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코코넛 섬유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4초

코코넛 활성탄소 함유 PET 원사의 특성연구 (Characterization of PET fiber containing coconut activated carbon)

  • 고정안;임지혜;김영운;류중재;박용완;김의화
    • 한국염색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염색가공학회 2011년도 제44차 학술발표회
    • /
    • pp.82-82
    • /
    • 2011
  • 최근 국내외 섬유시장은 생활패턴의 변화로 레저 활동 인구가 급증하고, 스포츠 및 케쥬얼 의류의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 다기능성을 발휘하는 소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기존의 기능성과 차별화된 신소재 및 기능성 소비자 needs가 증가되고 있다. 코코넛 활성탄소 함유 PET 원사는 최근 H사에서 코코넛 열매껍질을 원료로 탄화시켜 얻어진 활성탄소를 polyester에 혼입 방사하여 상용화 단계에 있는 원사로 우수한 흡한속건성, 항균, 소취성 그리고 UV 차단 기능성 등 최근 소비자의 needs에 맞는 고기능성 신섬유 소재로 기존의 유사 기능성 섬유(숯, 대나무, 기능성 무기물 혼입 원사 등)에 비해 물질의 표면적과 공극이 넓어 보다 탁월한 성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활성탄소를 함유한 원사로 짙은 원착색으로 인해 의복의 심미성이 크게 떨어지는 단점이 있어 이를 보완 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상용화 단계의 코코넛 활성탄소 함유 PET 원사의 심미성을 보완 할 수 있는 편직기술과 활성탄소 입자 소실을 방지하고 기능성 발현에 알맞은 염색 가공 공정을 확립하여 심미성과 기능성을 갖는 기능성 원단을 개발하였고 개발된 원단의 물성과 기능성을 평가하였다.

  • PDF

코코넛 섬유 혼입률에 따른 RHA 및 OPC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 (Mechanical Properties in Rice Husk Ash and OPC Concrete with Coconut Fiber Addition Ratios)

  • 이민희;권성준;박기태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117-124
    • /
    • 2015
  • 건설분야에서 이산화탄소를 저감하기 위해 최근들어 친환경 혼화재료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콘크리트의 취성파괴를 보완하기 위해 다양한 섬유재의 사용이 고려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Rice Ash Husk를 10% 및 20% 치환한 콘크리트를 제조하였으며, 천연섬유 (코코넛 섬유)를 0.125%, 0.250%, 0.375% 혼입하면서 역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평가를 위해 압축강도, 쪼갬인장강도, 휨강도, 내충격성, 부착강도 등이 평가되었으며, 휨부재의 하중에 따른 균열 및 변위를 분석하였다. RHA를 첨가한 콘크리트는 압축강도를 효과적으로 개선하였으며, 섬유재를 0.125%를 첨가하였을 때, 인장강도, 연성증가 그리고 균열저항성 등이 뚜렷하게 개선되었다. RHA 및 첨연섬유는 자원의 재활용 뿐 아니라 콘크리트의 성능도 개선할 수 있으므로 효과적인 건설재료라고 판단된다.

수평 천연섬유배수재의 공학적 특성 평가를 위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Characteristics of Natural Fiber Mat)

  • 김주형;조삼덕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4권2호
    • /
    • pp.3-9
    • /
    • 2005
  • 최근 모래가격이 급등하고 수급이 어려워져 비교적 가격이 저렴한 코코넛껍질 압축매트와 황마필터로 구성된 수평 천연섬유배수재가 모래 대체재료로서 각광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평 천연섬유배수재의 인장강도와 투수특성을 평가하여 수평 배수재로서의 사용성을 평가하였다. 수평 천연섬유배수재의 인장특성을 분석한 결과 코코넛껍질 매트의 매우 낮은 인장강도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인장강도가 황마필터에서 발휘되므로 Christopher와 Holtz(1985)가 제안한 일반적인 토목섬유에 대한 인장강도 기준을 훨씬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매우 높은 압축하중에서 수평 천연섬유배수재의 투수성을 평가한 결과 일반적인 모래의 투수계수보다 높은 투수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면, 수평 천연섬유배수재는 기존의 모래재료를 대체할 수 있는 배수재료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생물학적 황화수소 제거에 미치는 담체의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 of Media on the Biological Removal of Hydrogen Sulfide)

