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컴퓨터공학 교육

Search Result 661,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Inter-Lane Distance Measurement Method for Predicting the Lateral Movement of the Vehicle in Front (전방 차량의 횡간 이동 예측을 위한 차선 간 거리 측정 방법)

  • Sung-Jung Yong;Hyo-Gyeong Park;Seo-young Lee;Yeon-Hwi You;Il-Young Moon
    • Journal of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 /
    • v.14 no.3
    • /
    • pp.593-600
    • /
    • 2022
  • Various sensors such as lidar, radar, and camera are fused and used in autonomous vehicles. Rider and radar sensors are difficult to popularize because they are expensive equipment. In order to popularize autonomous vehicles, research that can replace expensive equipment is continuously being conducted. In this paper, we use a single camera that is inexpensive and can be easily mounted. We propose a method for detecting the wheels and adjacent lanes of a front-side vehicle of a driving vehicle and estimating distances. Our proposed method detects lanes and wheels from frame images after frame extraction via input images. In addition, the distance is measured and compared with the actual distance measured in the actual road environment. The distance could be calculated relatively accurately within the error range of ± 3 cm.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hat the camera can be used as an alternative means when the cost of autonomous vehicles is reduced or when the lidar or radar sensor fails.

A Study on Implementation of NAS-based K-12 Learning Management System for Supporting Developing Countries (개발도상국 지원을 위한 NAS기반의 K-12 학습관리 시스템 구현 방안에 대한 연구)

  • No, In-Ho;Yoo, Gab-Sang;Kim, Hyeock-Ji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7 no.1
    • /
    • pp.179-187
    • /
    • 2019
  • Developing countries, including Africa, are experiencing very little human resources development due to the deprivation of equal educational opportunities, poor educational conditions, and the gap in information technology with developed countries. Developing countries that do not have excellent human resources are lagging behind in globalization competition with developed countries, and the problem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 developing countries can not be avoided. In developing countries, education budgets are too low to meet education needs and compulsory education, and therefore they are not adequately responding to the increasing demand for education. The lack of education budget is due to the lack of education infrastructure. In this study, the NAS based server is configured to configure functions such as educational content and learning management, and the client area is presented with solutions for various media such as tablet, PC, and beam projector. And to support optimized e-learning services in developing countries by constructing a SCORM-based platform.

The Evaluation Method for Program Outcomes of Capstone Design in Computer Engineering Technology (컴퓨터공학기술 분야 종합설계 교과목 졸업생역량 평가 방안)

  • Kim, Young-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11a
    • /
    • pp.1615-1618
    • /
    • 2012
  • 대학은 교육개선을 통하여 교육 수요자인 학생에게 질 좋은 교육을 제공함으로서 교육 만족도를 높일 수 있으며, 대학 경쟁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교육개선의 일환으로 2010년부터 시행중인 전문대학교 공학기술교육인증(ETAC) 컴퓨터공학기술 분야에서 필수 이수 교과목인 종합설계의 대학별 운영 사례 비교 분석을 통하여 졸업생역량(PO)의 산학연계형 평가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종합설계 교과목 운영시 담당교수 이외에 산업체 인사가 참여하는 다면평가 방법과 더 나아가 종합설계 교과목 수업 운영으로 현장 실무자가 포함된 팀티칭 방법을 제안한다.

A Study on Analysis of Teaching Competency for Engineering faculty (공학계열 교원의 역량 향상을 위한 교수역량 분석 연구)

  • Kim Ji Sim;Kim Kyong Ah;Ahn You 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11a
    • /
    • pp.58-59
    • /
    • 2023
  • 대학의 교육혁신을 위해 교수역량을 진단하고 향상하고자 하는 노력이 한창이다. 본 연구에서는 공학계열 교수자의 교수역량을 향상하기 위하여 수업역량을 진단하고 분석하였다. 타계열과의 비교·분석을 통해 공학계열 교수자의 수업역량을 향상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The Layout of STEAM Program for Girls' Engineering Experience (여학생 공학경험을 위한 STEAM 교육 프로그램 틀 설계)

  • Choi, Jeong-Won;Lee, You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3.07a
    • /
    • pp.209-210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공학에 대한 흥미, 태도, 성취가 낮은 여학생에게 공학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공학 분야의 여성 인재를 양성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기 위한 공학 중심 STEAM 프로그램의 틀을 설계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여학생의 특성을 분석하고 여학생 친화적인 환경을 구축하였으며 여학생 친화적 환경에 부합하는 e-textile이라는 도구를 활용하여 STEAM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교육 프로그램은 학습자가 직접 참여할 수 있도록 Learning by Doing, Learning by Design의 전략을 사용하도록 하였으며 교육 프로그램 전 과정을 학습자 스스로 창의적인 사고를 바탕으로 문제를 해결해나가도록 하고 교사는 조력자, 안내자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Improvements in Fluid Engineering Laboratory Education : A Future Oriented Directions (미래지향적인 유체공학 실험교육의 개선방향)

  • 김경천
    • Journal of the KSME
    • /
    • v.34 no.2
    • /
    • pp.118-125
    • /
    • 1994
  • 미래기술은 컴퓨터와 통신이 주도하는 정보화 기술을 주축으로 점점 고성능화, 지능화 기계의 등장을 요구하며, 기계공학도 최근 그 개념 자체가 급속히 변화하고 있다. 교육계와 산업계에서는 구태의연한 교과과정에서 탈피하여 전자공학과 전산공학을 응용하는 교육과 동시에 더욱 심도 있는 기본교육을 요구하고 있다. 특히 유체공학은 현상론적 이해가 필요한 실험과학의 범주이 므로 실험실 교육이 절실한 학문이다. 미래지향적인 유체공학 실험교육의 개선방향은 개인용 컴퓨터를 적극활용하여 참여하는 실험을 필수적으로 운용하도록 유도하고 학생으로 하여금 물 리적 이해와 함께 창의적인 정보창출과 정보처리기법의 경험을 얻도록 해야한다. 아울러 다각 적이고 효율적인 실험장치를 설계하여 유체역학의 기본이론들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는 데몬스 트레이션용 실험이나 Kit형 실험도 더욱 보완될 필요가 있다.

