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컴퓨터 단층 영상

검색결과 321건 처리시간 0.031초

동적 역치 조정을 이용한 퍼지 단층 퍼셉트론 (Fuzzy Single Layer Perceptron using Dynamic Adjustment of Threshold)

  • 조재현;김광백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11-16
    • /
    • 2005
  • 최근에 퍼지 이론을 인공 신경망에 접목하여 개선된 성능을 보이려는 경향이 많다. Goh는 퍼지단층 퍼셉트론 알고리즘과 일반적인 델타 규칙(Generalized delta rule)에 기반한 개선된 퍼지 퍼셉트론을 제안하여 Exclusive-OR(XOR) 문제 등을 해결하였다 그러나 이 방법은 계산량의 증가와 복잡한 영상인식에 적응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논문에서는 동적 역치조정에 의한 개선된 퍼지 단층 퍼셉트론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페턴인식의 벤치마크로 사용되는 XOR문제에 적용된다. 또한 영상 응용영역으로서 디지털 영상의 인식에 적용한다. 실험결과에서 항상 수렴하지는 않지만 그러나 제안된 모델은 학습시간의 개선과 높은 수렴율을 보였다.

  • PDF

컴퓨터 단층영상에서 사이노그램 정규화를 이용한 금속 영상왜곡 저감 방법의 이론적 고찰 (Theoretical Investigation of Metal Artifact Reduction Based on Sinogram Normalization in Computed Tomography)

  • 전호상;윤한빈;남지호;김호경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24권4호
    • /
    • pp.303-314
    • /
    • 2013
  • 금속 인공물을 포함한 인체 단층영상의 경우 금속 영상왜곡으로 인한 화질의 저하가 매우 심각하다. 금속 영상왜곡 저감을 위한 많은 방법 중 사이노그램 정규화를 통해 평탄한 사이노그램을 제공하여 금속 궤적을 쉽게 찾고, 단순 선형 보간으로 금속물을 대체하는 두께 및 배경 정규화 방법이 최근 소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두 방법의 이론적 배경을 개발하였으며, 시뮬레이션을 통해 금속 인공 물질의 크기 및 개수에 따른 두 방법의 보정 결과를 비교하였다. 개발한 이론에 의하면 배경 정규화 방법이 두께 정규화 방법에 비해 피검사체 배경 구성 물질의 개수 및 종류에 상관없이 거의 평탄한 사이노그램을 제공하였으며, 시뮬레이션을 통해 이를 증명하였다. 금속 인공 물질의 다양한 크기 및 개수에 대한 두 방법의 보정 결과 역시 배경 정규화 방법이 두께 정규화 방법에 비해 훨씬 나은 보정 결과를 보여 주었다. 배경 정규화 방법은 영상분할 과정을 요구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이 과정을 생략하더라도 비록 영상왜곡 잔상이 미약하게 나타나긴 하지만, 두께 정규화 방법에 비해 훨씬 나은 보정 결과를 제공함을 확인하였다. 영상분할 과정을 생략한 배경 정규화 방법은 매우 간단하며 단순 선형 보간으로도 금속 궤적에 의해 손실된 데이터의 기술이 충분하고, 또한 사용자의 개입이 없는 알고리즘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기존 컴퓨터단층영상 시스템에 쉽게 탑재되어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컴퓨터단층촬영을 이용한 거대 낭포성 폐기종의 진단 3례 (Imaging Diagnosis using Computed Tomography in Three Dogs with Giant Bullous Emphysema)

  • 최수영;오이세;강종일;이인;송유미;정우창;이기자;최호정;이영원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41-245
    • /
    • 2014
  • 12년령의 미니어쳐 핀셔 1 마리와 각각 8년령, 10년령의 말티즈 2 마리가 호흡곤란을 주증으로 내원하여 흉부 방사선 촬영과 다중검출기 컴퓨터단층촬영을 실시하였다. 컴퓨터단층촬영 시, 호흡의 고정을 위하여 양압환기를 실시하여 무호흡을 유발하였다. 3 증례의 컴퓨터단층영상에서 폐의 과확장된 거대한 낭포성 가스 종괴가 확인되었으며, 종괴에 의한 전종격동 및 심장의 변위가 확인되어, 거대 낭포성 폐기종으로 진단하였다. 거대 낭포성 폐기종은 낭포성 가스 종괴가 동측 흉강의 1/3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정의되며, 다중검출기 컴퓨터단층촬영을 통한 진단으로 유용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전산화단층촬영 영상에서 지방간의 감별진단을 위한 컴퓨터보조진단의 응용 (Application of Computer-Aided Diagnosis for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Fatty Liver in Computed Tomography Image)

