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큰마름

Search Result 93,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A taxonomical examination of Trapa japonica and T. bispinosa based on nut characters (열매 특성에 의한 한국산 마름과 큰마름에 대한 분류학적 검토)

  • Na, Hye Ryun;Kim, Changkyun;Jung, Jongduk;Choi, Hong-Keun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40 no.2
    • /
    • pp.113-117
    • /
    • 2010
  • We examined the sixteen quantitative characters of Trapa and conducte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for T. japonica Flerow and T. bispinosa Roxb. in South Korea. Trapa bispinosa has been recorded as 'Ma-reum (T. japonica Flerow)' in the Korean flora, but this taxon is distinct from T. japonica in terms of width, thickness and upper horns of its nut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confirms the morphologically distinct status for the two species. We suggest the common name 'Keun-ma-reum' for Trapa bispinosa to the Korean flora.

병충해 방제 - 칠엽수 잎마름병 (Leaf blotch)

  • Kim, Gyeong-Hui
    • Landscaping Tree
    • /
    • s.142
    • /
    • pp.47-48
    • /
    • 2014
  • 칠엽수는 마로니에라는 이름으로 많이 알려져 있는 나무이며, 마로니에는 칠엽수 집안의 나무들을 통틀어서 부르는 이름이다. 일본 원산인 칠엽수, 소아시아 원산이며 열매 겉에 가시가 있는 가시칠엽수는 우리나라의 가로수나 공원수로 많이 심겨져 있다. 이런 칠엽수류에 여름이면 잎에 갈색의 큰 반점이 생기며 지저분해지는 잎마름병이 큰 문제가 되고 있어 이 병을 소개한다. 칠엽수 얼룩무늬병으로도 알려져 있는데 한국식물병리학회의 공식적인 병명은 칠엽수 잎마름병이다.

  • PDF

농업기술: 고품질 쌀 생산을 위한 주요 병해충 방제 - 키다리병, 줄무늬잎마름병, 흰잎마름병 방제

  • Lee, Dong-Cheol
    • 농업기술회보
    • /
    • v.48 no.2
    • /
    • pp.30-31
    • /
    • 2011
  • 최근 이상기온에 따른 환경의 변화로 그동안 문제되지 않았던 병해충이 많이 발생되어, 벼농사에 큰 피해를 주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키다리병 줄무늬잎마름병, 흰잎마름병이 많이 발생되어 수확을 하지 못할 만큼 큰 피해를 주고 있다. 벼에 발생되는 주요 병해를 중심으로 발생원인을 알아보고, 방제요령을 실천하여 2011년 고품질 벼 생산으로 농가소득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PDF

농업기술 - 벼 흰잎마름병 발생모습 및 예방요령

  • No, Tae-Hwan
    • 농업기술회보
    • /
    • v.49 no.4
    • /
    • pp.21-22
    • /
    • 2012
  • 벼 흰잎마름병은 벼에 발생하는 중요한 세균병 중 하나로 우리나라 벼 재배에서 가장 큰 피해를 주고 있다. 한 번 발생하면 치료가 힘든 병으로 알려져 있어 예방위주로 철저히 방제해야 수량감소와 쌀의 품질저하를 막을 수 있다.

  • PDF

Suppressive Effect of Water Extract from Spent Mushroom Substrate of Pleurotus eryngii against Tomato Bacterial Wilt Disease (큰느타리 수확 후 배지 물 추출물의 토마토 풋마름병 억제)

  • Kwak, A-Min;Lee, Sang-Yeop;Kang, Hee-Wan
    •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 /
    • v.44 no.4
    • /
    • pp.323-329
    • /
    • 2016
  • Water extract from spent mushroom substrate (WESMS) of Pleurotus eryngii suppressed bacterial wilt disease of tomato caused by Ralstonia solanacearum by 70% without any direct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the pathogen. WESMS-treated tomato had increased contents of free phenolic compounds (increased by 3%) and total salicylic acid (increased by 75%), and significantly enhanced plant height, leaf number, and fresh weight compared to those of a water-treated tomato sampl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treatment of tomato with WESMS can suppress bacterial wilt disease by enhancing plant defense factors and overall plant health.

Influence of Late Summer Fertilizer on the Yield and Cold Damage of Mulberry in Kangwon Province (강원도 지방의 뽕밭에서 철늦은 여름 덧거름이 수량 및 가지끝마름에 미치는 영향)

  • 김기석;최지형
    • Journal of Sericultural and Entomological Science
    • /
    • v.35 no.1
    • /
    • pp.17-20
    • /
    • 1993
  • Cold damage of mulberry in Kangweon Province is generally higher that of other provinces. Farmers suspected cold damage caused from late summer fertilizer. To understand the effect of late summer fertilizer. To understand the effect of late summer fertilizer, two additional summer fertilizer times, August 10 and 20, were compared with conventional time(June, 20). Mulberry yield increased by 10~30% in 1m middle cut, and 10~17% in leaf picking method in August 10 treatment, compared with conventional. Additional summer fertilizer did not increase cold damage rate of branches. Leaf yield in leaf picking was higher by 6~29% that that of 1m middle cut.

