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클래식

검색결과 119건 처리시간 0.025초

클래식 음원의 흥행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Success Factors of Digital Classical Music)

  • 김혜수;장유진;임성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7호
    • /
    • pp.227-239
    • /
    • 2022
  • 본 연구는 신호이론을 기반으로 디지털 클래식 음원의 흥행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색적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음원 플랫폼 '지니'가 제공하는 클래식 주간차트를 활용하여 2020년 3월~2020년 10월까지(35주)의 기간 동안 차트 100위 내에 진입한 297개의 음원을 표본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들의 클래식 청취 선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신호로 아티스트의 수상 경력, 아티스트의 방송콘텐츠 연계, 클래식 음원차트 첫 주 상위권 진입, 기획사의 역량, 클래식 음악 레퍼토리의 대중성을 설정하여 이들이 해당 클래식 음원의 차트 상주기간에 미치는 영향을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아티스트의 방송콘텐츠 연계 여부와 클래식 음원차트 첫 주 상위권 진입 그리고 클래식 레퍼토리의 대중성이 클래식 음원의 차트 흥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아티스트의 수상 경력과 기획사의 역량은 클래식 음원의 차트 흥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본 연구는 경영학적 관점으로 수행된 클래식 음원의 흥행요인에 관한 최초의 실증적 연구로서 이후 클래식 관련 후속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소비자의 클래식공연유형 인식과 활용이 클래식공연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The Perception of Classical Performance Types by the Audience and Its Effects on Performance Invigoration)

  • 이찬;최배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9호
    • /
    • pp.661-674
    • /
    • 2018
  • 본 연구는 클래식 공연 소비자들이 공연을 선택하고 결정하는 데 있어 공연유형 인식과 활용이 클래식 공연활성화에 영향을 끼치는지, 또 공연유형 분류체계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이 공연 생산자들에게는 마케팅 측면에서 활용가능한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자들의 분류체계와 전국 대표적인 5개 도시공연장에서 진행한 최근 3년간 공연 프로그램과 여타 자료 분석을 통해 정통클래식 유형 옴니버스 유형 렉처 유형 크로스오버 유형 그리고 혼합유형 5 가지로 분류하였다. 이 분류 유형을 바탕으로 설문조사 전문기관에 의뢰하여 조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클래식 소비자들은 잠재적으로 공연유형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실재로 공연선택의 요소로 활용하고 있었다. 둘째, 유형을 인지하고 수용도와 만족도가 높은 상태에서 관객개발과 클래식 공연발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았다. 셋째, 공연 제작자는 분류된 유형에 의한 명확한 타깃층을 설정함으로서 흥행을 위한 마케팅 기법으로 적지 않은 활용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재즈와 클래식음악과의 상호교류에 대한 고찰 (The Study on Musical Influences between Jazz and Classical Music)

  • 오한승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논문집 1부
    • /
    • pp.7-10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19세기 이후 클래식음악에 영향을 미친 재즈음악과, 클래식음악이 어떤 방식으로 재즈라는 음악을 음악적 표현 도구로 사용했는지를 살펴보았다. 재즈는 현대 클래식음악에 즉흥성, 창의성, 독창성 등의 다양한 측면에서 영향을 주었다는 점이 두 음악 장르의 상호 영향을 살피는데 중요한 점이라고 할 수 있다.

  • PDF

클래식 음악 이용자의 정보탐색행태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of classical music users)

  • 김보경;안종헌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14년도 제21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123-126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순간적 시간흐름 면담기법과 Think-Aloud 면담기법을 통해 클래식 음악 이용자들의 정보탐색행태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용자들의 정보탐색행태는 키워드 검색, 브라우징,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활용의 세 가지 행태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클래식 음악 이용자들이 검색과정에 겪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향후 이용자의 요구사항을 반영한 클래식음악 검색시스템 설계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지적재산권으로의 한국 클래식음악 저작권 관리 현황 (Present State of Classic Music's Copyrights in Korea as an Intellectual Property)

  • 정지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166-173
    • /
    • 2012
  • 한국의 전통 클래식음악 분야에서는 높은 예술적 가치를 가진 작품들이 매년 발표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창작자들이 저작물에 대한 권리를 주장하는 경우가 아주 미비하다. 이는 클래식음악이 일반적으로 교육적 자료로 이용되거나 영리를 추구하는 형태가 아닌 용도로 많이 사용이 되기 때문이다. 최근 한국은 여러 창작물에 대해 저작권 관리 및 권리의 행사가 철저히 이루어지고 있어 저작자의 창작의식이 고취되어가는 추세이다. 그러나 한국의 저작권법에 의해 마땅히 그 권익을 보호받아야 할 분야인데도 한국음악저작권협회에 등록된 클래식음악의 현황은 대중음악 분야와 비교할 때 현저히 차이가 나고 있다. 이는 저작자 당사자들의 법적 지식의 부재와 적극적이지 못한 저작권 행사에 그 이유가 있다. 한국저작권위원회에 등록된 음악제작물의 경우에도 대중음악이나 교육적 자료가 아닌 순수 클래식음악의 창작이나 연주에 대한 등록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그러므로 클래식음악 분야의 저작자들은 이에 대한 법적 지식을 공유하고 적극적인 자세로 저작권을 등록 및 관리할 필요가 있다.