  • PDF

Implementation of Cloud-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latform (클라우드 기반 인공지능 교육 플랫폼 구현)

  • Wi, Woo-Jin;Moon, Hyung-Jin;Ryu, Gab-Sang
    • Journal of Internet of Things and Convergence
    • /
    • v.8 no.6
    • /
    • pp.85-92
    • /
    • 2022
  • Demand for big data analysis and AI developers is increasing, but there is a lack of an education base to supply them. In this paper, by developing a cloud-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latform, the goal was to establish an environment in which practical practical training can be efficiently learned at low cost at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IT companies. The development of the education platform was carried out by planning scenarios for each user, architecture design, screen design, implementation of development functions, and hardware construction. This training platform consists of a containerized workload, service management platform, lecture and development platform for instructors and students, and secured cloud stability through real-time alarm system and age test, CI/CD development environment, and reliability through docker image distribution. The development of this education platform is expected to expand opportunities to enter new businesses in the education field and contribute to fostering working-level human resources in the AI and big data fields.

A design of e-learning education system based on related research analysis (관련연구 분석을 통한 e러닝 교육 시스템 설계)

  • Kang, Yu-Kyung;Kim, In-Hwan;Lee, 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11a
    • /
    • pp.1583-1586
    • /
    • 2012
  • 요즘, 기존 오프라인 교육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e러닝이 발달하고 있다. 하지만 효율성이나 구성의 혁신적인 변화보다는 교육 매개체의 변화 및 발전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플랫폼의 폐쇠성이나 획일적인 서비스로 인하여 학습자에게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 관련 연구의 장단점을 분석하고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새로운 e러닝 교육시스템을 설계하고자 하였다. 특히 시스템의 오픈성과 학습을 통한 맞춤형 서비스를 적용하여 인터넷 윤리교육 시스템에 적용하여 보았다.

A Study on the Education System for People Who Don't Have Their Own Letters, SOUL (문자 없는 나라를 위한 문자 교육 시스템(소울)에 관한 연구)

  • Ham, Hye-Ryeong;Noh, Yong-D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0.11a
    • /
    • pp.377-380
    • /
    • 2010
  • 지식기반 사회에서 교육은 장기적인 발전을 위한 필수 요소이다. 교육을 위해서는 말하기, 듣기, 쓰기, 읽기 능력이 필요하다. 이 중 하나라도 충족하지 못한다면 제대로 된 교육을 받을 수 없다. 하지만 전 세계에 존재하는 약 6900여종의 언어 중 6600여종의 언어는 표기할 수 있는 고유 문자가 없다. 읽기 능력과 쓰기 능력을 기르기 위한 최소 조건조차 마련되어 있지 않은 것이다. 그래서 말은 있지만 문자는 없는 국가에 말을 표기할 수 있는 문자를 보급하여 지식기반 발전의 기반을 마련해 주는 소울(SOUL) 시스템을 제안한다. 소울(SOUL)은 두 가지 기능을 가지고 있다. 문자 교육 기능과, 지식 공유 공간 기능이다. 문자 교육 기능에서는 각 문자가 내는 소리와 조합방법, 그리고 각 문자의 표기법, 표기 순서 등을 익힘으로써 문자를 쉽게 익힐 수 있도록 하였다. SOUL은 말을 표기할 문자로 비교적 익히기 쉬운 언문인 한글을 채택하였다. 그리고 지식 공유 공간 기능에서는 문자를 익힌 사용자가 마치 위키피디아처럼 지식을 기록하고 공유할 수 있어 지식을 축적하도록 도와주도록 설계하였다. 여기서는 소울(SOUL) 시스템의 구조 및 구현을 보인다.

An ARM Processor Course: Assembly Language Programming of One Embedded System (임베디드 시스템 어셈블리 프로그래밍을 통한 ARM 프로세서 교육)

  • Kim, Do Yeon;Kim, Jun Won;Jeon, Jae 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0.11a
    • /
    • pp.560-563
    • /
    • 2020
  • 본 논문은 공학계열 학생들이 어셈블리 프로그래밍을 활용하여 임베디드 시스템(ARM 프로세서)을 학습하는 교육 과정을 소개한다. 이 교육 과정은 어셈블리 프로그래밍을 통해 실제 임베디드 시스템을 실습하여 학생들이 전공 교과 과정에서 학습한 마이크로프로세서 이론을 확인하고 이해하도록 도와준다. 임베디드 시스템을 학습하기 위해 Texas Instruments 의 TM4C123GH6PGE 마이크로 컨트롤러가 탑재된 평가보드가 사용되었다. 교육 과정은 선행된 마이크로프로세서 이론 수업 진행에 맞추어 과제가 학생 개인에게 주어지며, 학생들은 결과물을 직접 시연하는 방법으로 과제를 평가 받았다. 본 논문은 이론 수업에 맞물려 진행된 과제의 일정과 과제 내용에 대해 설명한다.