  • 박형후;이진수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443-450
    • /
    • 2016
  • 본 연구는 복부 전산화단층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지방간환자의 영상을 질감특징분석과 ROC curve 분석을 하였으며, 컴퓨터보조진단시스템의 구현을 위한 실험적인 선형 연구로서 전산화단층촬영 영상에서 지방간의 객관적이고 신뢰성 있는 진단 정보를 의사에게 제공하고자 하였다. 실험은 정상 및 지방간 복부 전산화단층촬영 영상을 실험영상으로 하여 설정된 구역에 대한 wavelet 변환을 거쳐 질감의 특징값을 나타내는 6가지 파라미터로 통계적 분석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 결과 엔트로피, 평균밝기, 왜곡도는 90% 이상의 비교적 높은 인식률을 보였고, 대조도, 평탄도, 균일도는 약 70% 정도로 비교적 낮은 인식률을 나타내었다. ROC curve를 이용한 분석에서 6가지의 파라미터 모두 0.900(p=0.0001)이상을 나타내어 질환인식에 의미가 있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6가지 파라미터에서 질환 예측을 위한 cut-off 값을 결정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복부 전산화단층촬영 영상에서 질환 자동검출 및 최종진단의 예비 진단 자료로서 적용 가능할 것이다.

개에서 요추부 척수를 압박하는 척추 골육종 발생례 (Vertebral Osteosarcoma Causing Compression of the Lumbar Spinal Cord in a Dog)

  • 강병재;류학현;박성수;;성규진;김용선;박준원;김완희;윤정희;김대용;권오경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588-592
    • /
    • 2010
  • 15년 령의 중성화 수컷 요크셔 테리어가 양측 후지의 보행 장애로 내원하였다. 5개월 전부터 후구 부전마비가 시작되어 점점 진행되었고, 4일 전부터는 증상이 빠르게 악화되었다. 후구 부전마비를 일으킬 수 있는 신경 질환을 감별하기 위해 컴퓨터 단층 촬영과 자기 공명 영상이 실시되었다. 컴퓨터 단층 촬영을 통해 4번 요추의 골 결손과 인접 부위의 연부 조직 종괴를 확인하였다. 자기 공명 영상을 통해서는 4번 요추의 왼쪽에서 T1강조 영상에서의 등신호종괴와 T2강조 영상에서의 고신호 종괴가 척수를 압박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T1강조 영상에서 조영제 주입 후 종괴의 신호가 균일하게 증가하였다. 종괴의 절제 후 통증은 완화되었다. 조직병리학적 검사를 통해 병변이 척추 골육종임을 확인하였다. 컴퓨터 단층 촬영과 자기 공명 영상은 개에서 척추 골육종을 진단하고 수술적 제거를 위한 계획을 세우는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흉부컴퓨터 단층촬영으로 진단된 기관지내 지방종 -1례 보고- (Endobronchial Lipoma Diagnosed by Chest CT - A Case Report -)

  • 박찬범;김환욱;조덕곤;안명임;송소향;김치홍;유진영;조규도;이선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1호
    • /
    • pp.39-42
    • /
    • 2003
  • 기관지내 지방종은 폐에서 발생하는 양성종양중 매우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개 서서히 진행되는 기관지 폐색과 함께 증상을 나타나는데, 대부분의 경우 기관지 폐쇄가 일어난 다음에 진단되므로 비가역적 기관지 확장이나 폐실질의 비가역적 손상을 가져온다. 진단은 흠부 기관지경검사나 흉부컴퓨터 단층촬영, 자기공명영상 촬영등으로 할 수 있으나, 흉부컴퓨터 단층촬영이 특히 민감도와 특이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치료는 내시경하 종괴의 제거 또는 개흉술을 통한 종괴의 제거 또는 폐엽절제술을 시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저자들은 우중엽을 완전히 막고 있으면서, 폐색후 폐실질의 손상을 동반한 기관지내 지방종을 1례 경험하여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MCNP 기반의 CBCT 전산모사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n MCNP-Based Cone-Beam CT Simulator)

  • 임창휘;조민국;한종철;윤한빈;윤승만;정민호;김호경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51-359
    • /
    • 2009
  • 원추형 빔 단층촬영 시스템의 효과적인 모사를 위하여 상용 몬테칼로 코드인 MCNP를 기반으로 한 전산모사 시뮬레이터를 개발하였다. 기본적으로 Visual $C++^{(R)}$를 이용하여 제작하였으며, 모델의 시각화를 위해 $OpenGL^{(R)}$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개발하였다. 컴퓨터 단층촬영 시뮬레이션 수행을 위한 입력파일의 생성과 MCNP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실행, 그리고 투과영상 생성과 단층영상 재구성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구현하였다. 개발한 시뮬레이터의 검증을 위하여 콘트라스트 팬텀(contrast phantom)에 대해 실험과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산란 엑스선, 영상센서의 잡음 및 픽셀 결함에 의한 structured noise 등을 시뮬레이션에서 고려하지 못했기 때문에 두 결과가 정확하게 일치하지는 않았으나, 매우 유사한 비교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한 MCNP 기반의 CBCT 전산모사 시스템은 CBCT의 이해, 실제 시스템의 설계 및 제작시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QA용 두부 팬톰을 이용한 Hitchcoke CT 및 혈관조영 정위적 시스템에 대한 정확도 평가 (Evaluation of Accuracy on Hitchcoke CT/angio localization system using QA head phantom)

