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콘텐츠 구현

검색결과 2,934건 처리시간 0.034초

기술연재 / 향후 미디어 발달 경향

  • 김용섭
    • 디지털콘텐츠
    • /
    • 12호통권91호
    • /
    • pp.46-52
    • /
    • 2000
  • 웹캐스팅(Webcasting)은 네트워크 기반의 멀티미디어 서비스중 인터넷 인프라에서 스트리밍 프로토콜(streaming protocol)을 사용하는 것으로 정의 내릴수 있다. 즉 인터넷에서 스트리밍으로 구현되는 콘텐츠와 이와 연동되는 멀티미디어를 포괄하는 서비스의 개념이다. 단순히 영상 서비스만을 국한하는 개념이 아니라 스트리밍 기술로 서비스되는 모든 멀티미디어 영역이 웹캐스팅에서의 콘텐츠 형식인 것이다. 여기에서 스트리밍(Streaming)은 말 그대로 흘러나오게 한다는 의미를 가진 멀티미디어 구현 용어이다. 즉 웹캐스팅에서 선택된 해당 동영상 콘텐츠 파일이 다운로드 방식이 아니라 사용자의 네트워크 상황에 맞게끔 방송의 형식으로 실시간 시청분량만큼을 조금씩 흘려준다는 것이다.

  • PDF

다중 플랫폼 증강현실 콘텐츠 저작 시스템 구현 (An implementation of multi-platform authoring system for augmented reality content)

  • 박고광;김성현;김신형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12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9 No.1(D)
    • /
    • pp.61-63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다중 플랫폼을 지원하는 증강현실 콘텐츠 저작 시스템을 소개한다. 소개하는 저작 시스템은 일반 PC 환경과 모바일 환경에서 구현되었으며 같은 오픈 소스 엔진을 사용하여 상호 호환이 가능하다. 또한 시스템에 콘텐츠 파일의 저장 및 전송을 담당할 서버를 함께 구성하여 사용자의 증강현실 콘텐츠 저작에 대한 파일 접근성을 높였다.

u-스마트 관광정보를 이용한 콘텐츠정보품질 구현 (Implement of Contents information quality using u-smart tourist information)

  • 선수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5호
    • /
    • pp.437-442
    • /
    • 2013
  • 최근에는 IT와 관광을 융합하는 IT관광 융합학문이 미래학문으로 떠오르고 있다. 본 연구는 u-스마트 관광정보 시스템을 이용한 콘텐츠 정보품질에 대한 사항들을 설계 및 구현한다. 이것은 관광정보 패턴 템플리트 라이브러리에 있는 콘텐츠 정보품질 사항을 구현함으로써 관광객의 관광성향과 관광평점을 분석할 수 있는 기초 프로세스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스마트 앱과 XMI를 활용하여 관광정보 콘텐츠 정보품질에 맞는 콘텐츠를 생성하고 구현함으로써 관광정보와 관광객의 성향을 실시간으로 알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뿐만 아니라, 스마트 앱으로 메타모델 연결관계 상호 관련기 프로세스를 거쳐 메타 모델화할 수 있다. 관광정보 콘텐츠의 정보품질을 구현함으로써 관광객의 성향을 파악할 수 있으며 향후 관광디지털정책을 디자인할 수 있는 모형개발에 도움을 준다.

스마트교육을 위한 인터랙티브 3D 융합콘텐츠 저작도구 개발 (Development of an Authoring Tool to Create Interactive 3D Convergence Contents for Smart Learning)

  • 노창현;김병철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401-407
    • /
    • 2016
  • 스마트교육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교사가 직접 3D 융합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는 스마트 교육을 위한 교사용 인터랙티브 3D 융합 콘텐츠 저작도구를 구현하였다. 저작도구는 실질적 사용성을 확보하기 위해 상용 3D 엔진을 이용하여 구현하였다. 사용성 평가를 위해 구현된 저작도구를 현장 교사들에게 제공한 후 이에 대한 만족도 조사를 수행하였다. 사용자들은 전반적으로 원하는 콘텐츠를 만들 수 있었지만, 스크립트를 통해 제작되는 환경에 다소 복잡함을 느꼈다. 따라서 후속연구를 통해 컴퓨터 환경에 익숙지 않은 사용자를 위한 보다 직관적인 3D 융합콘텐츠 저작 방식을 개발해야 할 필요가 있다.

