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콘텐트

검색결과 191건 처리시간 0.029초

GenBank를 활용한 이종의 콘텐트 연계 프로토타입 시스템 개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GenBank-based Prototype System for Linking Heterogeneous Content)

  • 안부영;신용주;김대환
    • 정보관리연구
    • /
    • 제40권4호
    • /
    • pp.109-133
    • /
    • 2009
  • 생명정보 중에서 미국의 국립생명공학정보센터(NCBI)에서 제공하는 GenBank는 전 세계적으로 연구자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대표적인 유전자정보 데이터베이스이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은 GenBank의 최신 버전을 데이터베이스로 재구축하여 Bio-KRISTAL 검색엔진을 이용하여 국내 생명과학 연구자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GenBank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과학기술정보 통합서비스인 NDSL의 논문정보, 특허정보, 생물다양성정보 등의 콘텐트와 GenBank reference 필드와 organism 필드를 상호 연계하는 서비스 모델을 설계하고 프로토타입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하여 1) NCBI FTP 사이트에서 GenBank 데이터를 수집하여, 2) GenBank 텍스트 파일을 유전자 기본정보와 참고정보로 나누어 데이터베이스로 재구축하여, 3) GenBank reference 필드에서 논문 및 특허 정보 추출을 통한 새로운 테이블을 생성하여, 4) 데이터 맵핑 기술을 이용하여 GenBank 데이터와 NDSL 데이터가 상호 연계되어 서비스되는 프로토타입 시스템을 구현하여 이종의 콘텐트간 연계 및 융합 서비스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멀티미디어 콘텐트웨어의 효과연구-교감적 의미전달을 위한 정보설계를 중심으로- (Effectiveness of the Multimedia Contentware)

  • 안상혁
    • 디자인학연구
    • /
    • 제11권3호
    • /
    • pp.165-174
    • /
    • 1998
  • 디지털매체의 급격한 신장과 매체간의 융합에 따라 구현되는 멀티미디어는 새로운 콘텍트 산업을 형성하고 확장시켜 나아가고 있다. 아울러 다양한 멀티미디어 전송기술의 등장과 발전은 보다 인간의 감각에 가까운 커뮤니케이션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콘텍트 웨어는 기본적으로 보고 듣고 즐기는 내용물로 규정되는 것으로 기존의 영상, 음향, 게임. 등과 같은 엔터테인먼트 산업을 하나로 묶는 개념으로 진전되고 있다. 디지털 신호를 기반으로 하는 정보처리 기술에 의해 창출되는 콘텐트 웨어 들은 디지털 환경에서의 커뮤티 케이션 행위의 변화를 통해 그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보의 전달' 위주의 양적인 효율성을 추구해온 정보설계 기술의 문제를 '정보의 이해와 해석' 이라는 효과성의 문제로 다루기 위해 필요한 개념들을 논의하기로 한다. 정보 혹은 콘텐트 홍수의 시대를 맞아 미디어 소비방향의 특징은 재미있고 흥미로운 쪽으로 흘러가고 있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좀 더 친화성 혹은 교감 성을 높일 수 있는 콘텐트 웨어의 정보설계 방향을 교감 적 커뮤니케이션에서 찾도록 하였다.

  • PDF

디지털 콘텐트 관리를 위한 메타데이터 및 콘텐트 관리 시스템

  • 이희경;양승준;이한규
    • 방송과미디어
    • /
    • 제14권3호
    • /
    • pp.47-57
    • /
    • 2009
  • 최근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맞춤시청형 DMB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TTA)에서는 DMB ECG (Electronic Content Guide) XML (eXtensible Markup Language) 표준의 재정 및 개정 작업을 완료하였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ETRI) 에서는 DMB ECG XML 표준 및 DMB ECG 서비스의 유효성 검증을 위해 DMB ECG 메타데이터의 저작 단계에서 단말단의 소비에 이르는 맞춤시청형 DMB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DMB ECG 메타데이터는 맞춤시청형 방송 서비스 제공을 위해 서브시스템 사이에 전달되는 핵심 요소로서 이를 저작, 관리 및 전송하기 위한 새로운 시스템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DMB ECG XML 표준의 소개와 맞춤시청형 DMB 시스템의 전체 구조 및 메타데이터의 관리를 위한 서브시스템의 세부 구조와 기능에 대해 기술한다.

대학도서관의 모바일서비스 현황분석 연구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Mobile Services in University Libraries)

  • 문정호;곽승진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11년도 제18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59-66
    • /
    • 2011
  • 스마트폰 보급의 급격한 증가로 도서관 정보이용환경에 많은 변화가 생겨나게 되었다. 이와 같은 환경변화에 가장 빠르고 민감하게 대응하고 있는 것은 대학도서관이다. 대학도서관은 모바일서비스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현재 모바일서비스 구축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392개의 대학을 대상으로 도서관 모바일서비스 현황을 조사하고, 현재 모바일서비스 중인 대학도서관 모바일 웹 11개, 대학도서관 모바일 앱 10개, 도서관기능을 포함한 대학 앱 87개의 콘텐트 구성을 분석하였다. 현황조사와 콘텐트 구성 분석결과를 통해 대학도서관 모바일 서비스의 향후 발전 방안을 제시한다.