  • 김성현;서태석;윤세철;손병철;김문찬;신경섭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9권1호
    • /
    • pp.1-9
    • /
    • 1998
  • 정위적 방사선 수술과 신경외과적 수술분야 에서는 상호보완적인 영상정보를 얻기 위하여 컴퓨터 단층촬영 (CT), 자기공명영상 (MRI) 그리고 혈관조영촬영이 사용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여러 영상장치와 다목적 QA(Quality Control) 팬톰을 이용하면서, 정위적 방사선수술 및 신경외과적 수술분 야에서 두경부내의 병소에 대한 모양, 크기, 위치를 정확하게 결정하기 위한 3 차원 정위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다. 목표물의 정확한 위치를 정의하기 위하여, Hitchcoke 정위 프레임과 컴퓨터 단층 촬영 (CT)/혈관 조영촬영용 위치측정 보조기구들을 3차원 공간상에 9개의 목표물을 가진 팬톰에 고정하였다. 컴퓨터 단층촬영과 혈관 조영촬영을 이용하여 얻은 기하학적 팬톰의 영상들을 이용하여, 목표물의 3차원 정위좌표를 얻기위한 알고리즘이 개발되었다. 개발된 알고리즘에 의해 계산된 목표물들의 위치는 팬톰의 절대 좌표와 비교 되었고, 각 CT 영상에서의 목표물들은 뇌혈관촬영 영상위에 상호 중첩될 수 있도록 개발 되었다. 512$\times$512 메트릭스와 2mm 슬라이스 두께를 가진 컴퓨터 단층촬영에 있어서는 1.02$\pm$0.17 mm의 평균거리오차를 보였고, 혈관 조영촬영인 경우에는 0.41$\pm$0.05mm 의 평균거리오차를 보였다. 목표물의 위치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결과로 나온 정확도는 개발된 시스템이 정위적 방사선수술과 신경외과적수술을 위해 충분히 신뢰성이 있음을 확인해주었다.

  • PDF

어린 알래스카 말라뮤트견에서 기관열상의 영상의학증례 (Medical Imaging of Tracheal laceration in a Young Alaskan Malamute Dog)

  • 최호정;이영원;하지영;김재환;박기태;연성찬;이희천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90-193
    • /
    • 2012
  • 2개월령의 알래스카 말라뮤트견이 교상후 호흡곤란과 경부피하기종을 주증으로 내원하였다. 신체검사에서 두 개의 작은 피부열상과 경부의 염발음이 확인되었다 방사선 검사에서 종격기종과 피하기종이 관찰되었다. 종격동기종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서 컴퓨터 단층촬영검사를 실시하였다. 컴퓨터 단층촬영검사결과 경도의 기관열상이 2군데에서 관찰되었다. 컴퓨터 단층촬영검사는 기관의 외상성의 진단에 유용하며, 특히 열상의 위치와 정도를 잘 영상화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처치와 이로 인한 부작용을 줄일 수 있다.

형태-기반 보간을 이용한 심장 자기공명영상의 3차원 가시화 (3-dimensional Visualization of the Heart MR Image using Shape-based Interpolation)

  • 박주영;홍헬렌;빈성원;김종원;김명희
    •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 /
    • 제1권2호
    • /
    • pp.226-233
    • /
    • 1995
  • 본 논문에서는 심장과 심장 상부의 대동맥 및 폐동맥에 대한 형태-기반 보간법을 이용한 3차원 가시화 방법을 제안하였다. CT, MR과 같은 의학 영상들은 x나 y축 방향보다 z축 방향으로 더 낮은 해상도를 갖기 때문에 3차원적 가시화를 위해서는 먼저 각 단층 영상들간의 보간이 수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지금까지 대부분의 3차원 의학영상 가시화에서는 선형보간법이나 또는 그와 유사한 보간법들을 주로 사용했는데, 이런 보간법들은 분기나 휘어지는 구조를 갖는 기관에는 좋은 결과를 생성하지 못했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분기와 휘어짐이 있는 심장부위 구조를 3차원적으로 가시화하기 위하여 형태-기반 보간법을 이용하였다. 형태-기반 보간법을 이용한 가시화는 다른 보간법을 사용한 경우와 달리 분명하고 자연스러운 구조 표현을 할 수 있었고, 각 단층 영상간의 보간수를 증가시킴에 따라 더 좋은 결과를 생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