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클러스터 라우팅

Search Result 278, Processing Time 0.06 seconds

An Efficient Multi-Hop Cluster Routing Protocol in Mobile Ad hoc Network (이동 임시 무선망에서의 효율적인 다중 홉 클러스터 라우팅 프로토콜)

  • 이현철;김시관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04a
    • /
    • pp.676-678
    • /
    • 2004
  • 이동 임시 무선망은 잦은 망 구성의 변화, 라우터의 수, 제한된 사용 자원 등 기존 유선 네트워크와는 다른 특성들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기존의 유선 네트워크에서 사용하던 라우팅 프로토콜들을 이동 임시 무선망에 그대로 적용시킨다면 많은 문제점들이 발생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라우팅 프로토콜은 이동 임시 무선망의 특성을 고려하여, 네트워크 내의 이동 호스트를 멀티 홉을 갖는 클러스터로 묶고. 클러스터 헤드로 하여금 자신의 멤버 호스트들과 이웃 클러스터들의 헤드 정보를 유지하게 하여, 경로 설정에 대한 요구가 있을 때에 적은 지연 시간과 적은 패킷으로 목적지까지의 최단 경로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경로 설정과 데이터 전송 모두가 클러스터 헤드를 이용한다. 이러한 경우 모든 데이터와 경로설정 시 발생하는 패킷들이 클러스터 헤드로 집중되어 네트워크 부하가 발생하게 되는데 본 제안에서는 네트워크의 부하를 줄이기 위하여 후보 클러스터 헤드를 이용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 PDF

Design of cluster based routing protocol using representative path (대표 경로를 이용한 클러스터 기반 라우팅 프로토콜 설계)

  • Kim, Ah-Reum;Jang, You-Jin;Chang, Jae-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9.11a
    • /
    • pp.75-76
    • /
    • 2009
  • 무선 센서 노드는 한정된 자원을 가지기 때문에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서 통신 메시지를 감소시킬 수 있는 클러스터 기반 라우팅 기법이 연구되었다. 하지만 기존 연구들은 클러스터 헤더가 임의로 선정되기 때문에 헤더 노드의 위치가 편중될 수 있어 비효율적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홉(hop) 수 기반의 대표 경로를 생성하여, 분산된 클러스터 헤더를 선정하여 클러스터를 구성하고, 클러스터 헤더간 멀티 홉(multihop)을 구성하는 라우팅 프로토콜을 설계한다. 대표 경로를 통해 클러스터 헤더의 위치 및 영역이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선출하고, 싱크 노드의 방향을 인식함으로써 우회하지 않는 효율적인 경로를 구성한다.

Energy-Efficient Optimal Clustering Size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에너지 효율적인 최적 클러스터 크기)

  • 박병창;이성렬;송유경;김종권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c
    • /
    • pp.16-18
    • /
    • 2004
  • 무선 센서 네트워크는 센서들을 무선으로 연결하여 데이터 교환을 통해 다양한 환경에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한 도구이다. 센서노드 간의 통신은 센서노드의 제한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하도록 만들어져야만 한다. 클러스터링에 기반한 계층적 라우팅 기법은 클러스터 내의 노드들은 클러스터헤드와만 통신을 하게하고 클러스터헤드가 한꺼번에 싱크에게 통합된 정보를 보내게 하여 에너지를 절약하는 기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클러스터링 기반의 라우팅에서 에너지 효율을 높이기 위해 싱크와 클러스터헤드 사이의 거리에 따른 최적 클러스터 크기를 계산하고, 원형의 전체 토폴로지에서 계산된 값과 일치됨을 확인해 보았다.

  • PDF

An Efficient Multi-Hop Cluster Routing Protocol in Mobile Ad Hoc Network (이동 임시무선망에서의 효율적인 다중 홉 클러스터 라우팅 프로토콜)

  • Kim Si-Gwan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10 no.2
    • /
    • pp.13-20
    • /
    • 2005
  • An ad hoc wireless networks forms temporary network without the aid of fixed networks or centralized administration with a collection of wireless mobile hosts.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for one mobile host to enlist the aid of other hosts in forwarding a packet to its destination. This paper presents an efficient cluster-based routing protocol scheme for ad hoc networks. The cluster is used for path setup and data delivery. Our cluster-based routing algorithm is designed for the improvement of the load balance. Our simulation results show the improved performance for low mobility networks comparing with the previous works.

  • PDF

Group Dynamic Source Routing Protocol for Wireless Mobile Ad Hoc Networks (무선 이동 애드 혹 네트워크를 위한 동적 그룹 소스 라우팅 프로토콜)

  • Kwak, Woon-Yong;Oh, Hoon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3 no.11A
    • /
    • pp.1034-1042
    • /
    • 2008
  • It is very hard, but important to sustain path stability for a reliable communication in mobile ad hoc networks. We propose a novel source routing protocol that establishes a group path with virtual multiple paths to enable a robust communication. The entire mobile nodes form a disjoint set of clusters: Each has its clusterhead as a cluster leader and a unique cluster label to identify itself from other clusters. A group path is a sequence of cluster labels instead of nodes and the nodes with the same label collaborate to deliver packets to a node with next label on the group path. We prove by resorting to simulation that our proposed protocol outperforms the existing key routing protocols, even for a network with a high node mobility and a high traffic.