  • 장현섭;이태행;김춘이;조용범;오민환;이은영
    • 유기물자원화
    • /
    • 제17권2호
    • /
    • pp.73-80
    • /
    • 2009
  • 바이오필터의 담체는 유입되는 악취를 제거할 수 있는 미생물이 서식하는 공간이다. 생물학적 악취제거에 있어서, 담체의 특성은 매우 다양하며 그 성상과 특징은 매우 중요하며 비표면적이 크고 균일한 공극을 갖는 담체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코코넛 섬유상 담체, 세라믹 담체, 폴리우레탄 담체를 이용한 생물학적 황화수소 제거능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섬유상 코코넛담체는 나머지 두 개의 담체 보다 유입부하 변동과 수분 보유능 평가에서 안정적이고 높은 처리효율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수명이 짧은 단점이 있어 이를 보완하기 위해 폴리프로필렌 재질의 섬유상 담체를 제작하였고 이 담체의 황화수소 제거능을 평가한 결과, 3 이하의 낮은 pH와 6 초의 짧은 EBRT에서도 99% 이상의 높은 처리효율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이러한 물리적 특성 때문에 황화수소의 제거에 폴리프로필렌 섬유상 담체를 이용하여 현장에 적용할 경우 효과적인 처리를 기대할 수 있다.

  • PDF

착색단고추의 수경재배에 적합한 대체 배지 개발 (Development of Suitable Alternative Substrates in Hydroponics of Sweet Pepper)

  • 배종향;이용범;김호철;차승훈;이혜진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38-142
    • /
    • 2008
  • 파프리카 수경 재배에 적합한 대체 배지 개발을 위해 코이어 배지의 종류에 따른 배지의 수분함량 및 배액의 EC 변화, 생육 및 과실 특성을 암면과 비교 시험하였다. 생육 기간 동안 암면에 비교하여 모든 코이어 배지에서 배지 내 수분함량은 높았고 섬유 50% 배지를 제외하고 배액의 EC는 낮았고, 변이계수도 작았다. 특히, 섬유 30%배지에서 수분함량과 배액 EC가 안정되었고 급격한 변화가 없었다. 초장 생육은 섬유 30%에서 다소 높은 편이었으나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엽록소 함량과 광합성률은 암면과 섬유 50% 배지에서 높았다. 과중은 배지 종류 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 과형지수와 육안 상 과형은 섬유 50%배지와 암면에서 정사각형에 가까웠다. 따라서 코이어 배지를 이용한 착색단고추의 수경 재배에 있어 섬유가 $30{\sim}50%$ 혼합된 코이어 배지는 암면의 대체 배지로써 충분한 가능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친환경배수재의 통수능 특성 평가 (Discharge Capacity of Environmentally Friendly Drains)

  • 조삼덕;김주형;정승용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4권1호
    • /
    • pp.27-36
    • /
    • 2005
  • 식물섬유에서 추출한 천연섬유를 이용하여 제작한 천연섬유배수재의 통수능을 평가하기 위해 수평배수재의 경우에는 투수시험 그리고 연직배수재의 경우에는 Delft 공대에서 개발한 통수능 시험과 교란 점토를 이용한 복합통수능 시험을 각각 수행하였다. 친환경 수평배수재에 대한 투수시험 결과 코코넛 껍질로 구성된 매트의 투수성은 모래에 비해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Delft 공대에서 개발한 통수능 시험으로 평가한 친환경 연직배수재의 통수능은 국산 플라스틱드레인보드의 통수능에 비해 매우 작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교란점토를 이용하여 실제 현장을 가깝게 모사한 복합통수능시험을 수행한 결과 친환경배수재와 플라스틱드레인보드를 설치한 지반의 침하나 간극수압 소산 양상이 서로 유사하게 나타나 친환경배수재가 배수재에 요구되는 최소통수능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Gluconoacetobacter hansenii에 의해 생산된 섬유소 섭취가 흰쥐의 소화기관과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Dietary Effects of Fiber Produced from G\ulcorneruconocacetobacter hansenii on Digestive Tract and Lipid Metabolism in Rats)

  • 조성희;이지연;최경호;최영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802-807
    • /
    • 2002
  • 본 실험은 초산균인 Glwonncetobacter hansenii에 의해 코코넛 배지에서 생성된 막인 bacterial fiber가 흰쥐의 장 전반과 소장의 이당류 효소활성 및 체내 지질상태에 미치는 영 향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흰쥐를 0.5% 콜레스테롤 식이로 사육하였으며 섬유소원으로 bacterial fiber를 식이의 2%로 첨가 하였으며, 효과를 비교할 실험군들에게는 섬유소원으로 식물성 cellulose와 pectin을 같은 수준으로 식이에 첨가하여 사육 하였다. 실험 4주간 동안 식이섭취량 및 체중 증가량은 세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소장의 길이, 무게 등은 군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소장점 막 sucrase활성이 bacterial fiber군에서 감소하였고, maltase 활성도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맹장의 무게가 bacterial fiber군에서 증가하였으나, 결장의 무게에는 영향이 없었고, 결장 내용물 및 건조분변량이 감소하였다 혈장 총 콜레스테롤 농도는 세군중에서 pectin군이 유의적으로 낮았고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반대로 pectin군에서 높았다. 혈장과 간조직의 중성지방 함량은 모두 bacterial fiber군에서 다른 군들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았다. 간조직 콜레스테롤 함량은 pectin군에서 낮았다. 간조직의 상대적 무게는 군간에 차이가 없었고, 혈장 GOT 및 GPT 활성도 bacterial fiber군에서 다른 두 군에 비하여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 실험에서 사용한 bacterial fiber는 체내의 중성지방 수준을 낮추어 지질 상태를 개선 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 주어 이에 대한 기전과 이 작용의 활용에 대한 연구가 요망된다. 본 실험에서는 콜레스테롤 및 소장의 구조와 소화효소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사용하는 섬유소의 수준을 보다 높이거나 다른 섬유소와 복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또 동물의 나이에 따라 다른 결과가 도출될 수도 있으리라고 사료되어 앞으로의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침식방지 식생매트의 파괴실험 (Destructive Experiments on Erosion Control Vegetation Mats)

