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콜럼버스

Search Result 9,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콜럼버스 1차 항해의 '항해 속력' 추산

  • Kim, Seo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6.05a
    • /
    • pp.55-57
    • /
    • 2016
  • 콜럼버스는 1492년 1차 대서양 항해시 '자신이 추정한 1일 항해거리를 줄여서 항해일지에 기록하였다. 그 동안 콜럼버스가 1차 항해 때 '항행거리(航程)를 조작했다'는 주장은 자연스러운 일로 받아들여져 왔다. 그러나 최근 이에 대한 새로운 해석이 제기되었다. 1983년 제임스 켈리가 '콜럼버스가 항해거리를 조작했다는 항정 조작설은 콜럼버스가 마일(mile)을 포르투갈 레구아(portugal $l\grave{e}gua$)로 전환하느라고 추산치를 5/6로 줄인 것을 콜럼버스의 항해일지 요약자인 라스 카사스($Bartolom\grave{e}$ de las Casas, 1484-1566)가 오해했다'고 주장하였고, 이를 1992년 필립스 부부가 지지하고, 2013년 주경철 교수가 국내에 소개하였다. 그러나 이는 선박과 항해에 대한 전문 지식의 결여에서 비롯된 오해다. 이 논문에서는 콜럼버스가 1차 항해시 항정을 조작한 것이 아니라 항해일지 요약자인 라스 카사스의 오해에서 비롯되었다는 제임스 켈리, 필립스 부부, 주경철 교수의 주장을 비판적으로 재검토해보고자 한다. 2에서는 항정 조작이 없었다는 켈리, 필립스, 주경철 교수의 주장을 요약하였고, 3에서는 항정 조작 여부를 검증하기 위해 콜럼버스의 1차 항해의 속력을 계산해 본 결과 3.81노트 내외로 추산되었다. 그리고 4에서는 콜럼버스가 항정을 조작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가 그의 대양 항해 경력이 일천했던 탓에 시간당 평균속력을 과대하게 빠르게 추산했기 때문이라는 견해를 제시하였다. 콜럼버스의 '항정 조작설'을 검토하는 것은 항해와 선박에 대한 올바른 이해 없이 전문분야사인 해양사를 연구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보여주는 사례의 하나로서 우리들에게 시사해 주는 바가 적지 않을 것이다.

  • PDF

An Analysis of Urban Residential Crimes using Eigenvector Spatial Filtering (아이겐벡터 공간필터링을 이용한 도시주거범죄의 분석)

  • Kim, Young-Ho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2 no.2
    • /
    • pp.179-194
    • /
    • 2009
  • The spatial distribution of crime incidences in urban neighborhoods is a reflection of their socio-economic environment and spatial inter-relations. Spatial interactions between offenders and victims lead to spatial autocorrelation of the crime incidences. The spatial autocorrelation among the incidences biases the interpretation of the ecological model in OLS framework. This research investigates residential crimes using residential burglaries and robberies occurred in the city of Columbus, Ohio, for 2000. In particular, the spatial distribution of incidence rates of residential crimes are accounted in OLS framework using eigenvectors, which reflect spatial dependence in crime patterns. Result presents that handling spatial autocorrelation enhanced model estimation, and both economic deprivation and crime opportunity are turned out significant in estimating residential crime rates.

  • PDF

An Investigation of the Causes of Filamentous Bulking at the Southerly Wastewater Treatment Plant in Columbus, Ohio (활성슬러지 하수처리장에서의 Filamentous Bulking의 원인규명을 위한 조사연구)

  • Ko, Kwang Baik;Sykes, Robert M.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7 no.3
    • /
    • pp.77-87
    • /
    • 1987
  • A series of bench scale activated sludge units were operated to find the causes of filamentous bulking(Schizothrix calcicola) at the Southerly Wastewater Treatment Plant. The results shows that the algal bulking problem is caused by the combination of fermented brewery waste and a low/high DO pattern in the aeration basin. The volatile fatty acids in the influent are not themselves the only cause of bulking but indicators of an unidentified substance that either suppresses zoogloeal growth or stimulates algal growth during low DO conditions, because the volatile fatty acids do not stimulate algal growth unless they are added to a sewage that already contains, some fermented brewery waste.

