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tion process of 'Corn' and its interrelation with 'Chinese millet' and 'Indian millet'

옥수수(옥촉서(玉蜀黍))의 도입과정과 기장(태(泰)), 수수(촉서(蜀黍))와의 상관관계

  • Kim, Jong-dug (Dept. of Constitutio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KyungHee University) ;
  • Koh, Byung-hee (Dept. of Constitutio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KyungHee University) ;
  • Song, Il-byung (Dept. of Constitutio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KyungHee University)
  • 김종덕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사상의학과) ;
  • 고병희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사상의학과) ;
  • 송일병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사상의학과)
  • Published : 1998.12.31

Abstract

In 1492 year, the corn originated in America continent had spread all over the world after spreading into Europe by Columbus. Since the Corn had a similar shape with adlai's one (Yulmoo(율무)), it had been written by the different name of adlai (Yulmoo) at the "訓蒙字會(Hun-mong-ja-hoe)(1527)". Therefore we should consider "Hun-mong-ja-hoe" is the first record of the corn and it is a significant historic record in the civilization exchange between the Orient and the Occident that this record has the only difference of around 30 years later after the spreading corn to Europe. However, this is on the assumption that it is correct for a scholar of Korean literature to persist in that '叡山本' of "Hun-mong-ja-hoe" could be considered as the first edition. The corn had been once classified as a same kind of the Chinese millet because the people had been recognized the corn as a similar group of the Chinese millet and the Indian millet. The Chinese millet contains a summer vigor and becomes as an ingredient of alcoholic drink. And we can find out that $C_4$ type plant (such as corn, Chinese millet, Indian millet, foxtail millet) mostly have a tendency to belong to the food for "Taeumin(太陰人)", because of its high energy efficiency, a flourishing absorption of fertilizing and a strong emission power. The fried corn with a strong summer vigor and a raised feature has a good effect to the treatment of the teethridge disease. And the tea of corn with an warm feature, thanks to its functions of making the stomach and intestines comfortably as well as urination, is a proper food for the 'Taeumin" who is apt to overeat themselves.

미대륙이 원산지인 옥수수(옥촉서(玉蜀黍))는 1492년 콜럼버스에 의하여 유럽에 전파된 이후 전세계에 퍼지기 시작하였다. 우리나라는 "훈몽자회(訓蒙字會)(l527)에 율무의 이명(異名)으로, 옥수수(옥촉서(玉蜀黍))가 기재되어 있는데, 이는 옥수수의 모양이 율무와 비슷하기 때문에 율무의 이명(異名)으로 기록되어진 것이다. 따라서 "훈몽자회(訓蒙字會)"를 옥수수에 대한 국내 최초의 기록으로 보아야 하며, 이는 유럽에 옥수수가 전파된 시기와 불과 30여년 밖에 차이가 나지 않기 때문에 당시의 동서양 문물교류에 대한 중요한 사료가 된다. 하지만 이 견해는 "훈몽자회(訓蒙字會)"의 예산본(叡山本)을 초간본으로 볼 수 있다는 국문학자들의 주장이 옳다고 전제한 것임을 밝혀둔다. 옥수수(옥촉서(玉蜀黍))는 기장(태(泰)), 수수(촉서(蜀黍))와 서로 비슷한 무리로 인식하여 한때는 기장의 한 품종으로까지 분류하기도 하였다. 서(黍)는 여름 기운을 지닌 것으로 술을 만드는 원료가 됨을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에너지 효율이 높아 왕성한 흡비력(吸肥力)과 강한 발산(發散)능력을 가진 $C_4$형 식물(옥수수, 수수, 기장, 조)이 대부분 태음인 식품에 속하는 경향성을 지니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또한 옥수수 튀김은 여름 기운이 강하며 부풀어지는 특성을 지니기 때문에 잇몸질환에 좋은 효과가 있으며, 따뜻한 성질이 있는 옥수수차는 이뇨(利尿)작용 뿐만 아니라 위장의 기능을 편하게 하는 작용이 있어 과식하기 쉬운 태음인에게 알맞은 식품이라 할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