  • 김명환;이두한;이동섭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2년도 학술발표회
    • /
    • pp.668-668
    • /
    • 2012
  • 제방 비탈면 보호방법 중에서 식생매트를 사용하는 방법은 제방의 보호와 함께 자연친화적이면서 생태계의 보전 측면에서 유리하고 이와 아울러 심미적 효과와 비용의 적절성 등의 요건을 만족하기 때문에 최근 국내 자연형 하천정비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식생매트들이 빈번히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식생매트로 인한 제방의 비탈면 보호 효과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정성적으로 분석된 예가 미흡하여 이에 관한 연구가 시급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비탈면을 보호하는 비탈덮기는 생태계와 경관 등의 고려도 중요하지만 그보다 먼저 유수에 의한 파괴가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제방의 비탈면 보호 효과가 다른 재료에 비해 상대적으로 취약할 수 밖에 없는 식생매트의 경우 적용범위와 한계를 명확히 하여야 잘못된 적용으로 인한 재해를 막을수 있을 것이다. 근래 들어 지역을 가리지 않는 국지성 폭우로 인한 홍수가 점차로 확대되고 있는 국내 상황을 고려할 때에도 식생매트의 한계와 적용범위의 결정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안동 하천실험센터 호안블록 시험구간에서 하류 10m 지점에서 시작하는 20m 구간에 두 종류의 식생매트를 교대로 설치하여 각각의 식생매트에 관한 파괴실험을 수행하였다. 두 종류의 식생매트 모두 코코넛 섬유를 원료로 사용하는 제품이며, 식생매트의 파괴 실험은 식생활착 이전의 상황을 재현하여 수행하였다. 이는 통상적으로 식생 활착 이전의 식생매트가 제방 비탈면을 보호하는 효과가 현저히 떨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에 맞추어 본 실험에서는 식생매트의 자체의 단점과 한계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실험 결과 두 종류의 식생매트는 모두 침수시 부력으로 인한 부유 현상과 식생매트 틈세 흐름으로 인한 기반층의 세굴 현상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상황에서 식생매트를 고정하는 앵커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식생매트가 기반 토층에서 분리되어 파괴가 발생하는 유량조건은 각각 식생매트에 따라 서로 다르게 나타났는데, 이 또한 매트를 고정하는 앵커의 특성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코이어 배지를 이용한 착색단고추 수경재배 시 적정 급액농도 (Optimum Concentration of Supply Nutrient Solution in Hydroponics of Sweet Pepper using Coir Substrates)

  • 김호철;차승훈;김철수;이혜진;이용범;배종향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10-214
    • /
    • 2008
  • 코이어 배지(코코넛 분말:섬유=70%:30%, v/v)를 이용한 착색단고추 수경재배에서 공급 배양액의 적정 농도를 구명하자 EC 2.5, 3.0, 3.5 및 $4.0dS{\cdot}m^{-1}$의 농도를 공급하였다. 생육 기간 동안 배양액의 급액 농도에 따른 슬라브 내의 EC는 급액 농도가 높아지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수분 함량은 반대의 경향을 보였다. 배액의 pH는 안정적이었으며, EC는 급액 농도 EC $4.0dS{\cdot}m^{-1}$에서 EC $7.3dS{\cdot}m^{-1}$로 높았을 뿐만 아니라 표준편차와 변이계수도 높았다. 초장은 급액농도 간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광합성율은 급액 농도 EC $4.0dS{\cdot}m^{-1}$에서 전반적으로 높았다. 과중은 급액 농도 EC $4.0dS{\cdot}m^{-1}$에서 가장 무거웠으며, 과형은 급액 농도 EC $3.5dS{\cdot}m^{-1}$에서 정사각형에 가까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