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컴퓨터 단층 영상

검색결과 321건 처리시간 0.048초

컴퓨터 단층촬영 영상에서의 치열궁 자동 검출 기법 (Automatic Dental Arch Detection for CT Images)

  • 강호철;김계현;신영길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11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8 No.1(C)
    • /
    • pp.443-446
    • /
    • 2011
  • 본 연구는 컴퓨터 단층촬영 영상 (CT, Computed Tomography Image)에서 치열궁 (Dental Arch)을 자동으로 검출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에서는 3차원 컴퓨터 단층촬영 영상을 입력 받고 영역 확장법을 이용하여 하악을 분할 한 후 하악의 단면에서 전체적인 치아의 영역을 분할을 한다. 치아의 영역에서 세선화 작업을 거친 후 곡선 정합법을 이용하여 최종 치열궁을 검출한다. 실험 데이터로 두개골 컴퓨터 단층 촬영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치과 영상 데이터로부터 파노라마 영상을 얻는데 이용 될 수 있고 치과 분야의 질병 진단 및 진찰에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뇌의 단일 광자 방출 전산화 단층촬영 영상,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 영상 그리고 핵자기공명 영상의 융합과 등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age registration and fusion of MRI and SPECT/PET)

  • 주라형;최용;권수일;허수진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9권1호
    • /
    • pp.47-53
    • /
    • 1998
  • 방사성 의약품 또는 방사성 동위원소를 이용하여 동적 상태의 변화를 측정하고 핵자기 공명 영상에서 해부학적 기준 정보를 얻어 영상을 융합, 등록하고 같은 대상에서 비슷한 검사를 계속해서 비교하게 되며 해부학적 기준 정보나 다른 검사 기기 종류에서 반복되는 검사의 비교를 위해 영상 합성 연구가 유효하며 기능적 특성 때문에 단일 광자 방출 전산화 단층 촬영과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은 해부학적 기준 정보가 필요하게 되고 같은 대상에서 이러한 해부학적 기준 정보를 얻고 기능적인 이상과 상관관계를 찾아내고 반복되는 진단에 대한 비교를 위해서 영상등록과 융합을 시행하였다. 해부학적 구조가 같은 특성을 갖는 여러 영상 시스템들을 이용하여 해부학적기준과 동적 정보를 함께 얻고 등록하기 위해 짝을 이루는 점올 이용하여 2 가지 영상 데이터에서 4 점 쌍 이상을 선택하여 등록하였다. 기준 영상과 짝을 이루는 점과 대응한 영상은 다른 색을 선택하여 영상을 구분하였으며 핵자기 공명영상을 기준영상으로 하고 단일 광자 방출 컴퓨터 단층 촬영 영상, 양전자 방출 전산화 단층 촬영 영상을 기준영상에 1:1 대응하여 영상을 등록하기 위해서 변환한다. 핵자기 공명 영상이 기준 영상으로 사용되지만 인터폴레이션 에러는 주어진 영상의 공간 주파수에 따라 달라지므로 낮은 해상도를 갖는 양전자 방출 전산화 단층 촬영 영상과 단일 광자 방출 컴퓨터 단층 촬영 영상의 인터폴레이션 에러는 적다. 따라서 방사성 동위원소를 이용하여 질병의 진단 및 질환의 병태 생리 생화학적 연구를 통한 신체의 동역학적 상태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이런 정량적이고 기능적인 정보를 해부학적 기준 정보를 주는 핵자기 공명 영상이나 컴퓨터 단층 촬영에서 반복 시행하여 검사와 진단에 용이하게 이용하고, 비교를 위해서 영상을 등록하고 융합하여 진단에 보다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MDCT를 이용한 역동적 간 컴퓨터단층촬영 검사에서 정맥과 동맥 주입법에 따른 영상의 화질 및 선량 비교 (Comparison of Image Quality and Dose between Intra-Venous and Intra-Arterial Liver Dynamic CT using MDCT)