클래식 라이브 스트리밍 공연의 서비스 품질이 시청만족과 현장공연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lassic Live Streaming Performance's Service Quality on Viewer Satisfaction and Purchase Intention of On-site Performance)

  • 김성경;임성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60-72
    • /
    • 2020
  • 최근 라이브 스트리밍이 급부상함에 따라 클래식 공연예술의 시장범위 또한 변화하고 있다. 이제는 단순히 공연실황을 녹화하는 차원이 아닌 라이브 스트리밍 플랫폼에 특화된 콘텐츠가 제작되고 있으며, 라이브 스트리밍이 클래식 공연을 홍보하고 감상할 수 있는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클래식 라이브 스트리밍 공연의 서비스 품질 요인이 시청만족 및 나아가 현장공연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시청자 198명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하였다. 그 결과, 클래식 라이브 스트리밍 공연의 서비스 품질요인 중 실시간 상호작용성을 제외한 영상콘텐츠성과 편의성, 가격성이 시청만족에 영향을 미쳤고, 시청만족은 현장공연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클래식 라이브 스트리밍 공연의 현장공연 홍보효과가 입증되었다. 본 연구는 실증분석을 통해 현장공연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효과를 검증해 실질적인 전략수립의 단초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클래식음악 애호가의 인스타그램 리뷰: 상호 학습을 통한 문화자본 축적 (Classical Music Review on Instagram: Accumulating Cultural Capital through Inter-Learning)

  • 성연주
    • 문화경제연구
    • /
    • 제21권2호
    • /
    • pp.111-139
    • /
    • 2018
  • 이 연구는 인스타그램에 장문의 클래식음악 공연 리뷰를 게시하는 클래식음악 애호가에 주목하여, 공연 리뷰를 작성하는 동기와 목적을 밝히고 리뷰를 매개로 이루어지는 애호가들 사이의 상호 커뮤니케이션을 분석하였다. 분석 자료로는 인스타그램에 리뷰를 게시하는애호가 8인과 진행한 인터뷰를 주로 활용하였으며, 이들이 게시한 리뷰 글도 분석에 포함하였다. 분석 결과, 클래식음악 애호가들이 인스타그램을 애용하는 이유는 인스타그램의 용이성, 익명성, 친밀성의 세 가지 특성(어포던스) 때문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이미지 중심의 인스타그램 운영 방식은 자신이 작성한 공연 리뷰 콘텐츠의 수준에 확신이 없는 애호가들에게 텍스트에 쏠리는 주목과 관심을 회피하는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이들은 클래식음악 감상에 적합한 문화자본을 가지지 못했다는 열등감 때문에 인스타그램에 리뷰를 게재하지만, 리뷰를 지속적으로 작성하고 읽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애호가들 사이의 상호 학습을 통해 클래식음악 감상에 필요한 문화자본을 축적하고 있었다.

의복 조형요소에 따른 클래식이미지 분류 (Classic Image Classification by Clothing Design Elements)

  • 이경림;박숙현;권미정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60-171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the classic image by clothing design elements. This research was done by survey method with 20 kinds of classic image photos selected in fashion magazines. The data was analyzed by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ANOVA, Duncan's test and MD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Classic image was classified by 4 factors. Those were retro-classic, mannish-classic, elegant-classic and contemporary-classic images. 2. Retro-classic image was well-expressed by A silhouette and chromatic and chromatic color coordinations. Mannish-classic image was well-expressed by H silhouette, chromatic and achromatic color coordinations and hard texture. Elegant-classic image was well-expressed by fitted silhouette and chromatic and chromatic color coordinations. Contemporary-classic image was well-expressed by achromatic and achromatic color coordinations and hard texture. 3. Classic image was positioned into mostly retro and masculine on image scale.

선호하는 감성어휘 분석을 통한 남녀대학생의 감성 유형화 (Grouping and Visualization of Preferred Sensations among College students)

  • 한경미;나영주;조길수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5-18
    • /
    • 2001
  • 98가지 감성 형용사를 수집하여 176명의 남녀대학생을 대상으로 SD법에 의해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선호감성어휘는 '로맨틱, 센수얼, 캐주얼, 클래식, 캐릭터, 프린스, 심플, 복고풍, 모던, 수공예, 테크노' 등으로 요약되었는데 이를 바탕으로 군집분석을 시행하여 선호 감성을 유형화시켰다. 남녀대학생이 선호감성은 크게 10가지의 유형으로 나타났는데, 대부분의 대학생들이 '캐주얼파였으나(32.4%), 이는 구체적으로 '비장식개성캐주얼파, 역동쿨개성캐주얼파'였으며, 다음으로는 '단순내추럴파'가 17.3%였다. 이후 '클래식파(9.2%-수공예로맨틱클래식파, 획일적클래식파', '비표현파(8.7%)', '호화개성복고파(6.4%)', '민족감성선호파(4.6%)' 등이 있었다. 대학생을 집단들은 크게 두 개의 선호 감성축(정적-동적, 경량-중량)을 중심으로 가시적으로 그룹화 될 수 있었다.

  • PDF

오데사 국립 음대 신문희 교수의 삶과 공간

  • 권희란
    • 주택과사람들
    • /
    • 통권193호
    • /
    • pp.10-15
    • /
    • 2006
  • 러시아에서 동양인 최초의 젊은 여교수로 유명세를 치른 작은 체구의 신문희 교수. 영국의 왕립음악학교, 이탈리아에서 정식 성악 코스를 거친 그녀는, 이제 보수적이면서도 정적인 한국의 클래식 음악계를 활기찬 손길로 노크하고 있다. 그것도 정통 클래식이 아닌 크로스오버 음악으로. 음악인이기 전에 한없이 꿈 많고 여린 감성의 소유자인 그녀가 말하는 '나의 인생과 나의 집'.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