  • PDF

Study on the Seed Germination Characteristics of Trapa japonica FEROV. (마름(Trapa japonica FEROV.) 종자의 발아특성에 관한 연구)

  • Choi, J.S.;Kim, J.S.;Lim, H.K.;Kwak, H.H.;Cho, K.Y.
    • Korean Journal of Weed Science
    • /
    • v.17 no.4
    • /
    • pp.413-420
    • /
    • 1997
  • In this study, germination characteristics and effect of some chemicals on germination of Trapa japonica $F_{EROV}$ seeds were investigated to obtain a fundamental data for controlling them. When the seeds were stored at low temperature for at least 3 months, their dormancy was completely released with a germinability of above 90%. However, those stored under the room or high temperature condition were never germinated. Germination was best at constant temperature of around $25^{\circ}C$ or at alternate temperature of 25/$15^{\circ}C$ (12 hr-day/12 hr-night), and was nat dependent on light. They could germinate though planted at the depth of 15 cm, but their initial growth were: suppressed with increase of planting depth, especially above 10 cm depth. Germinability was lost when the fresh weight was decreased more than 30%, indicating that the seed is sensitive to dehydration. The freezing at $-20^{\circ}C$ for 1 hr didn't affect germination, but 5 hr treatment completely killed them. Their germination was inhibited by 100% at 100 ppm ABA and slightly inhibited above 25 ppm of butachlor, whereas pyrazosulfuron-ethylnt is likely to control T. japonica physically and herbicide treatment to inhibit germination may not be recommendatory. and bensulfuron-methyl didn't inhibit the germination at the concentration of 100 ppm. Taken together, dehydration treatme is likely to control T. japonica physically and herbicide treatment to inhibit germination may not be recommendatory.

  • PDF

5대 병해충 중심으로 동시방제 -수도병해충 발생동향과 방제촛점-

  • 이상석
    • The Bimonthly Magazine for Agrochemicals and Plant Protection
    • /
    • v.6 no.2
    • /
    • pp.79-88
    • /
    • 1985
  • 쌀자급을 위한 다수확재배 방법을 도입함으로서 병해충의 발생양상도 변모하고 있다. 병해충 발생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방제에 대처해 나간다면 병충해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이다. 다행히 병충해로 인한 피해가 점차 적어지고 있으며 이웃 일본보다도 해에 따라서는 앞서고 있어 우리 농민들의 방제기술 수준이 높아졌음을 증명하고 있는 것이다. 병충해로 인한 피해는 앞집무늬마름병과 도열병$\cdot$멸구류가 주종을 이루고 있다. 도열병과 멸구류 피해는 해에 따라 큰 차이가 있으며 앞집무늬마름병은 넓게 발생되어 피해를 주고 있는 것이 특징이라 하겠다. 주요 병충별 발생동향과 금년도 방제초점이 무엇인가 살펴보기로 한다.

  • PDF

채소작물 병해방제 집중탐구 (3)수박 - 시설재배환경 덩굴마름병 발생에 적합 - 탄저병과 역병은 노지재배시 문제

  • 김충회
    • The Bimonthly Magazine for Agrochemicals and Plant Protection
    • /
    • v.12 no.6 s.105
    • /
    • pp.94-101
    • /
    • 1991
  • 우리나라 수박재배에서 가장 큰 문제가 되는 병해는 덩굴쪼김병(만할병), 덩굴마름병(만고병), 탄저병, 역병(돌림병)이라 할 수 있다. 이외에 5$\~$6가지의 병이 발생하고 있으나 상기 4가지 병해에 비하면 발생면적도 적고 피해도 일반적이지 못하다. 덩굴쪼김병은 접목재배에 의하여 피해가 경감되고 있으나 수박재배 경험이 풍부하지 못한 농민들은 이 병해 때문에 실패하기 쉽다. 덩굴마름병은 특히 시설재배에서 피해가 큰데, 전생육기간동안 기온이 낮을 때 발생하므로 해마다 농민들이 골치를 앓는 병해다. 탄저병과 역병은 시설재배보다는 노지재배에서 훨씬 많이 발생하며 그 피해도 대단히 크다. 특히 이 병해들은 강우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약제를 살포할 여유도 없이 급진전하므로 잠깐 소홀히 한 사이 포장이 수박전체가 피해를 입는 경우가 허다하다. 여기에서는 앞서 이야기한 4가지 병해를 중심으로 발생생태와 효과적인 방제방법을 알아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