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콘텐트

검색결과 191건 처리시간 0.029초

SNS에서 제휴마케팅 관점의 클릭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연대강도의 조절효과 (Determinants of Click-Through Intention as Affiliate Marketing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Tie Strength in SNS)

  • 목혜민;주재훈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5권3호
    • /
    • pp.89-110
    • /
    • 2013
  • 제휴마케팅으로 웹에서의 콘텐트 제공자가 수익을 창출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콘텐트 제공자는 웹 사이트를 구축하여 일정 수준 이상의 고객을 끌어들이는데 어려움을 겪어왔다. 최근 SNS가 활성화되면서 누구나 쉽게 콘텐트 제공자가 될 수 있게 되었고, 자신의 SNS에 광고를 게재하고 제휴마케팅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트위터와 같은 마이크로블로그 기반 SNS에서 제휴마케팅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였으며, 구성원들간의 연대관계가 이들 영향변수와 제휴마케팅 간에 조절역할을 하는지를 조사하였다. 실증분석에서는 제휴마케팅의 대용 변수로 클릭의도를 사용하였다. 실증분석을 통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마이크로블로그 기반 SNS의 보안 서비스, 커뮤니티 소통지원 서비스, 내비게이션 서비스, 콘텐트 품질은 클릭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둘째, 마이크로블로그 기반 SNS에서 구성원들 간의 연대(연결강도)는 콘텐트 품질과 클릭의도간의 관계에서 조절역할을 한다. 약한 연대 그룹일수록 콘텐트 품질이 클릭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는 이들 연구결과가 주는 함의를 연구자와 실무자 관점에서 제시하였다.

  • PDF

디지털 콘텐트의 어노테이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notation of Digital Content)

  • 곽승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67-286
    • /
    • 2006
  • 정보폭발 현상이 나타나는 디지털 환경에서 보다 효율적인 정보접근과 선택을 위한 도구가 필요하며, 이러한 도구를 구축하는 진보된 기술 중의 하나가 메타데이터(metadata)와 어노테이션(annotation)이다. 어노테이션은 원본문서와 문서의 특별한 부분에 부가적인 설명과 강조를 위한 표시나 어구를 추가로 기록하는 것으로 메타데이터보다 더 디지털 콘텐트의 효율적인 검색과 이용을 위한 여러 가지 장점을 갖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디지털 환경에서 정보 접근과 재사용, 공유 등 다양한 장점을 갖고 있는 어노테이션을 월 서비스와 디지털도서관. 전자책 등의 디지털 콘텐트에 적용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 웹 서비스와 디지털도서관에 적용된 어노테이션 시스템 사례를 조사하고, 어노테이션의 메타데이터 유형을 분석하였다.

변형을 갖는 멀티미디어 콘텐트에 대한 북마크 (Bookmark for Multimedia Content Having Multiple Variations)

  • 염지현;김명훈;설상훈;김혁만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5권7호
    • /
    • pp.489-494
    • /
    • 2009
  • 멀티미디어 콘텐트는 다양한 대역폭, 해상도, 압축형식으로 독립적으로 인코딩되므로, 동일한 비디오 부분이 다양한 형식의 변형 파일 안에서 다른 시간적 위치에 저장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멀티미디어 콘텐트를 재생 중이거나 혹은 재생 전에, 콘텐트 시청의 끊김이나 중복 없이 임의의 다양한 형식의 변형 파일들 사이에 같은 비디오 부분을 정확히 접근 할 수 있는 견고한 멀티미디어 북마크 메커니즘을 제안한다. 또한 직관적이고 시각적인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가 북마크를 관리할 수 있는 새로운 멀티미디어 북마크 재생기를 제안한다.

디지털방송 콘텐트를 위한 메타데이터 저작도구 (Metadata Authoring Tool for Digital Broadcasting Contents)

  • 양승준;이한규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87-390
    • /
    • 2009
  • 최근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에서는 지상파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ECG(Electronic Content Guide)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표준의 제정 및 개정 작업을 완료하였다. 지상파 DMB ECG XML 표준은 종래의 DMB EPG(Electronic Program Guide) 표준에서 제공되었던 서비스를 기능적으로 수용하면서 프로그램내의 특정 세그먼트 단위까지 검색 및 브라우징을 통하여 원하는 콘텐트를 보다 효율적으로 접근, 소비 및 저장이 가능하도록 하는 향상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정의하였다. 또한, 단일 포맷에서 모든 DMB 콘텐트 내용들을 결합하는 DMB AF(ISO/IEC 23000-9:2008; DMB Application Format) 파일 포맷을 포함하고 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에서는 이러한 지상파 DMB ECG XML 표준 및 서비스의 유효성 검증을 위해 메타데이터의 저작 단계에서 전송 및 단말에 이르는 맞춤시청형 방송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에서 DMB ECG 메타데이터는 맞춤시청형 서비스 제공을 위해 전달되는 핵심 요소로써, 디지털방송 콘텐트에 대한 상세 정보의 기술을 위해 새로운 메타데이터를 생성하거나 기존에 생성된 메타데이터를 재편집하는 과정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메타데이터 저작도구가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본 논문은 사용자 친화적인 DMB ECG 메타데이터 및 DMB AF 저작도구의 개발에 대해 기술한다.

