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쾌락적 가치

검색결과 111건 처리시간 0.029초

지각된 쇼핑가치차원이 점포태도, 쇼핑과정에서의 정서적 경험, 점포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Perceived Shopping Value Dimensions on Attitude toward Store, Emotional Response to Store Shopping, and Store Loyalty)

  • 안광호;이하늘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2권4호
    • /
    • pp.137-164
    • /
    • 2011
  • 본 연구는 경험가치척도(EVS; Experiential Value Scale)를 바탕으로 측정된 쇼핑가치차원이 쇼핑점포에 대한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각 쇼핑가치차원이 쇼핑점포에 대한 소비자반응에 미치는 상대적 효과가 백화점과 할인점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도 분석했다. 실증분석결과 점포에서 제공하는 실용적 쇼핑가치와 쾌락적 쇼핑가치는 점포에 대한 호의적 태도와 점포에 대한 감정적 반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실용적 쇼핑가치의 하위차원인 서비스우수성, 효율성, 경제적 가치가 증가할수록, 소비자들의 점포에 대한 호의적 태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쾌락적 쇼핑가치의 하위차원인 시각적 매력, 오락적 가치, 일상탈출, 내재적 즐거움이 높은 것으로 지각할수록, 쇼핑과정에서 소비자들의 긍정적인 감정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쾌락적 쇼핑가치는 소비자들이 점포에 대한 호의적 태도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직접적 영향이 아닌 점포에 대한 소비자들의 감정적 반응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점포에 대한 호의적 태도와 점포에 대한 긍정적 감정형성은 점포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흥미롭게도 쾌락적 쇼핑가치가 점포에 대한 긍정적 감정반응에 미치는 영향은 백화점보다 할인점에서 높게 나타났다.

  • PDF

인터넷 쇼핑가치, 점포이미지와 고객만족 및 재방문의도 - 구매제품유형별 비교 - (Internet Shopping Value, Store Image, Customer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 A Comparison by Product Types -)

  • 김경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173-181
    • /
    • 2008
  • 본 연구는 인터넷 쇼핑몰에서 소비자의 구매제품유형에 따라 쇼핑가치와 점포이미지를 파악하여 만족도 및 재방문의도와의 관련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쇼핑가치는 쾌락적 가치와 실용적 가치로 분류되었으며 쇼핑몰의 이미지는 명성, 제품 및 정보서비스, 구매 후 고객서비스, 분위기, 편리성, 안전성 등 여섯 가지 차원으로 추출되었다. 쇼핑몰의 이미지요인은 탐색재, 경험재 모두 쾌락적 쇼핑가치보다는 실용적 쇼핑가치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높았다. 또한 구매제품유형에 따라 쇼핑몰의 이미지와 쇼핑가치가 고객만족 및 재방문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데 서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인터넷 쇼핑몰 시장에서 차별화된 세분시장을 파악하는데 마케팅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골프의류 소비자의 쇼핑가치가 점포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독특성 욕구와 점포 유형의 조절효과 (The Impact of Golf Apparel Consumers' Shopping Value on Store Loyalty: The Moderating Role of Consumers' Need for Uniqueness and a Store Type)

  • 박성진;한진욱;김민수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1권4호
    • /
    • pp.197-210
    • /
    • 2012
  • 본 연구는 골프 의류 소비자의 쇼핑가치가 점포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소비자의 독특성 욕구와 점포 유형의 조절효과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 소재 두 곳의 백화점 골프 의류매장과 네 곳의 대형마트 골프 의류매장을 이용하는 소비자들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229부의 자료가 분석에 이용되어졌고 기술통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성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 및 조절회귀분석을 실행하여 수립된 가설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골프 의류 소비자의 쇼핑가치 두 개의 하위 요인인 실용적 및 쾌락적 쇼핑가치는 점포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실용적 쇼핑가치가 점포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은 독특성 욕구가 약한 소비자들에게 더 강하게 나타났고, 쾌락적 쇼핑가치가 점포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은 독특성 욕구가 강한 소비자들에게 더 강한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실용적 쇼핑가치가 점포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은 점포유형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쾌락적 쇼핑가치가 점포충 성도에 미치는 영향은 백화점 골프 의류매장 소비자들에게 더 강하게 나타났다.

대학생의 쇼핑가치 유형과 신용카드의 혜택 및 위험 요인 지각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Credit Cards' Benefit and Risk and the Shopping Value Types among Korean Undergraduate Consumers)

  • 홍희영;두경자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9권2호
    • /
    • pp.145-161
    • /
    • 2005
  •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he hedonic and utilitarian shopping values were expressed in shopping experience among the undergraduates and how the consumers with different shopping values vary in the perception of credit cards' benefit and risk. The 215 undergraduates in Seoul were survey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undergraduates were divided into hedonic shoppers and utilitarian shoppers according to their shopping value and that the perception of credit cards' benefit and risk was explained by the four factors including the increased cost, the removing the immediate need for money, the additional service and benefits, and the overspending and credit crime. The overspending and credit crime as one of the risk factors was affected by the types of shopping values.

