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크기 성질

검색결과 803건 처리시간 0.029초

쌀가루의 수분함량과 입자크기에 따른 Extrudate 의 물성학적 성질 (Effects of Moisture Content and Particle Size of Rice Flour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Extrudate)

  • 류기형;이철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63-469
    • /
    • 1988
  • 쌀가루의 압출성형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원료의 수분합량과 입자크기를 달리하여 자가발열형 single screw extruder로 처리하고 이때 온도변화에 따른 extrudate의 물성학적인 성질을 비교하였다. 원료의 수분함량은 17%, 19%, 22%, 25%, 28%로 했고 입자크기는 18-60mesh와 60-120mesh의 두 범위로 했다. 내부흐름의 온도는 자동 온도기록계에 기록되게 하여 정상상태 가동이 될 때까지 경시적으로 시료를 채취하였다. 팽화율은 수분함량과 입자크기가 감소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bulk density는 팽화율과 역상관 관계를 나타내었다. Extrudate의 절단력은 수분함량이 적고 입자조기가 감소함에 따라 낮아졌으며 기공의 크기도 균일하였다. 색도는 수분함량과 입자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명도는 증가하였고 황색도는 감소하였다. 겉보기 점도는 수분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했고, 수용성 지수는 감소하였다. 원료의 수분이 감소함에 따라 일부의 전분은 호정화를 유발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나노크기의 폭을 가진 우물 형태의 이중 발광층을 사용한 청색 유기발광소자의 색안정성과 색순도 향상 메카니즘

  • 고요섭;서수열;방현성;추동철;김태환;서지현;김영관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09년도 제38회 동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425-425
    • /
    • 2010
  • 유기 발광 소자는 차세대 디스플레이 소자와 조명 광원으로서 많은 응용성 때문에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청색 유기 발광 소자는 적색과 녹색 유기발광소자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발광효율이 낮고 색 순도가 떨어지며 수명이 짧기 때문에 전색 유기발광소자를 구현하는데 문제가 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청색 유기 발광소자의 재료 개발, 다층 이종구조 및 형광/인광성 물질의 도핑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색안정성과 색순도가 향상된 진청색 고효율 청색 유기발광소자는 백색유기발광소자의 응용성 때문에 이에 대한 연구가 주목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청색 유기 발광 소자의 발광효율을 높이고 색안정성과 색순도를 향상하기 위해 4,4'-Bis (2,2'-diphenyl-ethen-1-yl)biphenyl (DPVBi) 와 4,4'-Bis(carbazol-9-yl) biphenyl (CBP)로 구성된 나노크기의 폭을 가진 우물 형태의 이중 발광층 구조를 사용한 청색 유기발광소자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청색유기발광소자의 전기적 성질과 광학적 성질을 조사하여 색안정성 및 색순도 향상 메카니즘을 관찰하였다. DPVBi/CBP 이중 발광층을 가지는 청색 유기발광소자에서 CBP의 HOMO 에너지 준위의 값이 3.2 eV로 매우 크기 때문에 정공을 막는 정공 장벽층의 역할을 하게 되어 정공이 발광층에 머무르게 된다. 또한 DPVBi의 LUMO 값의 크기 5.8 eV, CBP의 LUMO 값의 크기는 6.3 eV이므로 상대적으로 CBP의 전자에 대한 주입장벽이 크기 때문에 발광층에 머무르는 전자의 양이 증가된다. 청색 발광층에 사용된 이중 발광층은 단일 발광층에 비해 더 많은 전자와 정공이 존재하기 때문에 전자-정공 재결합 확률을 높였으며 재결합 영역이 발광층 중심의 이중발광층 계면으로 이동하여 발광 영역이 국소화되어 전압변화에 따른 색의 변화가 적고 색순도가 더욱 향상되었다.

  • PDF

브레이드 복합재료의 원공의 크기와 분포가 재료강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irculat Hole Size and Distribution on Strength of Braided Composite)

  • 이경우;강태진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253-258
    • /
    • 1994
  • S2-유리 섬유/폴리에스터 브레이드 복합재료에서 원공의 크기 및 원공간 거리 변화가 인장성질, 핀하중 인장성질, 굽힘성질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원공의 크기에 따른 복합재료의 인장강도의 저하는 Whitney와 Nuismer에 의해 제시된 이론값과 대체로 일치함을 보여주었으며 이때의 특성길이($d_o$)는 브레이드 복합재료는 약 1.6mm, 직물 적층 복합재료는 약 1.8mm가 되었다. 브레이드 복합재료의 원공간 거리 변화에 따른 인장강도의 변화는 두 원공 중심 사이의 거리가 원공 지름의 4배 이상이면 원공간 상호작용이 없었다. 원공의 중심과 측면간 거리에 따른 인장강도의 변화는 원공의중심과 측면간 거리가 원공 지름의 3배 이상일 때 상호작용이 없었다. 핀하중 인장실험에서 브레이드 복합재료와 직물 적층 복합재료 모두 핀의 지름이 증가함에 따라 Bearing Stength는 감소하였다.