  • PDF

스케일러블 코딩 기법을 적용한 흠 네트워크에서의 DTV 콘텐트 공유 방안에 관한 연구 (Study on scalable coding technique for DTV contents sharing through home network)

  • 김용태;유영일;이승준;강동욱;김기두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04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대회
    • /
    • pp.155-158
    • /
    • 2004
  • 고정된 위치에 있거나 이동중인 수신자들에게 고품질의 멀티미디어 콘텐트를 제공하기 위하여 지상파 DTV를 위시하여 디지털위성방송, 지상파 및 위성 DMB 등 다양한 방식의 방송 서비스들이 가까운 장래에 우리 생활의 일부분이 되리라고 예견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들은 방송과 통신의 융합환경에 맞추어 맞춤형 방송의 형태로 이용될 것이며, 이는 텔레매틱스나 홈 네트워크 등과 같은 다른 정보 전달 체계와 결합하여 보다 고도화된 정보사회의 중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은 방송 통신 융합 환경에서의 DTV의 주요한 한 가지 역할로서 DTV 기반의 흠 네트워크를 제안하고, 그러한 흠 네트워크에서 멀티미디어 콘텐트를 공유하기 위한 두 가지 방안에 대해서 논한다. 첫 번째 방안은 홈 서버 기능을 하는 DTV PVR에서 단 한번의 복호 과정과 스케일러블 코딩 과정을 통하여 가정 내의 모든 기기들이 실시간으로 방송 콘텐트를 공유하는 방법이고, 다른 한 가지 방안은 전체 방송시스템 비디오 부호화 규격을 스케일러블 부호화 기법을 적용한 단일 표준으로 통합하는 방안이다. 본 논문을 출발점으로 하여 이와 같은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PDF

DMB-AF : DMB 파일포맷 표준화 동향 (DMB-AF : The DMB File Format Standard and Its Applications)

  • 김휘용;기명석;이한규;홍진우;김용한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23권3호
    • /
    • pp.106-118
    • /
    • 2008
  • 본 고에서는 최근 표준화가 완료된 MPEG-A(ISO/IEC 23000) Part 9 DMB-AF의 표준화 배경 및 서비스 모델을 소개하고 기술적인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한다. DMB-AF는 MPEG-4 Part 12 ISO Base Media File Format에 기반한 DMB 콘텐트 전용 파일 포맷으로, 다양한 종류의 지상파 DMB 및 위성 DMB 콘텐트를 체계적으로 표현하고 효과적으로 저장 및 접근하며 안전하게 보호/유통하기 위한 기술들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DMB-AF 표준은 다양한 DMB 콘텐트들을 적절히 연계하여 방통융합 환경에서 다양한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할 수 있는 공통의 프레임워크를 제공할 뿐 아니라, 저장매체를 매개로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 원하는 프로그램을 원하는 장치에서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DMB-Anytime 서비스를 가능하게 한다.

멀티미디어 활용 e-러닝에서 응답시간 편차 개선 (An Improvement of the Deviation of Response Time on Multimedia Application e-Learning)

  • 나윤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6권6호
    • /
    • pp.502-505
    • /
    • 2005
  • e-러닝에서 멀티미디어콘텐트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e-러닝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콘텐트의 크기 편차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e-러닝 사용자에 대한 응답시간의 편차를 크게 하여 학습의 효율성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멀티미디어콘텐트를 활용한 e-러닝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응답시간 편차 개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e-러닝 사용자의 응답시간의 편차를 줄이는 것이며 이를 위해 다중 계층 구조의 혼합형 e-러닝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또한 실험을 통해 편차 개선을 확인하였다.

  • PDF

오픈 소스 기반의 이러닝 평가문항 저작 도구를 위한 템플릿 유지 기법 (A method to maintain templates in open source-based authoring tool for e-learning assessment items)

  • 한성재;최병욱;차재혁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101-112
    • /
    • 2014
  • 특정 표준에 대한 사전 지식 없이 콘텐트를 저작할 수 있는 템플릿 기반의 이러닝 저작 도구가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웹 기반 HTML 저작도구에서 템플릿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중요한 극복 사항이 있다. 콘텐트 내부에 템플릿이 삽입 되거나, 이를 편집 과정 중에 사용자의 의도치 않은 입력으로 템플릿 구조가 변형이 될 수 있다. 이것은 제한된 스키마를 준수해야하는 표준 콘텐트 저작에 있어서 큰 위험 요소가 된다. 본 논문은 위지윅 기반의 HTML 저작 도구에 삽입되는 템플릿 자원을 사용자가 임의로 변형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효과적인 유지 기법을 제안한다. 우리는 웹 기반 오픈 소스에디터인 tinyMCE에 IMS-QTI 표준 문항을 생성할 수 있는 템플릿 플러그인을 추가하였다. 그리고 사용자의 의도치 않은 입력 행위에 대응하여 템플릿의 구조가 지속적으로 유지 가능하게 하는 tinyMCE용 플러그인 모듈을 구현하였다. 제안하는 기법은 tinyMCE 이외에도 다양한 오픈 소스 기반의 편집 도구에 적용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우리나라 정보제공산업 활성화 정책 (The Policy for Activating IP Industry in Korea)

  • 안계성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1999년도 제6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71-75
    • /
    • 1999
  • 정보제공산업은 지식과 정보의 디지털화를 촉진하여 지식의 창출과 축적 및 활용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지식기반 사회 실현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현재 국내 정보제공산업은 그 산업기반이 취약하여 절반적으로 영세성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본고에서는 정보통신부에서 발표한 $\ulcorner$정보제공산업 활성화대책$\lrcorner$ 에 포함되어 있는 정책을 중심으로 창업환경 조성과 콘텐트 개발 지원, 콘텐트의 내수시장 활성화와 수출지원. 기술 개발 및 인력 양성, 관련 제도의 개선 등 종합적인 지원정책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