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콘텐츠 적응화

Search Result 131,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Topic-Specific Mobile Web Contents Adaptation (주제기반 모바일 웹 콘텐츠 적응화)

  • Lee, Eun-Shil;Kang, Jin-Beom;Choi, Joong-Min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34 no.6
    • /
    • pp.539-548
    • /
    • 2007
  • Mobile content adaptation is a technology of effectively representing the contents originally built for the desktop PC on wireless mobile devices. Previous approaches for Web content adaptation are mostly device-dependent. Also, the content transformation to suit to a smaller device is done manually. Furthermore, the same contents are provided to different users regardless of their individual preferences. As a result, the user has difficulty in selecting relevant information from a heavy volume of contents since the context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ntent is not provided. To resolve these problems, this paper proposes an enhanced method of Web content adaptation for mobile devices. In our system, the process of Web content adaptation consists of 4 stages including block filtering, block title extraction, block content summarization, and personalization through learning. Learning is initiated when the user selects the full content menu from the content summary page. As a result of learning, personalization is realized by showing the information for the relevant block at the top of the content list. A series of experiments are performed to evaluate the content adaptation for a number of Web sites including online newspapers. The results of evaluation are satisfactory, both in block filtering accuracy and in user satisfaction by personalization.

A Design of u-Learning Profile for Content Adaptation (콘텐츠 적응화를 위한 U-러닝 프로파일의 설계)

  • Roh, Jin-Hong;Park, Yau-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04a
    • /
    • pp.1108-1111
    • /
    • 2011
  • 최근 E-러닝 발전과 함께 U-러닝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다양한 관련 표준들이 채택되고 있다. 기존의 E-러닝 관련 기술들이 웹에 기반한 학습을 지향하였다면 U-러닝에서는 다양한 환경에서 학습자가 학습의 맥락을 이어가며 학습을 하는 것으로서 언제, 어디서나, 누구나 학습을 진행하여 생활의 학습화를 지원할 기술을 필요로 한다. 즉, U-러닝에서는 다양한 사용 환경에서 학습이 이루어지므로 사용 환경에 적합한 학습이 이루어져야 하고, 이를 위해 사용 환경 맞춤형 콘텐츠 적응화 기술이 필요하다. 크게 사용 환경 맞춤형 콘텐츠 적응화 기술은 다양한 단말기 정보를 포함한 사용 환경 정보를 표현할 수 있는 기술과 사용자의 사용 환경 정보를 분석하는 기술, 사용 환경에 적합한 콘텐츠를 구성하는 기술로 구성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식서비스 USN 산업원천 기술개발 과제의 세부과제인 'U-러닝 환경 표준 및 표준 명세 개발 및 검증' 과제에서 콘텐츠 적응화를 위해 연구 개발된 사용 환경 정보를 표현하는 U-러닝 프로파일에 대하여 소개한다.

Mobile Adaptation for Basic SCORM Contents (기본적인 SCORM 콘텐츠의 모바일 적응화)

  • Shim Jinwook;Chang Byoungchol;Lee Seung-Wook;Cha Jae Hyu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4.11a
    • /
    • pp.757-760
    • /
    • 2004
  • 유비쿼터스 시대의 도래에 발맞춰 유저가 콘텐츠를 이용하는 방법과 사용하는 기기는 PC에 머물지 않고 점차 다양화, 소형화 되고 있다. 최근, 많은 콘텐츠 중에서 e러닝 콘텐츠에 대한 관심은 높아지고 있으며, 본 논문에서는 e러닝 콘텐츠를 다양한 디바이스에 적합한 콘텐츠로 동적 변환하는 모듈을 제안한다. CC/PP 기반의 디바이스 프로파일과 사용자 정보를 포함한 유저 프로파일, 콘텐츠 구성정보를 가진 콘텐츠 프로파일을 통합하여 특성을 추상화 한다. 추상화 된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변환방법을 생성하여 콘텐츠에 적용함으로서 해당 디바이스에 적합한 콘텐츠로 적응화 한다. 기존 HTML의 경우 잘 구성된(Well-formed)문서가 아닌 경우가 많고, 문서 내에 데이터와 구조정보를 모두 포함하고 있으므로, 요구되는 데이터의 추출과 정형화된 변환룰의 적용에 어려움이 따른다. 그 대안으로 본 적응화 모듈은 문서의 데이터와 표현 구조를 분리 할 수 있는 XML/XSL 기반의 콘텐츠를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e러닝 콘텐츠의 특성에 적합한 콘텐츠 프리패치 및 캐시 기법을 적용하여 콘텐츠 동적변환에 따른 응답시간 오버헤드를 최소화 하였다.