  • PDF

콘텐트 중심 네트워크에서 정규표현식을 활용한 캐시친화적인 적응형 스트리밍 프레임워크 (Cache-Friendly Adaptive Video Streaming Framework Exploiting Regular Expression in Content Centric Networks)

  • 손동현;최대진;최낙중;송정환;권태경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0권9호
    • /
    • pp.1776-1785
    • /
    • 2015
  • 인터넷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관점이 호스트 중심에서 콘텐트 중심으로 변화하면서 콘텐트 중심 네트워크 (Content Centric Network, 이하 CCN)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소개되었다. 한편, 최근 비디오 스트리밍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더 높은 사용자의 만족도를 위한 적응형 스트리밍이 소개되면서 많은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따라서 CCN에서도 사용자의 수요에 따라 적응형 스트리밍을 고려할 필요성이 있다. 하지만 CCN에서 기존의 네트워크 구조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적응형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를 할 경우 CCN 라우터 내 캐시를 (CS) 충분히 활용하지 못한다는 한계점이 있으며 또한 단말의 달라지는 요구 사항을 캐시 활용에 반영할 수 없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정규표현식을 활용한 콘텐트 네이밍 방식을 적용하여 기존 적응형 스트리밍 비트레이트 선택 알고리즘의 캐시활용도를 높이면서도 CCN의 기본 프로토콜에 적합한 프레임워크를 제시하고, 단말의 상태에 따라 동적인 표현식 기술 전략 및 선택 알고리즘을 통하여 비디오 스트리밍 품질을 개선하고자 한다.

웹 객체 참조 특성 분석을 통한 웹 기반 디지털콘텐트 전송시스템의 설계 (A Design of Content Delivery System with Analysis of the Web Object Reference Characteristics)

  • 나윤지;고일석;조동욱;유원종;곽종민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0권4C호
    • /
    • pp.262-268
    • /
    • 2005
  • 웹기반의 디지털콘텐트 전송은 웹 객체를 단위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웹기반 콘덴트 전송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웹 객체의 참조특성 분석을 통한 반영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웹 객체의 참조특성의 분석을 통해 웹 객체의 전송 효율을 향상시킨 디지털콘텐트 전송 시스템을 설계하고 성능을 평가하였다. 제안시스템은 웹 객체의 참조특성을 반영하여, 캐싱 효율을 높임으로서 전체 시스템의 처리지연시간을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실험 결과 제안시스템의 성능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생물다양성 학습을 위한 생물다양성 DB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sing of Biodiversity Database for Learning of Biodiversity)

  • 안부영;조희형;박재홍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5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428-432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국내에 산재한 생물다양성정보를 학습에 활용하기 위하여 KISTI에서 구축한 생물다양성 DB 현황과 e-Learning의 기술요소 등을 조사하였으며, 기존에 구축된 생물다양성정보 DB를 활용하여 일반인과 학생들을 위한 생물다양성 학습 콘텐트를 기획하고 설계하였다. 본 설계를 바탕으로 생물다양성 콘텐트를 개발한다면, 국토가 좁고, 네트워크 인프라가 잘 갖추어져 있는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는 사이버공간상의 학습의 장으로서 일반인과 학생들에게 양질의 생물다양성 학습 콘텐트를 제공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PDF

P2P 사용자 인증과 OTP 분석

  • 문용혁;권혁찬;나재훈;장종수
    • 정보보호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2-40
    • /
    • 2007
  • 유비쿼터스 서비스 인프라로 부각되고 있는 P2P(Peer-to-Peer) 네트워크는 사용자 제작 콘텐트, 동영상, 파일 등으로 대표되는 지식 콘텐트뿐만 아니라, 컴퓨터 및 네트워크 자원(Resource)을 다양한 환경에서 N 대 N의 형태로 상호 공유 및 분배할 수 있는 구조적 가능성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Open, Dynamic, Anonymous" 등의 특성을 기반으로 하는 P2P 네트워크는 신뢰적 ID(Identity) 생성 및 관리 그리고 이의 적절한 인증에 대한 지원 없이는 현실적으로 잠재적인 보안 위협에 노출되는 제약이 따르게 된다. 한편, 최근 금융보안업계가 주축이 되어 일회용패스워드로 지칭되는 OTP(One Time Password) 인증 메커니즘(Authentication Mechanism)을 제 1 등급 보안방법으로 명시화하고 있고, 온라인 업계에서도 이를 활용하는 기술적 시도 및 개발 사례가 늘어나고 있어, OTP 기술의 보안성 검토 및 활용 범위를 확대하는 방안에 대한 논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기술적 흐름 및 산업계 동향에 발맞춰 P2P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인증을 위해 OTP 메커니즘을 활용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검토하고 이의 적용 가능성을 분석한다.

웹 객체의 사용자 참조 특성 분석 (Analysis of the User's Reference Characteristics on the Web Object)

  • 고일석;나윤지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4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457-460
    • /
    • 2004
  • 웹 기반의 디지털콘텐트 전송은 웹 객체를 단위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웹 기반 콘텐트 전송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웹 객체의 참조특성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웹 객체의 참조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이 분석결과를 통해 웹 객체의 전송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