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콘텐츠 분류체계

Search Result 212,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Development of Classification System Applied Particularity Culture Contents (문화콘텐츠 특수성을 반영한 문화기술(CT) 분류체계 연구)

  • Kim, Hyoyoung;Park, Jin Wa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3 no.5
    • /
    • pp.183-190
    • /
    • 2013
  • In this study, we propose a new CT classification system which is essential factor for strengthening competitiveness of culture contents and technical assistance of convergence contents. For this, we drew particularity of culture contents by reviewing concept and current state of CT. And also we drew problems of existing CT classification systems and implications for applying to future CT classification system by systematic analysis of existing CT classification systems. Through this series of process we developed a new CT classification system applied particularity of culture contents. The suggested CT classification system can embrace all kind of technologies related to all steps of value chain-planning, manufacturing/production, distribution, service- of culture contents. And it has significance having flexibility for government investigation and applying the law and more realistic for industrial site by restructuring of middle classification level.

An Establishment of Taxonomy for Next-generation Convergent Contents (차세대 융합형 콘텐츠 분류체계 정립)

  • Rim, Myung-hwan;Heo, Pil-sun;Park, Yong-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21-125
    • /
    • 2010
  • 최근 온라인게임, e-Book, 모바일콘텐츠, 포털 등 IT 기반의 새로운 서비스 산업으로서 디지털콘텐츠 산업이 급성장하고 있다. 또한, 과거 엔터테인먼트 위주의 콘텐츠산업이 미래에는 제조, 서비스를 포함한 전 산업영역에 체화융합되어 확산되고, CT 및 IT 기반의 새로운 콘텐츠 산업이 급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는 등 융합형 콘텐츠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정부에서도 신성장동력으로서의 융합형 콘텐츠 산업에 주목하여, 관련 산업을 발굴육성하는데 정책적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기존의 콘텐츠 분류체계는 영화, 음악, 방송 등 장르 중심적이어서 관련 기술의 발전 및 융합현상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미래 정책추진의 기반(base)로서 효과적으로 활용되고, 콘텐츠 분야의 외연확장을 포괄하는 새로운 분류체계(taxonomy)의 정립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이에 본 고에서는 미래 정책추진 및 산업활성화에 초점을 맞추어 기존 분류체계의 한계점을 극복하는 차세대 융합형 콘텐츠 산업에 대한 새로운 분류체계를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Foundational Study for Development of Standardized Classification Scheme on Dance-Related Occupations (무용 직업유형 및 분류체계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Kim, Eun Hye;Kim, Ji Young;Kim, Hyung Nam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529-530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무용전공자를 위한 체계적이고 내실 있는 진로개입을 위한 무용직업군 유형 및 분류체계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문헌조사와 전문가회의를 거쳐 최종적인 무용직업군 유형과 분류체계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무용직업군 유형 및 분류체계를 바탕으로 무용진로개입 발전 방안을 도출하였다.

  • PDF

Classification System of Mobile Contents based on Convergence Trend (컨버전스 트랜드에 근거한 모바일콘텐츠 분류체계)

  • Yoo, Min-Ho;Nam, Kyoung-Hwa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9 no.3
    • /
    • pp.108-117
    • /
    • 2009
  • Current mobile content's classifications have two major problems. One violates a principle of classification and the other reveals limitations in dealing with various convergence services. This study proposes a new mobile content's classification system to resolve these problems by adapting Al Ries's principle of symmetric and asymmetric transition. Symmetric mobile contents take a form of mutation in convergence process; therefore, the contents would appear different from their originals whereas asymmetric type combines mobile contents in an autonomous way. This new system not only demonstrates a clearer classification but also implies the trend of mobile content development and services. The current suggests that symmetric type is preferable and symmetric type of mobile contents is re-developed to become a symmetric type as much as the technology can support. Nonetheless, it is found that asymmetric type would still be serviced to some extent. Thus, new mobile content's classification, proposed in this research, provides a more constructive understating of mobile content's directions in the era of digital convergence and a ground for comparative analysis of mobile content's development or positioning strategies.

Standardization and Classification of Culture Technology - Analysis of Technology Classification Systems and Demand Survey (문화기술(CT) 분류체계 및 표준화에 관한 연구 -기술분류체계 및 수요조사를 중심으로)

  • Cho, Yong-Rae;Kim, Won-Jo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9 no.7
    • /
    • pp.184-192
    • /
    • 2009
  • CT(Culture Technology) became one of the leading industries with fast growth in its contribution to an economy not only in Korea, but also in the world. This study suggests policy direction and priority of CT in the perspective of technology standardization and its classification. As a result, this study proposes a new 'CT Classification' using the value chain concepts contrary to previous classification. In addition, we suggest standardization priority, especially, in the sectors of 'CT Distribution/Service', 'CT Marketing', 'General CT management' based on our survey research of production side. Consequently, our research suggests an important strategic bases for decision makers in CT policy and development both government and private sectors.