u-스마트 관광정보2.0를 이용한 모바일 학습 콘텐츠 구현 (Implement of Mobile Learning Contents using u-smart tourist information2.0)

  • 선수균;이승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9호
    • /
    • pp.243-250
    • /
    • 2015
  • 모바일 학습 콘텐츠 구현은 IT와 관광을 융합하는 IT관광 융합 학문이다. 학습의 효과를 증대하기 위해서 모바일 학습 콘텐츠를 학습 모듈별로 분류한다. 본 논문은 u-스마트 관광정보2.0 시스템을 제안한다. 모바일 학습 콘텐츠 구현은 IT 관광 융합인 u-스마트 관광정보2.0 시스템을 이용한다. 이것은 디자인 패턴과 XML를 융합하여 학습자에게 재미와 흥미를 준다. 이것은 국가 직무 능력 표준구조로 학습자들의 디자인 패턴으로 나뉘어 학습 모듈별로 수업진행이 최대 장점이다. 그 결과 학습자 출석률이 향상되며 더욱 좋은 학습효과가 나왔다. 다른 장점은 관광정보 콘텐츠 정보품질에 맞는 모바일 학습 콘텐츠를 생성하고 관광정보콘텐츠를 실시간으로 학습 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학습 콘텐츠 구현은 향후 국가 직무 능력 표준 학습에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8K UHD 콘텐츠 인제스트 및 편집 비디오 서버의 구현 (Implementation of Video Server System for Ingesting and Editing 8K UHD Contents)

  • 김제우;신화선;장성준;이상설;강주형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5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51-53
    • /
    • 2015
  • 본 논문은 현재 서비스 시작 단계인 UHDTV 방송 서비스의 확산을 위해서 UHD 콘텐츠 제작 워크플로우에서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UHD 콘텐츠의 실시간 획득, 저장을 하고 이를 편집할 수 있는 UHD 콘텐츠 인제스트 및 편집용 비디오 서버 시스템의 설계와 구현 방법에 대해 기술한다. 제안된 UHD 콘텐츠 비디오 서버 시스템은 최대 8K UHD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인제스트 및 재생하고, 또한 저장된 콘텐츠를 상용 편집툴과 연동하여 8K 콘텐츠를 편집할 수 있다.

  • PDF

변전설비 가상현실(VR) 교육콘텐츠 구현 방법 (A Study on implementation method of virtual reality(VR) education contents of substation facilities)

  • 박봉성;민병문;한순민;강민혁;민설희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8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449-450
    • /
    • 2018
  • 가상현실(VR) 기술을 활용한 가상직무체험은 실제 업무 경험과 유사한 경험을 습득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 e-러닝 및 동영상 교육에 비해 학습몰입도와 효과가 뛰어나다. 그러므로 한국전력공사에서는 (주)포미트와 함께 접근이 어렵고 위험한 작업이 많은 변전설비의 정비를 위한 가상현실(VR) 교육콘텐츠를 제작하였다. 가상현실(VR) 기술이 적용된 교육콘텐츠의 경우 교수내용의 적정성 및 효과성 외에도 반복/장기 학습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콘텐츠의 화질, VR 멀미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초당 프레임 수 등 학습자 관점에서의 기술 적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하여 본 연구에서는 "변전설비 정밀점검 절차 교육콘텐츠"를 대상으로 가상현실(VR) 교육콘텐츠의 구현 방법에 대해 서술하고자 한다.

