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큐슈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26초

일본 큐슈(九州)지역의 국제교류를 이용한 지역 활성화정책의 원인과 현황 (The Causes and Status of Regional Development Strategy by International Exchanges in Kyushu, Japan)

  • 신영근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603-615
    • /
    • 2011
  • 최근 지역 활성화정책의 일환으로 관광의 중요성이 날로 강조되고 있는 가운데, 한국인관광객의 비중이 약 60%를 차지하고 있는 일본 큐슈 지역에서는 한국인관광객을 겨냥한 국제교류 축제 및 이벤트가 활발히 개최되고 있다. 그 이유로는 첫째, 큐슈 지역이 타 국가들보다도 한국과 가장 가깝고 교통이 편리하다는 점, 둘째, 큐슈 지역에는 한일양국의 국제교류의 소재가 될 만한 한국관련 역사가 풍부하다는 점, 셋째, 큐슈지역은 일본 내에서도 특히 한국과 자매결연을 맺고 있는 시정(市町)의 수가 많아, 국내 자매도시들과의 국제교류행사가 용이하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큐슈 지역 내에서도 나가사키현 쓰시마시는 이상의 조건들을 가장 만족시키는 지역이라는 점에서, 한국과의 국제교류를 이용한 지역 활성화의 움직임이 가장 적극적인 것으로 분석된다.

  • PDF

일본 큐슈 구마모토 지역의 지하수 관리 (Groundwater management in the Kumamoto region, Kyushu, Japan)

  • 정상옥
    • 물과 미래
    • /
    • 제37권2호
    • /
    • pp.74-81
    • /
    • 2004
  • 구마모토현은 일본 큐슈지방의 좌측 중앙부에 위치하며, 우측은 남북으로 이어지는 큐슈산맥을 경계로 하고 좌측은 유명해에 접하고 있으며, 면적은 $7,404\textrm{km}^2$ 이고 2000년말 현재 인구는 1,865천명이다. 구마모토지역은 구마모토현에서 지하수자원 관리를 위하여 $1,042.2\textrm{km}^2$ 의 면적에 설정한 구역으로 구마모토현의 중서부 지역에 있으며 16개 시정촌(2개 시, 12개 정, 2개 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구마모토시가 가장 넓은 $226.2\textrm{km}^2$을 차지하고 있다(그림 1).(중략)

  • PDF

기고 - 일본 큐슈지역 6차 산업 연수를 다녀와서

  • 김의겸
    • 월간양계
    • /
    • 제49권10호
    • /
    • pp.177-180
    • /
    • 2017
  • 필자는 지난 8월 21일부터 25일까지 2017년 농업인 국외훈련과정으로 6차 산업 정책과정 연수차 일본을 다녀오면서 큐슈지역의 후쿠오카 현, 오이타 현, 구마모토 현을 방문한 내용을 본지를 통해 소개한다.

부산-큐슈 해운항만분야 연계협력방안에 관한 연구

  • 배석태;조규성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62-63
    • /
    • 2014
  • 일본의 큐슈지역과 부산지역간의 국제적 분업의 틀 속에서 수평적 혹은 수직적 분업을 통해 국경을 초월한 초광역경제권 형성 움직임과 지역 간 무역과 투자의 증대 및 경제 협력의 필요성을 제시.

  • PDF

수분 및 에너지 변동성에 따른 유출률의 변동성 (Variability of annual runoff ratio in conjunction with the moisture and energy variability)

  • 유상현;백경록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9년도 학술발표회
    • /
    • pp.111-111
    • /
    • 2019
  • 장기유출해석에서 유출률은 강수량에 대한 유출량의 비로 정의되며 이를 이해하는 것은 물순환 평가와 수자원 관리에 매우 중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물수지 방정식으로부터 유출률(C)을 강수량(P)과 증발산량(E)의 함수로 나타내보고 이를 검증하기 위해 우리나라와 일본 큐슈의 총 14개 유역에 적용해 보았다. 모든 유역에서 강수량과 유출량이 증발산에 비해 크게 변동하였으며 강수량과 유출량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유출률은 강수량과 비례하지만, 강수량이 커질수록 강수량의 변화에 대한 유출률의 변화가 작게 나타났다. 큐슈보다 연강수량이 적은 우리나라의 경우 강수량의 변화에 따른 유출률의 변화가 크기 때문에 수자원 관리에 어려움이 예상된다. 한편, 증발산량은 흔히 이해되는 바와 같이 연평균기온이 높은 유역에서 대체로 크게 나타났으며 우리나라보다 큐슈에서 증발산량이 기온의 변화에 더 민감하게 변화한다.