  • PDF

가치 유형과 삶의 만족 사이의 관계: 긍정 정서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Value Types and Life Satisfaction: Mediation Effect of Positive Affectivity)

  • 주미정;정영숙;이재식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911-922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한국 대학생들이 추구하는 가치 유형들과 주관적 안녕감의 정서적 측면인 긍정 정서와 인지적 측면인 삶의 만족 사이의 관련성은 어떠한 양상으로 관찰되는지, 긍정 정서와 삶의 만족을 각 가치가 얼마나 잘 예측할 수 있는지, 그리고 각 가치 유형과 삶의 만족 사이의 관계를 긍정 정서가 어떻게 매개하는지 살펴보았다. 대학생 27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상관분석 및 경로분석 방법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정 정서와 모든 가치 사이의 상관이 유의하지 않았던 반면 둘째, 동조, 박애, 자기주도·자극추구, 쾌락주의, 성취 및 안전 가치는 긍정 정서와 정적인 상관을 보였고, 동조, 박애, 보편주의 및 안전 가치는 삶의 만족과 정적인 상관을 보였다. 셋째, 동조, 박애, 그리고 쾌락주의 가치 유형과 삶의 만족 사이의 관계를 긍정 정서가 정적으로 매개하여 동조, 박애 및 쾌락주의 가치 유형들을 중요하게 생각할수록 긍정 정서 수준이 높았고, 높은 긍정 정서 수준은 다시 삶의 만족 수준을 높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각 가치 유형과 삶의 만족 사이의 관련성을 이해하는데 긍정 정서와 같은 정서적 차원이 중요한 기여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판매원의 적응적 판매전략이 쇼핑가치, 관계 결속, 및 제품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중소기업 제품을 중심으로 - (The Effect of Salesperson's Adaptive Selling Tactics on Shopping Value, Commitment, and Product Satisfaction - Focused on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product -)

  • 김재훈;신종국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8권4호
    • /
    • pp.41-60
    • /
    • 2019
  • 과거에는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제품 간에는 품질뿐만 아니라 제품 구매 후 제품 서비스에도 큰 차이가 났다. 이러한 요소들은 많은 소비자들이 제품을 구매할 때, 브랜드 가치를 고려하는 주된 이유였다. 그러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기술력 및 서비스의 차이가 많이 줄어들면서, 브랜드 자체보다는 누가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가치를 선점하는지에 따라 경쟁 우위가 바뀌었다. 이에 따라 소비자를 만족시킬 수 있는 다양한 전략이 연구되고 있으며, 최근까지 연구자들이 판매행동과 관련하여 다루었던 주요 개념은 적응 판매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판매원의 적응적 판매 전략이 중소기업 제품을 구매하는 소비자들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규명하고자 하였다. 특히, 판매원의 적응적 판매 전략이 소비자의 쇼핑 가치, 판매원과의 결속 및 소비자 제품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연구대상은 판매원을 통해 중소기업 제품 구매 경험이 있는 경남지역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분석도구로는 SPSS 21.0을 사용하였으며, AMOS 21.0을 사용하여 구조 방정식 모형 분석을 하였다. 연구에 대한 실증 분석 결과 첫째, 판매원의 역할은 소비자의 쇼핑가치, 소비자와의 관계 결속과 제품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판매원의 적응적 판매 전략은 소비자의 쇼핑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라고 제안 할 수 있으며, 또한, 판매원의 적응적 판매 전략은 실용적 쇼핑 가치가있는 소비자보다 쾌락적 쇼핑 가치가있는 소비자에 더 강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판매원과 소비자의 결속은 소비자의 제품 만족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판매원의 적응적 판매 전략의 효과를 알아봄으로써, 온라인과 비대면 마케팅이 점차 강조되고 있는 현재의 시장 환경에서, 기업들에게 판매원의 중요성과 판매원을 통한 효율적인 마케팅 접근법을 제시하고, 이를 통한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는 점에서 그 의의를 가진다.

