화되고 이에 따른 효율적인 관리지침이 세워지기를 기대한다.

  • PDF

클로자핀 처방 패턴 및 클로자핀 중단과 관련된 임상 요인 (Prescribing Pattern of Clozapine and Clinical Factors associated with Discontinuation of Clozapine)

  • 강시현;이혜원
    • 대한조현병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7
    • /
    • 2019
  • Objectives: Clozapine is the drug of choice in treatment-resistant schizophrenia. However, its use is often delayed and a significant proportion of clozapine treated patients fails to respond and experience potentially dangerous side-effects. The aim of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to describ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started on clozapine and the rate and reason of discontinuation of clozapine. Methods: Medical records of 83 patients started on clozapine during the period of 2012-2016 were reviewed. Results: Clozapine started on patients in chronic phase; the mean age of start was 38.1 years old and the mean number of psychiatric admission was 6.5. A majority (80.7%) of the patients had been subjected to antipsychotic polypharmacy prior to clozapine and most (61.5%) of them were being treated with polypharmacy including clozapine. Overall, 39 (47.0%) subjects had continued clozapine whereas 15 (18.1%) discontinued it; 29 (34.9%) were lost to follow-up. The most common reason for discontinuation was side-effects (n=13) including six life-threatening cases, most of which occurred within 6 months of its start.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re is some evidence of delays to clozapine use, high rates of polypharmacy and significant rate of discontinuation during the early phase of clozapine treatment.

치료저항성 조현병에서 클로자핀 치료의 현황 (Current Status of Clozapine for Treatment-Resistant Schizophrenia)

  • 김세현
    • 대한조현병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7
    • /
    • 2021
  • Clozapine is the first and most effective atypical antipsychotic drug for treatment-resistant schizophrenia (TRS). After withdrawal of clozapine due to concerns of agranulocytosis, clozapine was reintroduced with a comprehensive safety monitoring system, the clozapine patient monitoring system (CPMS). The reintroduction was a response to the pressure from psychiatrists and patients with TRS and their families. Clozapine is still the best single agent for the treatment of TRS. However, approximately 30% of patients with TRS still show psychotic symptoms. In patients with clozapine-resistant schizophrenia (CRS), augmentation of other antipsychotic agents could be considered after a thorough evaluation of proper clozapine treatment. In this review, the status of clozapine in patients with TRS and CRS will be discussed.

클로자핀 중단 이후 처방 패턴의 변화: 후향적 의무기록 분석 (Change of Prescribing Pattern after Clozapine Discontinuation: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 강시현
    • 대한조현병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36-43
    • /
    • 2021
  • Objectives: Despite the high discontinuation rate of clozapine in refractory schizophrenia, there is limited evidence regarding the suggested treatment after clozapine discontinuation.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37 patients who discontinued clozapine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prescription patterns of antipsychotics, mood stabilizers, and antidepressants were compared at three points before and after clozapine treatment and at the most recent visit. Results: After clozapine discontinuation, 75.6% of the subjects were receiving antipsychotic polypharmacy, and 32.4% were taking more than 3 antipsychotics. The frequently used antipsychotics were olanzapine (21.5%), quetiapine (21.5%), and paliperidone (12.7%). The rates of augmentation with mood stabilizers and antidepressants were 43.2% and 29.7%, respectively. Furthermore, valproate was the most commonly used mood stabilizer (87.5%). Conclusion: Antipsychotic polypharmacy and augmentation are inevitable in schizophrenia patients for whom clozapine has been discontinued.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o improve the outcomes of polypharmacy and augmentation in schizophrenia patients.

항정신병 약물에 의한 백서 뇌에서의 c-fos 발현 : 할로페리돌과 클로자핀의 효과 비교 (c-fos Expression of Rat Brain by Antipsychotics : Contrasting Effects of Haloperidol and Clozapine)

  • 이민수;한창수;김정현;김영태;곽동일
    • 생물정신의학
    • /
    • 제3권1호
    • /
    • pp.115-120
    • /
    • 1996
  •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 drug effects on the genetic basis, the authors administered haloperidol- the $D_2$ antagonist- and clozapine -the atypical antipsychotics with few extra- pyramidal side effects- to the rats. Then, we edobtain brain specimen from the striatum, prefrontal cortex, and cortical region and compared the degree of c-fos expression. The results are 1) haloperidol was found to produce a rapid and transient induction of dos mRNA expression in striatum as compared with cortex and prefrontal area. 2) clozapine was found to produce rapid induction of c-fos mRNA in striatum and prefrontal area. From these data, we can concluded that the mechanism of action of haloperidol is different from the mechanism of clozapine in gene expression.

  • PDF

클로자핀의 지연된 사용이 치료저항성 조현병 환자의 급성기 약물 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elayed Clozapine Initiation on Acute Treatment Response in Treatment-Resistant Schizophrenia)

  • 양소영;최정규;박선영;박재섭
    • 대한조현병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52-59
    • /
    • 2021
  • Objectives: Recent studies have reported that delayed initiation of clozapine can affect clinical response in patients with treatment-resistant schizophrenia (TRS).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delayed initiation of clozapine and acute treatment response. Methods: Sixty-five inpatients with TRS who started clozapine for the first time were included through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Acute treatment response was defined as a 30% reduction in the 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score or a Clinical Global Impression of Improvement score of 1 (very much improved) or 2 (much improved) at 4 weeks after initiating clozapine. Results: After meeting the TRS criteria, the mean delay for initiating clozapine was approximately 13.8 months. The delay was shorter in patients who showed a better response to clozapine in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p=0.037). Conclusion: Our findings suggest that reducing the delay in initiating clozapine increases the effectiveness of clozapine in patients with T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