  • PDF

양이온 교환체에서 희토류원소와 $\alpha$-Hydroxyisobutyric Acid 착물들의 머무름 거동에 관한 연구 (Retention Behavior of Lanthanide Complexes with $\alpha$ -hydroxyisobutyric Acid on Cation Exchanger)

  • 조기수;한선호;서무열;엄태윤;김연두
    • 대한화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582-592
    • /
    • 1990
  • 양이온 교환체 (LC-18 coated with $C_{20}H_{41}SO_4^-$)에서 희토류원소-$\alpha$HiBA 착물계의 머무름 거동을 연구하였다. [Na$^+$] 및 [$\alpha$-HiBA]의 등용매 또는 기울기 용리에 따른 희토류원소의 머무름을 나타내는 관계식을 이온 교환 평형식으로부터 유도하였다. [$Na+$] 및 [$\alpha$-HiBA]의 등용매 용리에 따른 크기성질(k')의 관계인 log k' vs log [$Na^+$] 및 log k' vs log [$\alpha$-HiBA]의 직선의 기울기 값에 대한 실험값과 계산값을 비교한 결과 서로 일치하였다. 위의 관계식으로부터 비선형 최소자승법으로 각 개별 착물들의 크기성질($k'_{Ln}^{3+}, k'_{LnL}^{2+}, k'{LnL2+}) 및 착물의 안정도 상수(${\beta}_1$, ${\beta}_2$, ${\beta}_3$)를 각각 구하였다. 희토류원소들의 크기성질(k')에 대한 실험값과 계산값의 상관계수가 0.9996보다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 PDF

분산성분모형에서 요인의 배치구조가 모형선택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연구 (Effect of Experimental Layout on Model Selection under Variance Components Models: A Simulation Study)

  • 이용희
    • 응용통계연구
    • /
    • 제28권5호
    • /
    • pp.1035-1046
    • /
    • 2015
  • 분산성분모형은 다양한 임의 요인들이 반응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선형식의 형태로 나타내는 매우 유용하고 널리 사용되는 통계적 모형이다. 분산성분모형은 요인의 배치나 관측 자료의 구조에 따라 크게 교차배치와 지분배치로 나누어진다. 본 논문은 분산성분모형에서 요인의 배치구조와 분산성분의 크기에 따라 모형선택법의 경험적인 성질이 다르게 나타나는 현상을 체계적인 모의실험을 통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이원배치 분산성분모형에서 정보기준에 근거한 모형선택법, 즉 BIC 또는 AIC를 사용하는 경우 요인의 배치구조와 분산성분의 크기에 따라 모형선택법의 경험적인 성질이 다르게 나타나는 현상을 소규모 모의실험을 통하여 보여준다. 모의실험 결과에서 모형선택법의 경험적 성질이 요인의 배치 설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요인의 배치구조가 지분 설계구조일때 내포된 요인의 분산성분의 상대적인 크기가 커짐에 따라 자료를 생성하는 모형보다 작은 모형을 선택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 모의실험으로 확인되었다.

옥수수, 고구마, 감자, 소맥, 녹두 전분의 이화학적 성질 비교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orn, Sweet Potato, Potato, Wheat and Mungbean Starches)

  • 정승현;신건진;최춘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72-275
    • /
    • 1991
  • 국내 식품산업에 주로 사용되고 있는 옥수수, 고구마, 감자, 소맥, 녹두 전문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아밀로오스 함량, 전분입자의 크기, 색깔, 점도, 물결합능력, 텍스쳐 성질을 측정하였다. 아밀로오스 함량은 녹두 전분이 39%로 높게 나타났고, 전분입자의 크기는 감자 전분이 평균 39%로 높게 나타났고, 전분입자의 크기는 감자 전분이 평균 $76\;{\mu}m$로 이들 전분 중 가장 크게 나타났다. 또한 색깔은 고구마 전분이 백색도와 명도가 낮게 나타났고, 초고점도는 감자 전분이 $82^{\circ}C$에서 1250 B.U.로 이들 중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전분 겔의 텍스쳐 성질에서는 고구마, 감자 전분이 springiness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고, 이 두 전분은 다른 기계적 특성치도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옥수수 전분은 다른 전분에 비하여 hardness는 낮게 나타났지만 cohesiveness는 높은 수준이었다.