Semi-Automatic Management of Classification Scheme with Interoperability (상호운용적 분류체계 관리를 위한 반자동 분류체계 관리방안)

  • Lee, Won-Goo;Shin, Sung-Ho;Kim, Kwang-Young;Jeon, Do-Heon;Yoon, Hwa-Mook;Sung, Won-Kyung;Lee, Min-H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1 no.12
    • /
    • pp.466-474
    • /
    • 2011
  • Under the knowledge-based economy in 21C, the convergence and complexity in science and technology are being more active. Therefore, we have science and technology are classified properly, make not easy to construct the system to new next generation area. Thus we suggest the systematic solution method to flexibly extend classification scheme in order for content management and service organizations. In this way, we expect that the difficult of classification scheme management is minimized and the expense of it is spared.

A Study on Meta Data Development of Food Information (식품정보 메타데이터 개발을 위한 연구)

  • Yang, Hye-Jeong;Lee, Jeong-Ryul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89-390
    • /
    • 2011
  • 본 논문의 목적은 효과적인 식품정보 분류 체계 구축 및 관리를 위하여 식품정보의 메타데이터를 구축하고자 하는 것이다. 메타데이터는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를 의미하며, 데이터의 분류체계, 구조, 내용요약을 함축적 의미로 표현하는 데이터이다. 이러한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식품정보를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식품정보 조회, 분석, 활용을 위한 체계를 구축하였고, 식품정보에 대한 접근성을 향상시켰다. 따라서 본 논문을 통하여 식품정책, 식품산업, 식품기술 개발에 효과적인 정보를 제공하여 식품정보의 활용성 증대 및 효과적인 분류를 가능케 하였다.

  • PDF

Theoretical Categorization of the Meanings of Interaction in Interactive Media (인터랙티브 미디어에 적용되는 인터랙션 의미의 범주화)

  • Rhee, Hyun-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85-86
    • /
    • 2015
  • 문화콘텐츠 시장에서 주요 화두로서 등장하는 인터랙션이라는 용어는 단어자체 의미의 포괄성으로 인해 미디어 세부 분야마다 각기 다른 해석을 가진다. 이러한 양상은 산업 간 융합 및 다학문적 연구에 어려움을 야기한다. 보다 나은 인터랙티브 관련 기술 및 학문 발전의 토대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콘텐츠 미디어를 중심으로 인터랙션의 개념에 대한 범주화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인터랙티브 미디어에서 해석하는 인터랙션 의미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바탕으로 일차적으로 총체적인 분류체계를 만들고, 인터랙션 관련 산학 전문가들과의 FGI를 실시하여 수정 및 보완의 과정을 거치며 분류체계에 따른 의미의 범주화를 완성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Next Generation Contents Convergence Industry (차세대 융합형 콘텐츠 산업 분류체계에 관한 연구)

  • Kil, Jin-Ho;Shin, Minsoo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4 no.1
    • /
    • pp.97-109
    • /
    • 2013
  • Recently the value and importance of contents industry is rapidly increasing. In particular, consumption on contents convergence integrating contents and new technologies is being increased as smart devices become popular. Next generation contents convergence industry is being recognized as a new engine for national economic development. However there is no concrete framework defining next generation contents convergence industry. This fact brings about serious problems in defining the scope of the industry. To develop effectively new industry, there is a strong need to define types of contents convergence based on dominant factors leading content convergence trend while shedding light on contents, technologies and industry. To define classification of next generation contents convergence indudstry, this study analyzes attributes of contents convergence and carries out conjoint analysis. Based on the attributes found from conjoint analysis, the study suggests new classification scheme of contents convergence industry.

A Study on the Construction and Cultural DB Classification for Multimedia Contents. (문화콘텐츠 DB분류 및 구축에 관한 연구)

  • Moon, Byung-Chae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11a
    • /
    • pp.43-55
    • /
    • 2004
  • 본 논문의 주된 내용은 21세기 지식정보사회의 신경향에 부합하는 새로운 분류체계를 연구한 것으로, 연구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위의 연구를 통해, 21세기 지식정보사회의 신경향에 부합하는 새로운 분류체계가 되도록 하기 위해 듀이십진분류법을 지양하고 인터넷 검색시스템 정보 분류 방식을 따랐으며, 이용자의 요구에 따라 통합 또는 세분화가 가능한 열린 분류안을 지향했다. 또한, 기획성 분류군을 설정하여 지역 및 문화의 특수성, 사용자의 개인적 요구에 부응할 수 있게 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주제별 분류와 기획성 분류를 혼합한 형태로 구성하는 것을 권했다. 주제별 분류안은 학술적으로는 유용하지만, 데이터가 항목별로 균등하게 반영되기 어렵고 일반인의 관심을 다양하게 담아내기 어렵다. 따라서 기획성 분류를 가미함으로써 문화의 특징을 살려내야 한다는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