외식 프랜차이즈 주류 매장의 점포 혼잡성이 이용자의 지각된 가치와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Shop Crowdedness in Dining Franchise Liquor Shops upon the Perceived Values and Intent to Revisit)

  • 한진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362-371
    • /
    • 2020
  • 본 연구는 외식 프랜차이즈 주류 매장의 점포 혼잡성이 이용자의 지각된 가치와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외식 프랜차이즈 주류 매장 관리자에게 전략적인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경기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외식 프랜차이즈 주류 매장에 방문한 경험이 있는 고객 36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AMOS 23.0과 SPSS 23.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식 프랜차이즈 주류 매장의 점포 혼잡성이 지각된 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실시한 결과, 매장의 점포가 혼잡할수록 고객들의 지각된 가치가 낮아지는 결과를 나타냈다. 둘째, 이용자의 지각된 가치가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이용자의 지각된 가치가 높을수록 재방문의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각된 가치의 매개효과를 실시한 결과, 인적혼잡성과 재방문의도 간의 관계에서 지각된 가치의 하위요인인 실용적 가치와 쾌락적 가치는 모두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그러나 공간적 혼잡성과 재방문의도 간의 관계에서는 지각된 가치의 하위요인 중, 실용적 가치는 매개효과를 보인데 반해, 쾌락적 가치는 매개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본 연구는 국내 외식 프랜차이즈 주류 매장에 대한 이론적 정립 및 실증적 연구로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인터넷 구매 경험이 구매자 쇼핑가치 변환에 미치는 영향 분석

  • 김미숙;유철우;최영찬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정보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53-558
    • /
    • 2007
  • 본 연구는 인터넷 쇼핑 시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쇼핑가치와 신뢰의 관점에서 접근하였으며, 인터넷 구매 경험이 적은 그룹과 구매 경험이 많은 그룹을 구분하여 그 변화를 실증 분석하였다. 전체 204명의 표본을 구매경험이 적은 그룹(107명)과 구매 경험이 많은 그룹(96명)으로 나누어 PLS(Partial Least Square)를 통하여 분석한 결과 구매경험이 적은 그룹은 신뢰와 태도가 매개가 된 쾌락적 쇼핑가치가 큰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구매경험이 많은 그룹은 효용적 쇼핑 가치가 구매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육류에 대한 쾌락적 신념, 양면가치, 주관적 규범, 태도와 육류 소비행동의 인과관계 평가 (Assessing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Hedonic belief, Ambivalence, Subjective norm, Attitude and Meat Consumption Behavior)

  • 강종헌;정항진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41-150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hedonic belief, ambivalence, subjective norm, attitude and meat consumption behavior. A total of 318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to measure the causal effects of constructs. Results of the study demonstrated that fit of the restricted baseline model is significantly worse than that of the unrestricted proposed model, in which more parameters are estimated. The effects of hedonic belief, ambivalence and subjective norm on attitud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effects of hedonic belief, subjective norm and attitude on meat consump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effect of attitude on inten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Moreover, attitude played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hedonic belief and meat consumption, between ambivalence and meat consumption, and between subjective norm and intent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consumer decision-making process for eating meat products is best modeled as a complex system that incorporates both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meat consumption. This study believed the evidence presented supports this position. Moreover, this study appeared to be a worthy area of pursuit.

명품브랜드의 가격인상시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소비가치, 사전지식, 지각된 위험의 소비자특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The Study on Purchase Intention of Luxury Brand about Price Raising: Focus on Difference according to Consumer Characteristics of Consumption Value, Prior Knowledge, and Perceived Risk)

  • 김화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11호
    • /
    • pp.295-306
    • /
    • 2012
  • 본 연구는 명품 브랜드관련 국내기업들의 차별적인 마케팅 활동방안 및 전략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명품의 소비가치와 사전지식 및 지각된 위험 정도를 소비자의 특성변인으로 도입하여, 명품 브랜드가 가격을 인상할 때 소비자 특성별로 구매의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하였다. 첫째, 소비가치에 따른 구매의도는 독특성 및 과시적 가치 추구집단과 품질 및 쾌락적 가치 추구집단에서는 긍정적 구매의도를 보이고 있는 반면에 사회적 가치 추구집단은 부정적 구매의도를 보이며 서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각된 위험에 따른 구매의도의 차이는 없는 상황에서 사전지식에 따른 구매의도는 사전지식이 높은 집단은 긍정적 구매의도를 보이고 있고 사전지식이 낮은 집단은 부정적 구매의도를 보이며 서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비자특성 변인들의 상호작용효과에 따른 분석결과, 독특성 및 과시적 가치를 추구하면서 사전지식이 높은 집단과 품질 및 쾌락적 가치를 추구하면서 지각된 위험이 높은 집단에서만 긍정적 구매의도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명품브랜드의 소비가 과거와 달리 일반 소비자들로 확대되고 있는 시장상황에서 명품브랜드를 지향하는 국내기업들에게 제품 및 가격 전략을 타겟 특성에 따라 다르게 접근하는 것이 기존 명품브랜드들과의 차별화 및 시장확대를 위한 효과적인 방안이라는 사실을 시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