  • 김지영;조예진;임희현;이주형;허영철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123-129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정맥경유 역동적 간 조영 컴퓨터단층촬영 검사와 동맥경유 역동적 간 조영 컴퓨터단층촬영 검사의 영상의 질과 선량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간세포암종의 중재적 시술인 경도관동맥화학색전술 대상으로 정맥과 동맥 경유 역동적 간 조영 컴퓨터단층촬영 검사를 한 케이스를 후향적 블라인드 방법으로 신호대잡음비와 대조도대잡음비를 분석하였다. 또한 영상저장 및 전송체계에 저장된 Dose Length Product (DLP)값을 이용하여 유효선량을 구하여 두 검사의 선량 차이를 분석하였다. 신호대잡음비는 정맥경유 역동적 간 조영 컴퓨터단층촬영 검사가 간과 지라에서 높은 결과를 보였지만 대조도대잡음비는 동맥경유 역동적 간 조영 컴퓨터단층촬영 검사가 높았다. 하지만 DLP와 유효선량 비교에서는 두 검사 간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동맥경유 역동적 간 조영 컴퓨터단층촬영 검사가 정맥경유 역동적 간 조영 컴퓨터단층촬영 검사에 비해 선량차이가 발생하지 않으면서도 대조도대잡음비가 우수한 검사임을 확인하였다. 추가로 간세포암종의 중재적 시술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 섭식동맥의 구분이 명료한가에 대한 구분이 필요하기 때문에 간동맥의 삼차원 혈관조영 컴퓨터단층촬영 검사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개선된 가변형 능동모델을 이용한 흉부 컴퓨터단층영상에서 폐 실질의 분할 (Image Segmentation of Lung Parenchyma using Improved Deformable Model on Chest Computed Tomography)

  • 김창수;최석윤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10호
    • /
    • pp.2163-2170
    • /
    • 2009
  • 흉부 컴퓨터단층영상에서의 얻어진 폐 영상은 볼륨과 형태 등의 정량적인 정보들로서 진단과 수술 계획 등에 있어서 필연적 정보를 제공한다. 일반적인 영상분할은 이미지를 구성 요소영역이나 목적물에 따라 나누는 방법이다. 그러나 재분할을 하는 단계에서 최종영상은 에너지 최소화를 해결하는 정도에 의존하며, 분할은 응용대상의 관심 영역에서 객체나 물체의 경계에서 정지하게 된다. 가변형 능동모델은 컴퓨터 비젼, 영상처리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영역 분할은 현재까지 많은 연구가 되고 있으며, Xu에 의해서 GVF라는 새로운 형태의 외부힘이 제안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알고리듬은 흉부 컴퓨터단층영상에서 실질을 자동 분할하기 위해서 에너지 최소화 방법을 사용하고, 영역분할을 위해 개선된 가변형 능동모델을 제안한다. 알고리듬은 정확한 영역분할을 위해서 기존 방법과 다른 개선된 외부힘을 정의하는 것이다. 임상의 실험은 흉부 컴퓨터단층영상에서 진단에 필요로 하는 폐 실질의 분할이 성공적인 결과를 나타내었다.

치료방사선량평가를 위한 CCD 기반 광학컴퓨터단층촬영 스캐너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CCD Based Optical CT Scanner for Therapeutic Radiation Dosimetry)

  • 이재춘;김애란;지영훈;권수일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27권2호
    • /
    • pp.72-78
    • /
    • 2016
  • 중합체 겔 선량계의 치료방사선 선량 평가를 위해 CCD 카메라와 LED 광원을 결합하여 소형 광학컴퓨터단층촬영 스캐너를 제작하였다. LED에서 나온 평행 빔은 아쿠아리움, 겔 팬텀, 텔레센트릭 렌즈를 통과한 후 CCD 카메라로 영상이 수집되었으며, MATLAB을 이용하여 영상을 재구성하였다. 겔 선량계는 구동 모타와 LabVIEW를 이용하여 $0.72^{\circ}$씩 회전시키었으며, 1회전 당 500장의 슬라이스 영상을 얻는데 걸린 시간은 20분 이내였다. 제작한 광학컴퓨터단층촬영 스캐너의 공간주파수 4.5 lp/mm에서 MTF값은 72%이었다. 중합체 겔 선량계의 광학컴퓨터단층촬영 스캐너의 선형상관계수 $r^2$ 값은 0.987이었다.