  • PDF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User Device Framework for Service Adapted Contents (적응화된 콘텐츠를 서비스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 프레임워크 설계 및 구현)

  • Kim, Jin-Sung;Lee, Jae-Dong
    • The KIPS Transactions:PartD
    • /
    • v.16D no.5
    • /
    • pp.801-808
    • /
    • 2009
  • According to development of internet and an increase in demand of multimedia contents, the contents industry is being developed. However, they are served same contents in the limited environment(user device environment, network environment) of the present contents industry. And users have difficulties in searching and finding contents since they are served contents they want and contents suitable to diverse context and affec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ke a system offering contents according to context and affection of users. The study proposes the system to offer contents suitable to context and affection of users whenever and wherever through diverse devices in a ubiquitous environment and designs/implementation a user device framework system that users can be offered contents suitable to their devices.

An Efficient Exchange-Method of a User Profile for Adapted Contents Services (적응화된 콘텐츠 서비스를 위한 효율적인 사용자 프로파일 교환 방법)

  • Kim, Kyung-Sik;Lim, Jong-Hyun;Kim, Seung-Hoon;Lee, Jae-Dong
    • The KIPS Transactions:PartC
    • /
    • v.15C no.1
    • /
    • pp.69-78
    • /
    • 2008
  •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effective exchange-method of a user profile for adapted contents services in the contents adaptation system. The profiles continuously exchange among the devices of contents adaption system for providing the adapted contents to a user. The profile should be also exchanged according to periodic, aperiodic, event, request and response. Consequently, a lot of network traffic occur and computing power require. Solving theses problem, the profile exchange research needs. we analyze creation information, exchange information, and exchange form of the profile information in contents adaptation system for effective profile exchange and define exchange procedure of the profile using the analyzed profile information. we also propose providing method of the profile configured information for decreasing profile processing time and user setting method for decreasing the number of profile transmission. As a result of performance evaluation, providing method of the profile configured information reduce 7% processing time and user setting method decrease the number of profile transmission are effective to exchange the profile.

A study on Collaborative e-Learning System under Multiplatform Environment (멀티플랫폼 환경에서 협력학습을 지원하는 e-Learning 시스템에 관한 연구)

  • 이승욱;정혜원;문경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c
    • /
    • pp.73-75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멀티플랫폼 환경에서 헙력학습을 지원하는 e-Learning 시스템을 소개한다. 현재 IT 기술이 발전하면서 학습을 할 수 있는 단말의 종류는 과거에 비해 다양하다. 이러한 다양한 단말로 학습콘텐츠를 상호운용 시키기 위해서는 콘텐츠의 적응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적응화 방법을 소개하며 적응화를 위한 시스템의 architecture를 소개한다. 본 논문에서는 두 가지 적응화 방법을 고려한다. 학습콘텐츠 레이아웃 적응화와 학습자원의 적응화가 고려된다. 또한 학습효율을 향상하기 위해 협력학습을 지원하는 기술을 개발한다. 현재 ISO/IEC JTC1 SC36 WG2에서 헙력학습에 관한 기술표준을 추진 중이므로 본 논문에서는 SC36의 초안에 따라 기술을 개발하여 추후 국제표준을 선도할 것이다.