  • PDF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나노복합체 필름 : 열적-기계적 성질, 모폴로지 및 기체 투과도 (Ultra 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Nanocomposite Films : Thermomechanical Property, Morphology, and Gas Permeability)

  • 정민혜;김정철;장진해
    • 폴리머
    • /
    • 제31권5호
    • /
    • pp.428-435
    • /
    • 2007
  • 종류가 다른 두 가지 유기화 점토를 사용하여 얻은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HMWPE) 나노복합재료의 열적, 기계적 성질 및 기체 투과도를 서로 비교하였다. UHMWPE 복합체 필름을 얻기 위해 유기화 점토로는 헥사메틸렌 벤즈이미다졸-마이카($C_{16}BIMD-Mica$)와 Cloisite 25A가 사용되었다. 용액 삽입법을 이용하여 UHMWPE에 여러 다른 농도의 유기화 점토를 분산시켜 나노 크기의 복합재료를 합성하였다. 투과 전자 현미경(TEM)을 이용하여 비록 일부는 뭉쳐진 점토의 형태를 나타내었지만 한편으로는 점토가 나노 크기로 고루 분산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약간의 유기화 점토 첨가(1-3 wt%) 만으로도 순수한 UHMWPE에 비해서 나노복합재료의 열적, 기계적 성질 및 기체투과도 성질이 높아짐을 알았다. 또한 전체적으로는 첨가된 두가지 유기화 점토 모두 적당한 농도에서 UHMWPE의 물성 증가에 큰 효과가 있었으며, 매트릭스 고분자에 사용된 두 가지 충전제중 Cloisite 25A가 $C_{16}BIMD-Mica$ 보다더 우수한 물성을 보였다.

CoP나노선재의 자기적 성질에 미치는 미세구조와 크기 효과 (Variation of the Magnetic Properties of Electrodeposited CoP Nanowire Arrays According to Their Size and Microstructure)

  • 김이진;이관희;정원용;김광범
    • 전기화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208-211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CoP나노선재의 미세구조 및 크기에 따른 자기적 성질의 변화를 고찰하였다. 우선 나노선재를 제조하기 위하여 기공의 직경이 각각 20nm, 200nm인 알루미나 형틀을 제조하였고, 이 형틀을 이용하여 전기도금 방법으로 CoP나노선재를 제조하였다. 직경이 20nm인 나노선재의 경우 나노선재의 길이방향으로의 각형성 및 보자력이 각각 0.8, 2600 Oe으로서 지금까지 보고된 나노선재들에 비해 우수한 자기적 성질을 나타내었고 전기도금 시 전류밀도의 영향이 거의 없었다. 그러나 직경이 200nm인 나노선재는 나노선재의 길이방향으로 각형성 및 보자력이 각각 0.15, 1200 Oe으로 20nm나노선재보다 현격하게 감소하였으며 나노선재의 자기적 성질이 전류밀도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상대적으로 낮은 전류밀도에서 제조된 나노선재일 수록 나노선재와 평행한 방향으로 자화용이축이 배향되어 길이방향으로 각형성 및 보자력이 증가하였다.

(Ce-Didymium)-Fe-B 합금의 자기적 성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gnetic properties of (Ce-Didymium)-Fe-B alloy)

  • 김종오;노재승
    • E2M - 전기 전자와 첨단 소재
    • /
    • 제3권1호
    • /
    • pp.36-44
    • /
    • 1990
  • 본 연구는 34wt%(5Ce-Didymium)-Fe-1wt%B 합금의 분말입도, 성형압력 및 소결온도 에 따른 자기적 성질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자기적 성질에 영향을 주는 인자를 알아내기 위하여 밀도측정, 미세조직 및 자구를 관찰하였다. 미세조직은 금속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으며 자구는 Bitter법으로 관찰하였다. 결과는 아래와 같다. (1)분말의 입도와 결정립 크기가 작아질수록 경질자기 특성은 증가하였으며 소결온도가 증가할수록 경질자기 특성도 증가하였다. 그러자 압력은 1000kg/$cm^{2}$일때 가장 좋은 경질자기 특성이 얻어졌다. (2)결정립이 클수록 자구의 구조는 복잡했으며 미세한 결정립일수록 큰 결정립에 비해 큰 보자력을 갖는다. 포화된 후에는 거의 모든 결정립이 단자구였으며 열적으로 탈자되었을 경우에는 모두가 multi-domain였다. (3)가장 우수한 경질자기 특성은 3-5.mu.m의 분말을 사용하여 1080.deg.C에서 소결한 후 590.deg.C에서 열처리한 시편에서 얻어졌으며 (BH)$_{max}$는 214.6kJ.m$_{-3}$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