  • PDF

GPS와 센서를 이용한 헬스콘텐츠 설계 (Design of Health Content Using GPS and Sensors)

  • 김동영;현의주;윤선정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9년도 제60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7권2호
    • /
    • pp.147-148
    • /
    • 2019
  • 최근 국민의 건강증진 및 질병관리 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전문가들 또한 걷기 운동의 유효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 헬스케어와 관련된 기기 및 서비스에 대한 개발이 활발히 진행 중이다. 본 논문에서는 GPS와 비콘 센서를 이용한 환경에서 걷기운동과 미니게임 콘텐츠를 융합한 어플리케이션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이 콘텐츠는 특정 지역을 가상의 게임 맵으로 매칭하고 GPS센서와 리얼월드의 비콘을 블루투스 통신으로 인지하도록 하였으며 이를 통해 소모 칼로리 계산, 게임의 클리어 조건 등 핵심 시스템으로 사용한다. 본 연구를 통해 설계, 구현된 게임 콘텐츠는 이용자의 움직임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고 재미와 몰입감을 제공하여 지속적인 운동을 유도함으로써 운동효과가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사용자 콘텐츠와 LAMS 간의 통신 메커니즘의 설계 및 구현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ommunication Mechanism between User Contents and LAMS)

  • 박찬;성동욱;정석인;유재수;유관희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764-767
    • /
    • 2008
  • 컴퓨터와 인터넷이 발달과 함께 웹을 이용하여 다양한 학습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다. 학습 활동 관리 시스템 LAMS는 효과적으로 학습 활동을 설계하고 관리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 중 하나이다. 하지만 LAMS가 우리가 플래시나 자바와 같은 외부 도구로 만든 외부의 사용자 콘텐츠들과 아무런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완벽하게 학습 활동을 관리하지는 못한다. 본 논문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LAMS와 외부의 사용자 콘텐츠가 서로 통신을 할 수 있는 통신 메커니즘을 설계하고 구현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웹 기반 교육과 LAMS의 구조와 기능 및 개발 환경에 대해 분석 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기반으로 LAMS와 외부 교육용 콘텐츠 사이의 통신 메커니즘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이러한 메커니즘을 플래시나 자바 또는 비주얼 C++로 만든 콘텐츠에 적용할 수 있으며, 이 콘텐츠들은 LAMS의 정보를 가지고 오거나 LAMS에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정보를 모아 각종 통계 자료를 만들고, 이를 교육에 반영할 수 있다. 이 메커니즘은 다양한 개발 환경에서 동작하며, 이것을 이용하여 기존의 LAMS에서는 불가능했던 다양한 학습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우리는 이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좀 더 혁신적인 콘텐츠를 개발하고 우수한 학습 활동 관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모바일 콘텐츠의 재사용을 위한 GVM C-to-WIPI Java 변환기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GVM C-to-WIPI Java Converter for a Mobile Contents Reuse)

  • 박상훈;권혁주;김영근;이양선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717-720
    • /
    • 2006
  • 한국 국내에는 GVM(GNFX), WIPI, BREW, MIDP 등 다양한 모바일 플랫폼이 존재하고 있으며, 각 이동통신사별로 서로 다른 플랫폼을 채택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로 인해 개발자는 하나의 콘텐츠를 서비스하기 위하여 각 이동통신사들의 플랫폼에 맞추어서 다양한 버전의 콘텐츠를 개발하거나, 개발된 콘텐츠를 다른 플랫폼에 이식하기 위하여 콘텐츠를 변환하여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콘텐츠 서비스를 위해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모되고 있으며, 모바일 사용자는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받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팀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콘텐츠를 자동으로 분석하여 변환해주는 콘텐츠 자동 변환기 시스템을 연구하였고, GVM 콘텐츠를 WIPI Java 콘텐츠로 자동으로 변환해주는 GVMC-to-WIPI Java 변환기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본 변환기는 한번 개발한 콘텐츠를 단기간 내에 다른 플랫폼의 콘텐츠로 변환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콘텐츠를 다른 플랫폼으로 이식하기 위한 개발 기간 및 비용을 단축시켜 준다. 또한, 모바일 사용자에게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