  • PDF

Developing a Contents Modeling Tool for Contents Adaptation in Multi-Platform Environments (멀티플랫폼 환경에서 콘텐츠 적응화를 위한 콘텐츠모델링 저작도구 개발)

  • Jung, Hye-Won;Kim, Jin-Ho;Moon, Kyung-Ae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11a
    • /
    • pp.17-20
    • /
    • 2004
  • 무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제3세대로 갈수록 디바이스들의 다양성과 성능이 높아지고 있고 이질적인 환경으로 변화하고 있다. 개방형 프로토콜과 마크업 언어의 발전으로 많은 무유선 디바이스들을 활용하여 인터넷으로 접근할 수 있게 되었고, PC 기반으로 작성된 웹 콘텐츠 및 서비스를 작은 디바이스들에게 적응화하는 것이 최근 핫이슈가 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질적인 환경에서 콘텐츠 적응화를 위한 콘텐츠모델링 스키마를 설계하였고 콘텐츠모델링 정보를 쉽게 저작할 수 있는 저작도구를 개발하였다.

  • PDF

Management Technology of Profiles for Providing Adapted Contents to an User in the Ubiquitous Environment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사용자에게 적응화된 콘텐츠 제공을 위한 프로파일 관리 기술)

  • Kim, Kyung-Sik;Lee, Jae-Dong
    • Journal of KIISE: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 /
    • v.13 no.6
    • /
    • pp.343-357
    • /
    • 2007
  •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techniques for effective management of profiles that necessary to provide adaptation content to an user. The profiles must be configured the related information of the user and can be exchanged according to periodic/aperiodic or event among user device, profile repository, contents adaptation server and contents storage server for providing adaptation content to an user. The profiles also must be supplied the contents services providers that need profiles for the adapted contents services. To support those function, we propose the management technologies of profiles and design profile framework supporting those. The proposed management framework of profiles is supported the profiles that are configurated using the various user's information and is used the Web Services for exchanging and providing regardless of the various devices and platform. The dynamic configuration method, metadata configuration method, and profiles providing methods using weight for effective management in the framework also are applied. The result of evaluation the proposed management techniques show effective profiles processing.

Topic-Specific Mobile Web Content Adaptation through Learning (학습을 통한 주제기반 모바일 웹 콘텐츠 적응화)

  • Lee Eunshil;Kang Jinbeom;Yang Jaeyoung;Choi Ch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11b
    • /
    • pp.682-684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시각적 웹페이지 세그멘테이션 기법을 웹 콘텐츠 변환에 적용하고 이를 사용하여 이동기기에 적합한 개인화 기법을 제안한다. 웹페이지를 사람이 시각적으로 구분하는 것과 유사한 블록으로 나누고, 각 블록의 속성을 파악하여 불필요한 블록은 필터링한다. 그리고 실제 내용을 나타내는 블록의 주제를 추출하여 휴대장치에 제공하는 효율적인 콘텐츠 적응화 기법을 제시한다. 또한 개인화된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적응화 과정에서 학습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선호하는 정보만을 제공할 수 있는 개인화 기법을 제시한다.

  • PDF

A flexible mechanism for supporting various profiles in the content adaptation system (콘텐츠 적응화 시스템에서의 다양한 프로파일을 지원하기 위한 유연성 있는 매커니즘)

  • Lim, Mok-Hwa;Chang, Byung-Chul;Kang, Soo-Young;Cha, Jae-Hyuk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7 no.1
    • /
    • pp.25-33
    • /
    • 2006
  • As becoming the age of ubiquitous, there are many discussion and publication for standards to express platform profile. These various platform profiles have some problems. The solve these problems, we propose and develop a new posting mechanism which improve the performance of contents adaptation engine by simplifying platform profile and processing various type of platform profiles; we introduce the way to integrate different profiles to solve nut to recognize the profile which is used by different adaptation system and simplify platform profile by grouping the similar attributes of platform profiles. Proposed system can processing different profiles and also the system overhead to processing a profile and creating a dynamic profile has reduced. As a result overall performance of content adaptation system has increas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