  • PDF

Analysis of Urban Heat Island Effect Using Information from 3-Dimensional City Model (3DCM) (3차원 도시공간정보를 이용한 도시열섬현상의 분석)

  • Chun, Bun-Seok;Kim, Hag-Yeol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8 no.4
    • /
    • pp.1-11
    • /
    • 2010
  • Unlike the previous studies which have focused on 2-dimensional urban characteristics, this paper presents statistical models explaining urban heat island(UHI) effect by 3-dimensional urban morphologic information and addresses its policy implications. 3~dimensional informations of Columbus, Ohio arc captured from LiDAR data and building boundary informations are extracted from a building digital map, Finally NDV[ and temperature data are calculated by manipulating band 3, band 4, and thermal hand of LandSat images. Through complicated data processing, 6 independent variables(building surface area, building volume, height to width ratio, porosity, plan surface area) are introduced in simple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s. The regression models are specified by Box-Tidwell method, finding the power to which the independent variable needs to raised to be in a linearity. Porosity, NDVI, and building surface area are carefully chosen as explanatory variables in the final multiple regression model, which explaining about 57% of the variability in temperatures. On reducing UHI, various implications of the results give guidelines to policy-making in open space, roof garden, and vertical garden management.

Introduction process of 'Corn' and its interrelation with 'Chinese millet' and 'Indian millet' (옥수수(옥촉서(玉蜀黍))의 도입과정과 기장(태(泰)), 수수(촉서(蜀黍))와의 상관관계)

  • Kim, Jong-dug;Koh, Byung-hee;Song, Il-byung
    • Journal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 /
    • v.10 no.2
    • /
    • pp.163-180
    • /
    • 1998
  • In 1492 year, the corn originated in America continent had spread all over the world after spreading into Europe by Columbus. Since the Corn had a similar shape with adlai's one (Yulmoo(율무)), it had been written by the different name of adlai (Yulmoo) at the "訓蒙字會(Hun-mong-ja-hoe)(1527)". Therefore we should consider "Hun-mong-ja-hoe" is the first record of the corn and it is a significant historic record in the civilization exchange between the Orient and the Occident that this record has the only difference of around 30 years later after the spreading corn to Europe. However, this is on the assumption that it is correct for a scholar of Korean literature to persist in that '叡山本' of "Hun-mong-ja-hoe" could be considered as the first edition. The corn had been once classified as a same kind of the Chinese millet because the people had been recognized the corn as a similar group of the Chinese millet and the Indian millet. The Chinese millet contains a summer vigor and becomes as an ingredient of alcoholic drink. And we can find out that $C_4$ type plant (such as corn, Chinese millet, Indian millet, foxtail millet) mostly have a tendency to belong to the food for "Taeumin(太陰人)", because of its high energy efficiency, a flourishing absorption of fertilizing and a strong emission power. The fried corn with a strong summer vigor and a raised feature has a good effect to the treatment of the teethridge disease. And the tea of corn with an warm feature, thanks to its functions of making the stomach and intestines comfortably as well as urination, is a proper food for the 'Taeumin" who is apt to overeat themselves.