개에서 정량적 컴퓨터단층촬영을 이용한 폐용적과 폐밀도의 평가 (Quantitative CT Evaluation for Lung Volume and Density in Dogs)

  • 최수영;이인;정우창;;이영원;최호정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376-381
    • /
    • 2014
  • 컴퓨터단층촬영을 이용하여 개에서 폐용적과 폐밀도를 측정하였으며, 체중, 나이, 성별 및 품종에 따라 분석하였다. 데이터 수집을 위해 호흡기 질환이나 심혈관계질환이 없는 개에서 수행된 흉부 컴퓨터단층촬영 영상이 사용되었으며, 전체 폐용적과 밀도의 측정을 위해 컴퓨터단층촬영 영상의 재구성 기법을 이용하였다. 폐용적은 체중이 증가할수록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다(p < 0.0001). 폐밀도는 체중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 = 0.0078). 그러나, 폐용적과 밀도는 성별 또는 연령과 상관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정량적 컴퓨터단층촬영 검사로 전체 폐용적이나 폐밀도를 평가할 때 체중으로 인한 효과가 고려되어야 한다.

뇌정위 수술계획을 위한 다원 3차원 영상가시화 시스템의 개발 (Development of 3D Mutil-volume Visualization System for Stereotactic Surgery)

  • 최재정;김혁;신영길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1998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2 (2)
    • /
    • pp.612-614
    • /
    • 1998
  • 뇌정위 수술(Stereotactic Surgery)은 컴퓨터 단층영상과 자기공명 영상 같은 3차원 영상을 이용하여 뇌병변의 위치를 입체적으로 정확히 파악하여 정상 뇌에 대한 손상을 최소화하며 병변을 수술하는 기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수술 받을 환자의 컴퓨터 단층영상과 자기공명 영상 등 다양한 종류의 3차원 볼륨 데이터를 전처리한 다음 동일한 3차원 공간 내에서 정렬시켜 선택적 또는 동시적으로 3차원 영상을 가시화 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또한 3차원 영상에서 뇌정위 수술의 삽입점과 목표점을 지정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하며 수술 경로에 따른 가상 수술의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수술 경로의 안전성을 검증할 수 있게 하였다.

  • PDF

뇌 컴퓨터단층검사 시 양자잡음제거 알고리즘을 적용한 영상의 비교평가 (Comparative Evaluation of Images after Applying Quantum Denoising System Algorithm to Brain Computed Tomography)

  • 조평곤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0권4호
    • /
    • pp.589-594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뇌 컴퓨터단층검사 시 양자잡음제거(Quantum Denoising System; QDS) 알고리즘을 적용한 영상 분석을 통해 화질 향상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2017년 7월부터 2017년 10월까지 경북 소재 G 영상의학과에 뇌 컴퓨터단층검사를 위해 내원한 45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동의하에 후향적 연구를 하였고, 뇌 컴퓨터단층검사 시 QDS(-)를 적용하지 않은 그룹(A Group)과 QDS(+)를 적용한 그룹(B Group)으로 나누어 검사하였다.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노이즈값은 Pons부분과 Vermis부분 모두 QDS(+)를 적용한 B그룹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A Group; Pons $6.92{\pm}0.98HU$, Vermis 6.72, B Group; Pons $5.41{\pm}1.05HU$, Vermis $5.28{\pm}0.73HU$ : p<0.05). SNR값은 Pons부분과 Vermis 부분 모두 QDS(+)를 적용한 B그룹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A Group; Pons $5.21{\pm}1.28$, Vermis $6.23{\pm}1.49$, B Group; Pons $7.28{\pm}2.56$, Vermis $8.63{\pm}3.04$ : p<0.05). 결론적으로 뇌 컴퓨터단층검사 시 양자잡음제거 알고리즘을 적용한다면 영상의 노이즈 감소 및 신호 대 잡음비(SNR), 대조도 대 잡음비(CNR)를 좀 더 개선시켜 진단에 적절한 영상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분해능 향상을 위한 새로운 양전자 단층 촬영기의 제안 (Resolution Improvement of the Positron Computerized Tomography with a New Positron Camera Tomographic System)

  • 홍기상;나종범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22-30
    • /
    • 1979
  • 새로운 구조의 양전자 전산 단층 촬영기(Positron Computerized Tomography)를 제안하고 그 시스템의 성능을 컴퓨터로 예측하였다. 이 새로운 구조의 시스템은 sampling 간격을 임의로 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시스템에 비해서 보다 높은 분해능의 단층 영상을 얻을 수 있다.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이 시스템에 어떠한 artifact가 생기나 살펴 보았고 Poisson noiserk 더해졌을 때의 영상을 비교함으로써 이 시스템이 기존의 시스템보다 나은 영상을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