A Secure Data Transmission Mechanism for Sensor Network Communication (센서네트워크 통신을 위한 안전한 데이터 전송 기법)

  • Doh, In-Shil;Chae, Ki-Joon
    • The KIPS Transactions:PartC
    • /
    • v.14C no.5
    • /
    • pp.403-410
    • /
    • 2007
  • For reliable sensor network communication, secure data transmission mechanisms are necessary. In our work, for secure communication, we cluster the network field in hexagonal shape and deploy nodes according to Gaussian distribution. After node deployment, clusterheads and gateway nodes in each cluster play the role of aggregating and delivering the sensed data with suity information all the way to the base station. Our mechanism decreases the overhead and provides food performance. It also has resilience against various routing attacks.

Study of Routing Protocols based on Cluster for Wireless Sensor Network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클러스터 기반 라우팅 프로토콜 연구)

  • Cho, Moo-Ho;Moon, Jun-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II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5.11a
    • /
    • pp.359-362
    • /
    • 2005
  • 클러스터 기반의 계층적 트리 구조는 대형화가 용이하면서 라우팅 프로토콜이 단순하다는 점에서 장점을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무선 센스 네트워크에서 클러스터 트리 네트워크 관리를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방안과 라우팅 프로토콜의 데이터 모음과 지연에 대해 분석한다. 수치 해석의 결과에서 보면 중간 노드에서의 데이터 모음을 통한 통신 메시지 수를 줄임으로 센스 노드의 에너지를 크게 절약할 수 있지만, 이에 따른 메시지 전달 지연이 커짐을 알 수 있었다.

  • PDF

Secure and Energy Efficient Protocol based on Cluster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안전하고 에너지 효율적인 클러스터 기반 프로토콜)

  • Kim, Jin-Su;Lee, Jung-Hyu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0 no.2
    • /
    • pp.14-24
    • /
    • 2010
  • Because WSNs operate with limited resources of sensor nodes, its life is extended by cluster-based routing methods. In this study, we use data on direction, distance, density and residual energy in order to maximize the energy efficiency of cluster-based routing methods. Through this study, we expect to minimize the frequency of isolated nodes when selecting a new cluster head autonomously using information on the direction of the upper cluster head, and to reduce energy consumption by switching sensor nodes, which are included in both of the new cluster and the previous cluster and thus do not need to update information, into the sleep mode and updating information only for newly included sensor nodes at the setup phase using distance data. Furthermore, we enhance overall network efficiency by implementing secure and energy-efficient communication through key management robust against internal and external attacks in cluster-based routing techniques. This study suggests the modified cluster head selection scheme which uses the conserved energy in the steady-state phase by reducing unnecessary communications of unchanged nodes between selected cluster head and previous cluster head in the setup phase, and thus prolongs the network lifetime and provides secure and equal opportunity for being cluster head.

A Cluster-based Efficient Data Transmission Routing Protocol for Sensor Networks (센서 네트워크를 위한 클러스터 기반의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 라우팅 프로토콜)

  • Park, Hyung-Soon;Hong, S.E.;Kim, S.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10d
    • /
    • pp.651-656
    • /
    • 2006
  • 센서 네트워크는 지정된 지역 내에서 흩어져 있는 센서 노드들에 의해 주변 현상을 감지하여 싱크 노드로 전송한다. 하지만, 센서 노드들은 제한된 배터리 용량을 가지기 때문에 영구적인 수명을 보장할 수 없다. 따라서 에너지 효율적인 라우팅을 통한 네트워크 수명의 최대화가 매우 중요하다. 이 논문에서 우리는 클러스터 기반의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 라우팅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이 프로토콜은 여러 개의 유동성 싱크가 존재하는 센서 네트워크에서 에너지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을 지원한다. 기존의 제안된 클러스터 기반의 에너지 효율적인 라우팅 프로토콜(CBPER)은 위와 같은 네트워크 환경에서 두 계층 데이터 전송 라우팅 프로토콜(TTDD)의 단점인 과도한 컨트롤 패킷 사용을 보완하여 제안되었다. 하지만,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 최적의 경로로 전송하지 않기 때문에 네트워크의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클러스터 기반의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 라우팅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데이터 전송 경로를 최적 경로로 선택하여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서 센서 노드들의 배터리 소모를 줄이고 전체 네트워크의 수명을 연장시킨다. 제안한 프로토콜과 CBPER의 비교 실험을 통해 제안한 프로토콜의 성능이 더 에너지 효율적임을 검증한다.

  • PDF

PCBRP : Improved Paired Cluster-Based Routing Protocol in The Mobile Ad-Hoc Network (PCBRP : 모바일 애드혹 네트워크에서 클러스터 쌍을 이용한 효율적인 Cluster-Based Routing Protocol)

  • Kim, ChangJin;Kim, Wu Woan;Jang, Sangd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2.10a
    • /
    • pp.31-34
    • /
    • 2012
  • In MANET, frequent movement of nodes causes the dynamic network topology changes. Therefore the routing protocol, which is very stable to effectively respond the changes of the network changes, is required. Moreover, the existing cluster-based routing protocol, that is the hybrid approach, has routing delay due to the re-electing of the cluster header. In addition, the routing table of CBRP has all only one hop distant neighbor nodes. PCBRP, proposed in this paper, ties two clusters in one pair of clusters to make longer radius. Then the pair of the cluster headers manages and operates corresponding member nodes. When they route nodes in the paired cluster internally, PCBRP reduces the delay by requesting a route. Therefore PCBRP shows improved total delay of the network and improved performance of packet transmitting rat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