  • PDF

고추(번초(番椒), 고초(苦椒))의 어원(語源)연구

  • Kim, Jong-Deok;Go, Byeong-Hui
    •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History
    • /
    • v.12 no.2
    • /
    • pp.147-167
    • /
    • 1999
  • 1. 연구 목적 한국의학사(韓國醫學史)의 한 분야인 식품사(食品史) 및 약물사(藥物史)는 미개척분야라 해도 과언은 아닐 정도로 연구 업적이 부족하다. 특히 식물명칭에 대한 정리는 기초학문이지만 방치되어진 것도 부인할 수 없다. 따라서 본고는 식품문화사(食品文化史)를 정리하는 과정중의 일환으로 고추의 어원(語源)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는 식품사(食品史) 연구에 도움이 되는 동시에 체질식이요법을 강조하는 사상의학(四象醫學)의 식품 분류에 대한 학술적 근거를 제시하는 계기로 삼고자 한다. 1493년 콜럼버스에 의해 알려진 고추는 우리 나라에 들어와 천초(川椒)대신 사용됨으로서 현재 중요한 양념이 되었다. 이에 고추의 도입과정과 호칭변화를 살펴봄으로서 현재 사전류에서 잘못 서술되고 있는 것을 시정하고, 고추가 도입된 이래 우리가 어떻게 이해하고 응용하였는 지에 대하여 문헌고찰을 통하여 의학사적(醫學史的) 입장으로 정리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2. 연구 방법 "산림경제(山林經濟)"(1715),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1827)같은 농서(農書), "물명고(物名考)"(1830),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1850) 같은 유서(類書), "훈몽자회(訓蒙字會)"(1527), "신증유합(新增類合)"(1574)같은 사전류, "지봉유설(芝峰類說)"(1614), "성호사설(星湖僿說)"(1763)같은 문집류, "흠정수시통고(欽定授時通考)"(1737), "본초강목습유(本草綱目拾遺)"(1765)같은 중국본초서(中國本草書) 등과 국내의서 등 을 통하여 고추에 대한 문헌정리를 시도하였다. 3. 연구 결과 고추가 도입된 이래 남만초(南蠻椒), 남초(南椒), 번초(番椒), 왜초(倭椒), 왜고초(倭苦椒), 왜개자(倭芥子), 고초(苦椒), 랄가(辣茄), 고쵸, 등으로 표기되어 왔다. 하지만 고추가 도입되기 전에 출간된 "구급간이방(救急簡易方)"(1489)에 '초(椒) 고쵸, 죠피'라는 기록이 나온다. 이는 천초(川椒)(초피나무)를 의미하는 '고쵸'로 보아야 한다. 후에 고추가 도입됨에 따라 의미가 변하여 고추를 의미하게 되는데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존하는 문헌 중 고추에 대한 최고기록인 "지봉유설(芝峰類說)"(1614)에 근거하여 고추(남만초(南蠻椒))는 임진왜란때 일본에서 도입되었다는 것이 정설이었다. 하지만 임진왜란 이전에 일본을 통하여 고추가 도입되었고 이의 개량종을 오히려 임진왜란때 일본으로 전해주었을 가능성이 높다. 둘째, 현재 대부분의 사전류에서 "훈몽자회(訓蒙字會)"(1527)의 '고쵸 쵸(초(椒))'를 고추에 대한 최초의 어원으로 보고 있으나 이는 잘못된 것이다. "훈몽자회(訓蒙字會)"의 '고쵸(초(椒))'는 고추가 아닌 매운 열매의 총칭으로 호초(胡椒), 천초(川椒), 진초(秦椒)를 의미한다. 이는 "구급간이방(救急簡易方)"(1489)의 천초(川椒)를 의미하는 '초(椒) 고쵸'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현재 대부분의 사전류에서 고추의 한문표기가 고초(苦草)로 되어 있으나 고초(苦椒)로 정정되어져야 한다. 초(草)(상성(上聲))와 초(椒)(평성(平聲))는 발음은 같지만 성조(聲調)가 다르며, 또한 "본사(本史)"(1787)에 고초(苦椒)와 고초(苦草)는 서로 다른 식물로 기록되어 있다. 넷째, 고초(苦椒)는 '고쵸'라는 우리말에 맞추어 만든 국자(國字)로 고추가 천초(川椒)와 비슷하지만 맵고 쓰다라는 뜻으로 사용된 것이다. 다섯째, 맵고 뜨거운 성질이 있는 고추는 냉증(冷症)을 유발시킬 수 있는 냉성(冷性)야채를 중화(中和)시키는 작용을 한다. 여섯째, 고추는 소음인 식품의 경향성을 띈 훈채류에 속한다.

  • PDF

Jens Jensen's Naturalistic Landscape Style and Its Expression Characteristics (젠스 젠슨(Jens Peter Jensen)의 자연주의적 조경양식 및 표현특성)

  • Park, Eun-Yeong;Lee, Hyung-Sook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36 no.2
    • /
    • pp.61-67
    • /
    • 2018
  • Jens Jensen was an American landscape architect and early conservationist who pioneered a unique naturalistic landscape styl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study Jensen's life, careers, design philosophy, and his contributions to the history of landscape architecture. Inspired by nature, Jensen worked closely with native plants, local materials, curvilineal and circular forms, and native scenery. His pioneering work in the Chicago's West Parks, including the design of Columbus Park and Humboldt, Garfield and Douglas Parks, was informed by his philosophical belief in the humanizing power of parks. In summary, first, Jensen played a prominent role in the creation of a unique native landscape style respecting regional landscape. Second, as a devoted conservationist and educator he organized conservation movements preserving landscape heritage and founded a education institution. Third, as a social reformer he emphasized the value of parks and nearby nature for urban citizens and children. Jensen's visions and philosophies have influenced on recent naturalistic landscape style and conservation efforts to preserve cultural landscape and natural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