  • PDF

고속철도역 신설과 도시 재구조화 연계 계획의 특성 - JR큐슈 주요 역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Re-Organization regarding as an Establishment of New High-Speed Railway Stations focused on JR Kyushu's Main Stations)

  • 신예경;정혜진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6권7호
    • /
    • pp.427-437
    • /
    • 2016
  • 본 연구는 일본의 큐슈지역에서 고속철도가 추가로 부설되면서, 기존의 구 철도역사에 이를 수용하기 위한 기능을 도입하기 위해 새로운 고속철도역사를 추가로 건립하고, 건립과 동시에 철도역사를 중심으로 한 인접역세권 개발을 추진하고 있는 사례들에 주목한 연구이다. 일본 큐슈 지역의 고속철도역사를 중심으로 한 구도시의 재구조화 방식 및 기법 및 특성을 분석하여 그 계획적 의미 및 특성을 도출하고, 국내 역세권 개발에 적용 가능한 도시계획기법을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일본 큐슈 지역에 신칸센이 연장되면서 최근 5년 이내 신축되었거나, 개발 중인 하카타역, 구마모토역, 가고시마 중앙역의 3개 역사를 사례로 하였다. 연구의 결과 큐슈 북부, 중부, 남부에 위치한 각 해당 철도역은 큐슈 전 지역 내에서 각 역의 지리적 위치에 의한 지역적 관계, 즉 지리적 입지와 철도네트워크 내에서의 각 역 기능의 적극적 연계, 도심과 역과의 관계 재설정, 관광지 개발과 밀접한 연계체계 확립, 낙후될 수밖에 없었던 선로 반대측으로의 개발을 확장시키는 고속철도역사 병설방식, 고밀 복합용도 개발을 통한 상주인구 확보 등과 같은 전략을 통해 역을 중심으로 지역계획과 통합하여 도심재생을 추진하였음을 확인하였다.

해외동향

  • 한국전기산업진흥회
    • NEWSLETTER 전기공업
    • /
    • 99-2호통권219호
    • /
    • pp.16-24
    • /
    • 1999
  • PDF

하이브리드도서관을 위한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 일본 큐슈대학 중앙도서관의 적용 사례 - (A Study on Space Organization for the Hybrid Library - An Application to the Central Library of Kyushu University -)

  • 유병장
    • 정보관리연구
    • /
    • 제41권4호
    • /
    • pp.141-163
    • /
    • 2010
  • 인터넷을 통해서 수집할 수 있는 정보가 방대해지고 검색엔진이 고도화되면서 웹을 사용해서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 일반화되었다. 전자책 등 디지털 자료는 인터넷이 가능한 곳에서는 어디서든지 이용할 수 있으며 디지털 정보에 대한 수요는 더욱 더 늘어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자료의 중요성과 비중이 커짐에 따라 전통적인 종이 자료와 디지털 자료의 모두를 한 공간에서 다루는 새로운 도서관의 모델을 제안하기 위해 문헌조사, 큐슈대학 부속도서관의 각종 통계자료 분석, 도면 및 현장조사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도서관은 자료의 제공 이외에도 학습의 장소, 커뮤니티를 위한 사람들의 교류의 장소 등 사회 문화적 역할도 중요하며, 또한 디지털 자료의 비중이 커지면서 도서관 "공간"의 역할에 대하여 근본적으로 재검토할 필요가 있었다. 도서관의 공간을 매체의 형태와는 관계없이 주제 중심으로 하나의 공간에 재구성하는 하이브리드도서관에서는 이용자가 동일한 지역에 체류하면서 도서관자료나 인적서비스 등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